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내년 예산안 51조5060억…소비쿠폰으로 빚 3100억원 늘었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2026년 서울특별시 예산안 기자설명회 중 서울시 부동산 대책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서울시가 51조5060억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고 30일 밝혔다. 올해(48조1145억원)보다 7%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다만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행으로 빚도 늘었다. 지난해 11조 3375억원이던 빚이 올해 11조6518억원으로 3143억원(약 3%) 늘었다. 소비쿠폰으로 총 3500억원의 빚을 냈지만 채무를 전년보다 350억원 가량 줄인 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예산안 브리핑에서 “건전재정 기조로 지난 4년간 채무 약 6000억원을 줄였지만, 올해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행으로 불가피하게 채무 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 역대급 규모 예산, 30% 약자동행 내년도 예산은 ‘동행, 안전, 매력’ 등 3대 중점 분야에 기반을 두고 편성됐다. 특히 약자와의 동행을 위해 전...
기사 본문
공공일자리·소상공인 지원 늘리고 노후 상하수관 등 인프라 정비 시민건강·도시매력 사업 박차…"채무 늘었지만 건전재정 유지" 2026 예산안 발표하는 오세훈 서울시장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2026년 서울특별시 예산안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2025.10.30 mjkang@yna.co.kr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서울시는 2026년도 예산안으로 총 51조5천60억원을 편성해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올해 본예산(48조1천145억원)보다 3조3천915억원(7.0%) 늘어난 액수로 역대 최대 규모다. 재원은 '동행, 안전, 매력' 3대 중점 분야에 집중적으로 들어간다. 시정 핵심인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올해보다 8천억원 늘어난 15조6천억원을 투입해 취약계층을 더 두텁게 보듬는다. 또 건설된 지 30년 넘은 노후 상·하수도관로 정비에 4천500억원을 투입하고 역대 최대 규모인 22만5천개의 직접 ...
기사 본문
소비쿠폰 채무 증가에도 예산 3조 3915억(7.0%) 늘려 약자동행 15조6000억원 "프리미어 서울 향해 나아가"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2026년 서울특별시 예산안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서울시는 '2026년도 예산안'으로 지난해보다 3조 3,915억원(7%) 오른 총 51조 5,060억 원을 편성해 31일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2025.10.30/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서울시가 '동행·안전·매력' 3대 투자 중점에 재원을 집중하고 건전재정기조를 유지하기 위해 내년도 예산안을 올해 예산안보다 3조 3915억 원을 늘렸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불가피하게 채무가 증가했음에도, 꼭 필요한 분야에 적극적 재정투자를 이어가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는 2026도 예산안으로 총 51조 5060억원을 편성해 오는 31일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30일 밝혔다. 내년도 예산은 올해(...
기사 본문
2026년도 예산 올해 대비 3915억원 늘어난 51.5조원 약자 동행·노후 상하수도 정비, 민생경제 지원 등 재원 마련 밀리언셀러 정책 적극 추진해 동행·매력특별시 정책 기조 2.0 버전 도약 서울특별시청.ⓒ데일리안 DB [데일리안 = 허찬영 기자] 서울시는 '2026년도 예산안'으로 총 51조5060억원을 편성해 오는 31일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30일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2026년 예산안' 관련 기자설명회를 열고 "누구나 살고 싶은 서울, 시민 삶을 실질적으로 바꿔나가는 일상혁명을 목표로 '동행·매력특별시 2.0'에 과감히 투자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내년에는 서울시가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올해보다 8000억원 늘어난 총 15조6000억원을 투입, 취약계층을 더 두텁게 보듬는다. 또 건설된 지 30년 넘은 노후 상·하수도관로 정비에 4500억원을 투입하고, 역대 최대 규모 총 22만5000개의 직접 일자리를 운영하는 등 어느 때보다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