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내년 예산 51.5조원…'동행·안전·도시매력' 방점(종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공공일자리·소상공인 지원 늘리고 노후 상하수관 등 인프라 정비 시민건강·도시매력 사업 박차…"채무 늘었지만 건전재정 유지" 2026 예산안 발표하는 오세훈 서울시장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2026년 서울특별시 예산안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2025.10.30 mjkang@yna.co.kr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서울시는 2026년도 예산안으로 총 51조5천60억원을 편성해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올해 본예산(48조1천145억원)보다 3조3천915억원(7.0%) 늘어난 액수로 역대 최대 규모다. 재원은 '동행, 안전, 매력' 3대 중점 분야에 집중적으로 들어간다. 시정 핵심인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올해보다 8천억원 늘어난 15조6천억원을 투입해 취약계층을 더 두텁게 보듬는다. 또 건설된 지 30년 넘은 노후 상·하수도관로 정비에 4천500억원을 투입하고 역대 최대 규모인 22만5천개의 직접 ...
기사 본문
오세훈 시정 핵심 '약자와의 동행'에 약 15조 원30일 시의회에 제출, 올해보다 7% 늘어난 규모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시청에서 '2026년 시 예산안'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뉴스1 서울시가 내년도 예산안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약 51조 원을 편성했다. 오세훈 시장이 시정 핵심으로 꼽는 '약자와의 동행' 부문에는 올해보다 8,000억 원 늘어난 15조6,000억 원을 배정했다. 시는 2026년 예산안 51조5,60억 원을 편성해 31일 시의회에 제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올해 본예산(48조1,145억 원)보다 3조3,915억 원(7%) 늘어난 규모로, '동행·안전·매력' 3대 중점 분야에 집중 투입한다. 가장 많은 재원이 분배된 분야는 취약계층 보호 등 '약자와의 동행' 부문이다. 전체 예산의 약 30%를 차지하는15조6,265억 원을 투입한다. 특히 4대 급여 지원(4조7,645억 원)으로 기초생활보장을 확대하고, 돌봄 SOS(361억 원)을 더해 촘촘한 복지망을 구...
기사 본문
2026년도 예산안 51조5060억 원 4대 급여 지원·통합돌봄체계 확대 중장년·장애인들 사회 참여 기회 늘려 지반침하 예방 위해 노후관로·GPR도 올해 채무 유지···'3대 투자 중점' 주력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시청에서 ‘2026년도 예산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시 [서울경제] 서울시가 내년에는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올해보다 8000억 원 늘어난 15조 6000억 원을 투입해 취약 계층을 지원하기로 했다. ‘동행·매력특별시 2.0’ 사업이 본격화되는 만큼 관련 예산을 확대함과 동시에 어린이부터 임산부·어르신들까지 혜택받는 취약 계층을 한층 넓히겠다는 계획이다. 30일 서울시는 2026년도 예산안으로 총 51조 5060억 원을 편성해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본예산(48조 1145억 원)보다 7.0% 늘어난 액수로 역대 최대 규모다. 그중에서도 서울시는 시정 핵심인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15조 60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오세훈 ...
기사 본문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2026년 서울시 예산안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내년 예산안으로 총 51조5060억원을 편성했다. 올해(48조1145억원)보다 7.0%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서울시는 이 중 약 3분의 1을 시정 핵심인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투입하기로 했다. 한강버스 운영 활성화를 위한 예산도 2배 늘렸다. 서울시는 30일 이 같은 내용의 2026년 예산안을 오는 31일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약자와의 동행, 매력 도시로서 경제력 증대, 부동산 안정이 중요하다”며 “내년도 예산은 ‘동행·안전·매력’ 등 3대 중점 분야에 기반을 두고 편성했다”고 전했다. 먼저 서울시는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15조6256억원을 배정했다. 올해보다 8601억원(5.8%) 늘어난 금액으로 전체 예산의 32.4%를 차지한다. 세부적으로 4대 급여 지원에 4조7645억원을 배정해 기초생활보장을 확대하고, ‘돌봄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