기후부 "금정산에 연 400만명 방문 예상…지역관광 대책 마련"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국립공원위원회 열어 '지정 결정안' 의결 37년 만에 보호지역 아닌 국립공원 지정 탐방객의 76.4%는 "국립공원 지정 필요" 금정산 경제적 가치 약 6조6000억원 추정 "차별화된 지역 관광 연계방안 마련할 것" 기후에너지환경부가 부산·경남의 핵심 환경자산인 금정산을 국내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정식 지정했다. 이와 관련해 기후부는 “탐방객 증가와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력이 기대된다”며 기존 숙박시설 등과 연계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성환(오른쪽)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기후부 제공 ▮“탐방객 76.4%가 ‘국립공원 지정 필요’” 기후부는 31일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금정산국립공원의 총면적은 66.859㎢로 부산 6개 자치구(78%·52.1㎢)와 경남 양산시(22%·14.7㎢)에 걸쳐 있다. 금정산과 함께 낙동정맥으로 ...
기사 본문
[앵커] 부산 도심에 자리한 금정산이 우리나라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됩니다. 천혜의 자연환경과 풍부한 생태자원, 문화재 등이 국립공원 자격을 갖췄다는 게 환경부 설명입니다. 김종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 도심 한가운데에 우뚝 선 금정산. 부산을 대표하는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정상인 고당봉은 높이가 801.5m입니다. 접근성이 좋고 등산로가 발달한 데다 '천 년 고찰'인 범어사가 있어서 사시사철, 평일·주말 가리지 않고 많은 등산객이 찾는 곳입니다. '금정'이라는 이름은 조선 시대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이 어원을 전합니다. 하늘에서 금빛 물고기가 내려와 산마루 돌 위 우물에서 놀았다고 해서 산 이름을 금빛 우물, '금정(金井)'으로 지었다는 겁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거쳐 '금정산 국립공원'의 지정을 결정했습니다. 수려한 자연경관과 풍부한 생태자원을 두루 갖춰 국립공원으로 손색이 없다는 게 환경부 설명입니다. [금한승 / 기후에너지환경부 1차관...
기사 본문
지역 20년 숙원사업…'문화경관' 국립공원 중 가장 많아 국립공원 효과 기대감 크지만…높은 사유지 비율 '문제' 금정산 고당봉 (부산=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부산시 금정구 금정산 고당봉 정상. 2025.3.5 srbaek@yna.co.kr (부산·서울=연합뉴스) 김선호 이재영 기자 = 부산과 경남 양산에 걸친 '도심 속 명산' 금정산이 24번째 국립공원이 된다. 기후에너지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는 31일 제144차 회의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과 공원계획 결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내달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는 고시가 이뤄질 예정이다. 국립공원이 되는 지역은 66.859㎢로 부산 6개 자치구(78%)와 경남 양산시(22%)에 걸쳐있다. 금정산과 함께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백양산도 포함된다.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은 지역의 20년 숙원사업이다.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달라는 목소리는 2005년께부터 나왔다. 2014년에는 10만명 서명 운동도 있었다. 이후 2017년...
기사 본문
경제 효과 6.6조원…3000억원 투입해 토지 추가매입해 관리 백양산 병기 '무산'…해운대·자갈치시장 연계 생태관광 운영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5일 부산 금정구 금정산국립공원 예정지 내 남문습지를 방문해 국립공원 관계자로부터 금정산의 자연생태계와 국립공원 지정 이후 보전·관리계획 설명을 듣고 있다. (기후환경에너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10.15/뉴스1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부산 금정산이 국내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1987년 소백산 이후 37년 만의 신규 국립공원이자, 보호지역이 아닌 곳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첫 사례다. 부산과 양산에 걸친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생태 보전과 지역 균형 발전에 상징성이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31일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금정산국립공원은 부산광역시 6개 자치구(78%)와 경남 양산시(22%)에 걸쳐 총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