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경기 남양주시가 ‘교통사망사고 저감 종합대책’을 수립했다고 오늘 밝혔습니다. 시는 최근 5년간 시 전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현황과 사망사고 유형을 진단한 결과, 전체 사고 건수와 부상자 수는 감소 추세에 있지만, 사망자 수는 연평균 20명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인구 천 명당 0.03명(전국 평균의 60% 수준)에 해당하는 수준입니다. 특히 사망사고의 88%가 교통법규 위반으로 인한 것이고,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61세 이상 고령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시는 △보행자 안전 강화 △고령자 교통안전 강화 △운전자 법규 준수 유도 △도로 환경 개선 등 4대 중점 대책을 수립해 추진하고, 어린이·노인·장애인 보호구역에 투광등과 방호울타리 등을 확대 설치할 계획입니다. 또, 내년부터는 무분별하게 방치된 개인형 이동장치(PM)에 대해 견인 제도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고령자를 위한 대책으로는 보행신호 자동 연장 시스템 확대, 무단횡단 방지시설 설치, 노인보호구역 추가 지정 등을 추진하고...
기사 본문
남양주시청 1청사. (사진=남양주시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남양주=뉴시스]이호진 기자 = 경기 남양주시는 교통사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교통사망사고 저감 종합대책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시가 최근 5년간 지역에서 발생한 교통사망사고를 분석한 결과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인구 1000명당 0.03명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지만, 매년 20명 안팎의 시민이 교통사고로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유형별로는 차 대 보행자 사고가 가장 많았으며, 차 대 이륜차가 두 번째, 차 대 차 사고가 세 번째로 많았다. 사고 원인은 법규 위반이 88%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무단횡단과 음주가 뒤를 이었다. 특히 교통사고 사망자 연령대는 61~80세, 41~60세, 81세 이상 순으로, 전체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61세 이상 고령자로 나타나 보호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는 보행자 안전 강화, 고령자 교통안전 강화, 운전자 법규 준수...
기사 본문
사망사고 88% 교통법규 위반 원인 사망자 절반 61세 고령자로 나타나 주광덕 남양주시장. 사진 제공=남양주시 [서울경제] 경기 남양주시는 지역 내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현황과 사망사고 유형을 세부적으로 분석해 ‘교통사망사고 저감 종합대책’을 수립했다고 30일 밝혔다. 남양주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관내 교통사고 건수와 부상자 수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사망자 수는 연평균 20명 수준으로 인구 1000명당 0.0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 60% 수준이다. 특히 사망사고의 88%가 교통법규 위반으로 인해 발생했고,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61세 이상 고령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시는 △보행자 안전 강화 △고령자 교통 안전 강화 △운전자 법규 준수 유도 △도로환경 개선 등 4대 중점 대책을 수립해 추진할 계획이다. 보행자 안전을 위해 시는 어린이·노인·장애인 보호구역에 투광등과 방호울타리를 확대 설치하고, 비신호 교차로와 이면도로에 속도저감시설을 확충한다. 또 내년부...
기사 본문
‘교통사망사고 저감 종합대책’ 수립 [헤럴드경제=박준환 기자]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교통사망사고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시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교통사망사고 저감 종합대책’을 수립했다고 30일 밝혔다. 최근 5년간 시 전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현황과 사망사고 유형을 세부적으로 진단한 결과, 전체 사고 건수와 부상자 수는 감소 추세에 있지만, 사망자 수는 연평균 20명 수준으로 인구 천 명당 0.03명(전국 평균의 60% 수준)에 해당한다. 특히 사망사고의 88%가 교통법규 위반으로 인한 것이고,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61세 이상 고령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는 ▷보행자 안전 강화 ▷고령자 교통안전 강화 ▷운전자 법규 준수 유도 ▷도로환경 개선의 4대 중점 대책을 수립해 추진할 계획이다. 보행자 안전을 위해 시는 어린이·노인·장애인 보호구역에 투광등과 방호울타리를 확대 설치하고, 비신호 교차로와 이면도로에 속도저감시설을 확충한다. 또한 내년부터는 무분별하게 방치된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