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일본 땅' 검색 삭제? 네이버 클로바X에선 그대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일본 영토' 물어보니 또 '분쟁 대상'... 국내산 AI도 왜 이러나 "문제 심각, 제대로 대응해야" ▲ 네이버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 하이퍼 클로바X에 '일본 영토'를 물어본 결과. 독도가 부속 도서에 해당한다는 답을 내놨다. ⓒ 클로바X 갈무리 편집 포털사이트 인공지능(AI) 검색에서 독도를 분쟁 지역으로 표현해 논란이 일자 네이버가 노출 차단 등의 대응에 나섰지만, 클로바X에서도 여전히 비슷한 결과가 나오고 있다. 하이퍼 클로바X(엑스)는 네이버가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출시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로 한국형 챗지피티(ChatGPT)라고 불린다. 네이버 AI까지 독도가 분쟁 사안이라고? 30일 오후 1시 기준 네이버 클로바X에서 추론에 특화된 답변 모델(THINK, 씽크)을 선택해 검색어로 '일본 영토'를 입력하면 모두 본토 4개 섬과 그 부속 도서로 구성돼 있다는 결괏값이 나온다. 문제는 홋카이도와 혼슈, 시코쿠, 규슈, 오키나와 제도,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에 이어 독...
기사 본문
23~25일 청계광장서…플래시몹·생생토크쇼 등 (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서울시가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3일 동안 청계광장에서 개최한 '울릉도·독도 그리고 섬 특별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전시는 서울시가 광복 80주년과 독도의 날(10월25일)을 기념해 울릉군·한국섬진흥원과 공동으로 마련한 행사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울릉도와 독도의 역사와 생태, 문화를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23일 개막식에는 독도 관련 인사와 시민 대표 등 다양한 인물들이 함께해 자리를 빛냈다. 이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울릉도·독도와 인연을 이어온 대표적인 인물들로, "서울 도심에서 독도의 의미를 시민들과 공유하게 되어 뜻깊다"는 소감을 전했다. 개막식 1부는 북청사자놀음보존회의 북청사자춤과 서울 문교초등학교 학생들 및 가수 정광태의 '독도는 우리땅 플래시몹'으로 시작해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북청사자놀음은 함경남도 북청 지역에서 전해 내려온 대표적인 전통...
기사 본문
네이버 “즉각 노출중단, 재발방지 점검” 구글도 다케시마·일본해 꿋꿋하게 표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예능프로그램 ‘대환장 기안장’에서 독도를 독도라고 표기했다. 영어(DOKDO)와 일본어(ドクト) 자막도 마찬가지였다. [넷플릭스] 네이버의 인공지능(AI) 브리핑 서비스가 독도를 일본땅으로 분류해 논란이 되고 있다. 국제적으로 독도의 영유권 분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네이버는 문제의 브리핑을 제거한 상태다. 30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를 입력하면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에토로후·구나시리·시코탄·하보마이), 센카쿠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폭로했다. 그러면서 “해외에서 독도를 분쟁 지역으로 표기해 지속적으로 항의해 왔지만, 국내에서 이러한 오류가 나온 것은 매우 심각한 일”이라며 “국가적으로 민감하고 중요한 주제인 만큼 우리나라 플랫폼이 역사적 사실을 정...
기사 본문
'일본영토' 검색 시 '독도는 일본 주요영토' 표기…"국내 대표 포털서 심각한 오류" 네이버 AI가 '독도=일본 영토'로 표기한 화면 [서경덕 교수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현수 기자 =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가 일본 주요 영토에 독도를 포함시켜 논란이 일고 있다.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왜곡이 국제사회에서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 대표 플랫폼에서까지 오류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된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30일 자신의 SNS에서 "네티즌 제보로 확인한 결과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 또는 '일본 영토'를 입력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밝혔다. 일부 답변에서는 독도를 일본 영토 항목에 포함하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는 표현도 사용했다고 전했다. 독도 연구·홍보 활동을 이어온 서 교수는 "챗GPT 등 해외 AI에서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하는 문제는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