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세명기독병원, 결핵·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 '1등급'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포항세명기독병원 제공 경북 포항세명기독병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제7차 결핵 적정성 평가'와 '제10차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적정성 평가'에서 모두 1등급을 획득했다. 세명기독병원은 이번 평가에서 결핵 부문 2018년부터 7회 연속, COPD 부문 2017년부터 8회 연속 각각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결핵 적정성 평가는 2024년 1월부터 6월까지 질병관리청에 신고된 결핵 신환자의 입원 및 외래 진료 사례를 대상으로 전국 505개 의료기관을 평가해 종합점수 1등급을 받았다. 특히, '결핵균 확인검사 실시율'에서 100점을 기록하는 등 전 항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적정성 평가는 지난해 만 40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폐기능검사 시행률, 지속 방문 환자 비율 등 7개 주요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1등급을 얻었다. 한동선 병원장은 "결핵과 COPD 적정성 평가에서 모두 1등급을 받은 것은 의료진 노력과 최신의 첨단 진단 장비...
기사 본문
진료 수준 전국 최고...결핵균 검사·치료 성공률 등 만점 박재형 병원장 "환자 중심 의료로 신뢰 높일 것" 세종충남대병원 전경 /세종충남대병원 세종충남대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실시한 '2024년(7차) 결핵 적정성 평가'에서 종합점수 99.9점을 기록, 최고 등급인 1등급을 받았다고 30일 밝혔다. 결핵 진료 전반의 우수성을 입증하며 지역 대표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이번 평가는 지난해 1월부터 6월까지 전국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등 505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평가지표는 △결핵균 확인검사 실시율 △통상감수성검사 실시율 △신속감수성검사 실시율 △약제처방 일수율 △치료 성공률 등 4개 평가지표와 1개의 모니터링 지표 등 총 5개 항목이다. 세종충남대병원은 특히 결핵균 확인검사, 통상감수성검사, 신속감수성검사 등 3개 항목에서 100점을 받아 전체 평균(94.5점)과 종별 평균(94.0점)을 크게 웃도는 성적을 거뒀다....
기사 본문
심평원 2024년 10차 평가 결과 공개, 높은 진료 수준 입증 세종충남대병원 [파이낸셜뉴스] 세종충남대학교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2024년 제10차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적정성 평가에서 종합점수 93.5점을 받아 1등급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해 1~12월 1년간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 등 전국 6466개 의료기관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치료받은 경험이 있는 만 40세 이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평가 항목은 △폐기능검사 시행률 △지속방문 환자비율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비율 등 3개 평가지표와 △COPD로 인한 입원경험 환자비율 △COPD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경험 환자비율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일수율(전체 평가대상자)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일수율(치료지속성 평가대상자) 등 4개 모니터링지표를 비롯한 모두 7개다. COPD는 담배 연기나 매연, 미세먼지, 세균...
기사 본문
가천대 길병원 제공 [인천=뉴시스] 함상환 기자 = 가천대 길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한 ‘2024년(7차) 결핵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종합점수 99.2점)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는 2024년 1~6월까지 질병관리청에 신고된 결핵 신환자를 대상으로 전국 1200여 개 요양기관을 평가한 결과다. 결핵 적정성 평가는 심평원이 결핵 진료의 표준화와 치료 성공률 향상을 목표로 2018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다. 가천대 길병원은 결핵균 확인검사 실시율 100% ▲통상감수성검사 100% ▲신속감수성검사 100% ▲약제처방 일수율 97.7% 등 진단·치료 관련 전 항목에서 전국 평균(94.5점)과 상급종합병원 평균(97.2점)을 상회하는 성적을 획득했다. 가천대 길병원은 지역사회 결핵 관리 거점병원으로서 인천시 및 질병관리청과 연계해 민간·공공협력(PPM) 결핵관리사업에도 적극 참여 중이다. 김우경 병원장은 “결핵은 국내 주요 감염병 중 하나로 여전히 많은 신환이 발생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