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허니문 끝났다...의협 “제2의 의료사태 발생할 수도”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의협, 범대위 구성하고 전국궐기대회도 “대정부·국회 투쟁 역량 극대화할 것” “이대로는 제2의 의료사태 불가피” 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30일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의료계가 정치권을 향해 ‘제2의 의료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공의들이 병원에 복귀한 지 두 달도 채 되지 않았고, 지난 의료대란의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나온 경고다. 대한의사협회는 30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와 국회의 의료 정책에 반발해 ‘국민건강보호 대책특별위원회(범대위)’를 구성하는 등 의료계 여론을 모아 대정부·국회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이재명 정부는 출범 초기 ‘전문가와의 소통’을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의료현장 전문가 의견은 무시하고 특정 직역의 이익에만 매몰돼 있다”며 “의료체계가 심각한 왜곡과 혼란의 위기에 처했다”고 했다. 또한 정부가 의료시스템 재건을 방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전공의들은 의료현장에 돌아왔고, 의대...
기사 본문
"'전문가 소통' 약속한 이재명 정부, 앞뒤가 다른 행보…특정 직역 이익에 매몰돼" 한의사 엑스레이 사용 허용·성분명 처방 강제화·검체수탁고시 시행 '3대 악법' 규정 복귀 전공의 내년 2월 전문의 시험…"양질의 수련 교육 지원, 이수 않으면 엄중 조치"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가 최근 정부의 보건의료정책 추진 과정에서 전문가 의견이 배제되고 있다며, 범의료계 국민건강보호 대책특별위원회(범대위)를 꾸려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의협 김성근 대변인은 30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대정부·대국회 투쟁 및 협상 역량을 극대화하고자 상임이사회 의결에 따라 범대위를 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재명 정부는 출범 초기 '전문가와의 소통'을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보건의료정책 추진 과정은 앞뒤가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최근 추진되는 여러 보건의료정책의 방향을 보면, 의료현장의 전문가 의견은 철저히 무시된 채 의료 전문성을 부정하고 특정 ...
기사 본문
범대위 중심 총의 결집…제2의정갈등 불가피 "9월 복귀 전문의 2월 시험은 불가피한 결정" [서울=뉴시스]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 (사진= 대한의사협회 제공) 2025.04.10.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범의료계 국민건강보호 대책특별위원회'(범대위)를 구성해 대정부 투쟁 수위를 높인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30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범대위를 중심으로 전국의사대표자 궐기대회를 통한 의료계 총의 결집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협 대의원회는 지난 25일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현 집행부를 중심으로 단일대오를 구축해 투쟁에 나서기로 결의한 바 있다. 김 대변인은 "이재명 정부가 출범 초기 전문가와의 소통을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정책 추진 과정에서는 의료현장의 전문가 의견은 철저히 무시된 채 의료 전문성을 부정하고 특정 직역의 이익에만 매몰돼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전문성을 무시...
기사 본문
[의협 36차 정례브리핑] "정부, 전문가와 소통한단 약속 안 지켜" '대정부·국회 투쟁역량 극대화' 범대위 구성 결정 '전공의 시험특혜 논란'엔 "우려 이해하지만…이 결정은 尹정부 탓" 김성근 대한의사협회(의협) 대변인. /사진=뉴시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정부를 향해 "최근 의료 정책에 대한 의료계 불신이 크다"며 "이 같은 방향이 지속될 경우 제2의정갈등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30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제36차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정부는 출범 초기 '전문가와의 소통'을 약속했음에도 실제 보건의료정책 추진 과정은 앞뒤가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최근 보건의료 정책 방향을 보면 의료현장 전문가 의견은 철저히 무시된 채 의료 전문성을 부정하고 특정 직역의 이익에만 매몰돼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전공의가 의료현장에 돌아왔고 의대생도 교육을 재개한 지 수개월이 지났지만 정작 전공의 처우 개선, 교육 정상화를 위한 제도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