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금정산,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

2025년 11월 0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2개
수집 시간: 2025-11-01 02:32:0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MBC 2025-10-31 17:34:12 oid: 214, aid: 0001458769
기사 본문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부산 금정산 [부산시 제공] 부산을 상징하는 산인 금정산이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됩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는 오늘 회의를 열고 '금정산국립공원 지정과 공원계획 결정안'을 의결했습니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는 지역은 모두 66.895제곱킬로미터로 부산 6개 자치구와 경남 양산시에 걸쳐 있습니다. 부산에서는 2000년대부터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 달라는 요구가 있었으며, 부산시는 2019년 정부에 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했습니다. 사유지가 많아 논의가 지지부진했지만 지난해 공원 예정지 9.52%를 소유한 조계종 사찰 범어사가 공원 지정에 동의하면서 공원 지정으로 이어졌습니다. 금정산에 앞서 지난 2023년에는 대구 팔공산, 2013년에는 광주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됐습니다.


중앙SUNDAY 2025-11-01 01:24:17 oid: 353, aid: 0000053512
기사 본문

부산 금정산이 31일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부산에도 시내에서 지하철을 타고 갈 수 있는 도심형 국립공원이 생겼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날 제114차 국립공원위원회를 열고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을 심의·의결했다. 2023년 대구·경북의 팔공산이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2년 만이다. 기후부는 “1987년 소백산국립공원 이후 37년 만에 기존 보호지역이 아닌 곳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금정산국립공원은 총면적이 6만6859㎢로 월출산·계룡산국립공원에 이어 세 번째로 작다. 부산시 6개 자치구와 경남 양산시에 걸쳐 있으며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백양산까지 포함한다. 해발 800m인 금정산은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한 범어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전국 국립공원 중에서 가장 많은 127점의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멸종 위기 14종을 포함해 1782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는 등 생물 다양성도 풍부하다.


연합뉴스 2025-10-31 15:57:37 oid: 001, aid: 0015716278
기사 본문

지역 20년 숙원사업…'문화경관' 국립공원 중 가장 많아 국립공원 효과 기대감 크지만…높은 사유지 비율 '문제' 금정산 고당봉 (부산=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부산시 금정구 금정산 고당봉 정상. 2025.3.5 srbaek@yna.co.kr (부산·서울=연합뉴스) 김선호 이재영 기자 = 부산과 경남 양산에 걸친 '도심 속 명산' 금정산이 24번째 국립공원이 된다. 기후에너지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는 31일 제144차 회의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과 공원계획 결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내달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는 고시가 이뤄질 예정이다. 국립공원이 되는 지역은 66.859㎢로 부산 6개 자치구(78%)와 경남 양산시(22%)에 걸쳐있다. 금정산과 함께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백양산도 포함된다.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은 지역의 20년 숙원사업이다.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달라는 목소리는 2005년께부터 나왔다. 2014년에는 10만명 서명 운동도 있었다. 이후 2017년...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01 01:46:24 oid: 020, aid: 0003671347
기사 본문

부산 금정산이 국내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보호지역이 아닌 곳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는 것은 1987년 소백산국립공원 이후 38년 만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31일 국립공원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의결했다고 밝혔다. 금정산국립공원의 총 면적은 66.859㎢로 계룡산국립공원(65.335㎢)과 비슷하다. 경남 양산시(22%)와 부산 6개 자치구(78%)에 걸쳐 있다. 보호지역이 아니지만 멸종위기종 14종을 포함한 1782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범어사, 금샘 등 문화자원이 총 127점으로 전국 국립공원 중 가장 많다. 부산연구원은 금정산의 경제적 가치를 약 6조6000억 원으로 추산했다.


뉴스1 2025-10-31 16:52:39 oid: 421, aid: 0008577657
기사 본문

경제 효과 6.6조원…3000억원 투입해 토지 추가매입해 관리 백양산 병기 '무산'…해운대·자갈치시장 연계 생태관광 운영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5일 부산 금정구 금정산국립공원 예정지 내 남문습지를 방문해 국립공원 관계자로부터 금정산의 자연생태계와 국립공원 지정 이후 보전·관리계획 설명을 듣고 있다. (기후환경에너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10.15/뉴스1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부산 금정산이 국내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1987년 소백산 이후 37년 만의 신규 국립공원이자, 보호지역이 아닌 곳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첫 사례다. 부산과 양산에 걸친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생태 보전과 지역 균형 발전에 상징성이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31일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금정산국립공원은 부산광역시 6개 자치구(78%)와 경남 양산시(22%)에 걸쳐 총 66...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0-31 15:31:07 oid: 079, aid: 0004081200
기사 본문

핵심요약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안 최종 통과 금정산. 부산시 제공 부산의 상징이자 시민들의 오랜 염원이었던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이 마침내 확정됐다. 31일 오후 1시 30분, 기후에너지환경부 제1차관 주재로 열린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이 통과됐다. 이로써 금정산은 대한민국 24번째 국립공원이자, 국내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37년 만의 '신규 지정', 특별한 의미의 탄생 금정산국립공원은 총면적 66.859㎢로, 이 가운데 약 78%(52.136㎢)는 부산 6개 자치구에, 나머지 22%(14.723㎢)는 경남 양산시에 걸쳐 있다. 금정산뿐 아니라 낙동정맥을 따라 이어지는 백양산까지 포함됐다. 이번 지정은 1987년 소백산국립공원 이후 37년 만에 '비보호지역'이 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사례로, 국립공원 제도 역사에서도 의미가 깊다. 무등산·태백산·팔공산은 기존 도립공원이 국립공원으로 승...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31 15:30:00 oid: 025, aid: 0003479527
기사 본문

부산 금정구에 위치한 금정산 원효봉의 모습. 사진 부산시 “2013년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을 바라는 10만명 시민 서명운동을 시작으로 동분서주했는데 12년 만에 결실을 보았습니다. 감개무량합니다.” 31일 부산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자 강종인(72) 금정산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 대표가 한 말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는 이날 오후 1시 30분 회의를 열고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을 통과시켰다. 금정산은 24번째 국립공원으로 2023년 5월 팔공산 국립공원 지정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도립공원 등 기존 보호지역이 아닌 곳이 새롭게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것은 1987년 소백산 국립공원 이후 37년 만이다. 금정산은 부산 지하철 1호선 범어사역이나 온천장역에서 내려 마을버스를 타거나 도보로 갈 수 있을 정도로 도심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다. 산악형, 사적형, 해상·해안형 공원의 특징을 고루 갖춰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평가받는다. 접근성이 좋은 만큼 토지 ...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31 15:45:41 oid: 025, aid: 0003479533
기사 본문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부산 금정산. 사진 부산시 부산 금정산이 31일 국내에서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부산에도 시내에서 지하철을 타고 갈 수 있는 도심형 국립공원이 생겼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날 오후 제114차 국립공원위원회를 열고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을 심의·의결했다. 2023년 대구·경북의 팔공산이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2년 만에 부산 금정산이 새로운 국립공원이 지정됐다. 총면적은 66.859㎢로 월출산·계룡산 국립공원에 이어 세 번째로 작다. 기후부는 “이번 지정은 1987년 소백산국립공원 이후 37년 만에 기존 보호지역이 아닌 곳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는 사례로 보호지역 면적 확대에도 직접 기여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 신라 범어사와 국립공원 최다 문화자원 보유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5일 부산 금정구 범어사를 찾아 주지 정오스님을 예방하고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추진 관련 문화경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