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부망 해킹 인정…"650명 인증서 탈취"

2025년 10월 1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79개
수집 시간: 2025-10-18 15:40: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TV 2025-10-17 22:09:09 oid: 422, aid: 0000792050
기사 본문

[앵커] 정부 내부 업무망이 해킹 공격을 당했다는 의혹이 사실로 확인됐습니다. 정부는 사용자 부주의로 외부에서 인증서 정보가 유출되면서 해킹에 노출된 것으로 보고, 보안 강화에 나섰습니다. 임광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8월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를 통해 제기된 정부 내부망 해킹 의혹. 정부가 두 달 만에 해킹 정황이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지난 7월 국가정보원을 통해 외부 인터넷 PC에서 정부원격근무시스템(G-VPN)을 경유해 공무원 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에 접근한 정황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해킹을 당한것으로 추정되는 행정전자서명은 650명분인데, 이중 12명은 인증서 키 뿐아니라 비밀번호 등 내용이 함께 유출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대부분의 인증서는 유효기간이 만료됐고, 유효기간이 남은 3명의 인증서는 폐기 조치를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용석/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 "지난 8월 4일 정부원격근무시스템에 접속시 행정전자서명 인증과 더불어 전화인증을 함께 ...

전체 기사 읽기

중앙SUNDAY 2025-10-18 02:00:08 oid: 353, aid: 0000053369
기사 본문

━ ‘공무원 업무망’ 해킹 파문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이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범정부 업무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 해킹 대응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정부의 공무원 업무관리 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이 해킹당해 정부 부처에서 3년 가까이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온나라시스템이 해킹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해킹 과정에서 공무원들이 사용하는 653개 인증서 파일이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장애가 20일 넘게 이어지는 와중이다. 국정자원 복구율은 17일 오후 9시 현재 50.4%에 불과하다. 3년간 이어진 온나라시스템 해킹 의혹을 두 달 전 외국에서 지적했음에도 그동안 누가, 왜, 무엇을 해킹했는지 명확히 밝혀진 게 없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전산망 관리가 ‘에러(error)’ 상태이고, 공무원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의 정보도 유출됐을 가능성도 지적했다. 행정안전부(행안부)는 17일 정부세종...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17 11:39:37 oid: 025, aid: 0003475950
기사 본문

정부의 공무원 업무관리 시스템인 ‘온나라 시스템’이 해킹당해 정부 부처에서 3년 가까이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온나라시스템이 해킹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해킹 과정에서 공무원들이 사용하는 653개 인증서 파일이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행안부)는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 7월 중순 재택근무에 사용하는 정부원격근무시스템(G-VPN)을 통해 외부인이 온나라시스템에 접근한 정황을 국가정보원(국정원)이 확인했다”고 밝혔다. 온나라시스템은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문서 결재·공유 등 업무를 통합해 운영하는 내부 전산망이다. 행정안전부 온나라 해킹 브리핑 정부업무관리시스템이 해킹당한 사실을 정부가 공식 확인했다. 사진은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연합뉴스] 앞서 지난 8월 미국 해킹 전문 매체인 프랙매거진(Phrack Magazine)은 행안부·외교부·통일부·해양수산부 등 중앙부처를 비롯해 KT·LG유플러스 등 한국의 이동통신사, 다음·카카오·네이버 등...

전체 기사 읽기

SBS 2025-10-17 12:44:53 oid: 055, aid: 0001300555
기사 본문

▲ 행정안전부 정부가 공무원 업무시스템인 '온나라 시스템'과 공무원 인증에 필요한 행정전자서명(GPKI)에 해커가 접근한 정황을 확인하고 보안 조치를 강화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앞서 미국 해킹 관련 매체인 '프랙 매거진(Phrack Magazine)'이 올해 8월 한국의 중앙부처와 이동통신사, 민간기업이 해킹당한 흔적이 있다는 보도를 내놓은 뒤로 침묵을 지켰던 정부가 뒤늦게 이를 사실로 인정하고 사후 대응 과정을 공개한 것입니다. 행정안전부는 오늘(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정부업무관리시스템(온나라) 해킹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올해 7월 중순 경 국가정보원을 통해 외부 인터넷 PC에서 정부원격근무시스템(G-VPN)을 통해 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에 접근한 정황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지난 8월 4일 정부원격근무시스템에 접속 시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과 더불어 전화인증(ARS)을 반드시 거치도록 보안을 강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행안부에 따르면 해킹 피해를 당한 것...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