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을 살려주세요”… 안동 여중생, 이 대통령에게 직접 쓴 손편지

2025년 10월 1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0개
수집 시간: 2025-10-18 13:22:1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프레시안 2025-10-18 00:01:12 oid: 002, aid: 0002410428
기사 본문

미래세대의 마음 담긴 환경 호소 “대통령님, 낙동강의 냄새가 왜 이런지 어릴 적부터 궁금했어요” “꼭! 저의 마음이 대통령님께 닿길 바랍니다” 경북 안동 경안여자중학교 3학년 권다인 양(16)은 낙동강 오염 문제를 걱정하는 진심 어린 손편지를 이재명 대통령에게 전달하기 위해 17일 어머니 권해숙(54) 씨와 함께 대통령실을 찾았다. ▲경북 안동 경안여자중학교 3학년 권다인 양(16)이 대통령에게 쓴 편지 일부. ⓒ 독자제공 권 양은 편지에서 “어릴 때부터 낙동강이 왜 이런 냄새가 나는지 궁금했다”며 “깨끗한 환경에서 친구들과 마음껏 놀고 싶은 마음으로 편지를 썼다”고 밝혔다. 이어 “낙동강이 오염돼 물고기가 죽어가고, 냄새가 심해지는 모습을 보며 안타까웠다”며 “앞으로 우리가 깨끗한 환경에서 살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호소했다. 또한 “이번 문화제를 통해 많은 청소년들이 낙동강의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갖길 바란다”며 “대통령님께서 국민과 나라를 위해 애써주시고, 낙동강을 더...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17 20:01:08 oid: 018, aid: 0006140621
기사 본문

[2025 국감] "카드뮴 농도 1kg당 403mg…장항제련소 인근 比 45배↑" "2014년부터 환경 관련 법 위반은 103회 달해" 지적도 "영풍그룹 오너 장형진 고문 출석해야" 목소리도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낙동강 최상류에 있는 영풍 석포제련소 주변 토양오염이 과거 환경문제로 폐쇄됐던 장항제련소 주변보다 심각하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제기됐다. 극심한 신체적 고통을 수반하는 이른바 ‘이타이이타이병’을 유발하는 카드뮴의 경우 영풍 석포제련소 주변 오염이 장항제련소의 수십배에 달한다는 내용도 나왔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경북 봉화군 영풍 석포제련소를 방문해 환경관리 현황에 대해 듣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은 기후에너지환경부 국감에서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 토양의 카드뮴 농도는 1kg당 403mg에 달한다고 밝혔다. 과거 장항제련소 인근 토양의 카드뮴 농도인 1kg당 9mg보다 약 45배 높은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카드뮴은 체내에 장...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18 10:10:11 oid: 022, aid: 0004075872
기사 본문

양 의회 석포제련소 생존권 사수 힘 모아 주민들 “폐쇄 아닌 상생의 길을 선택해야” 최근 정부와 정치권을 중심으로 경북 봉화군 석포제련소 이전 논의가 불거지면서 주민 반발이 거세다. 지역 경제의 핵심 축과 다름없는 석포제련소를 이전할 경우 봉화와 태백 주민은 ‘먹고 살길이 끊긴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봉화군의회는 18일 태백시의회와 영풍 석포제련소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 봉화군의회 측은 “영풍 석포제련소 문제는 단순한 산업 현안이 아니라 지역의 생존권과 직결된 문제”라며 “지속적인 가동을 전제로 환경개선과 지역 상생이 함께 추진될 수 있도록 공동 대응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지난 9월25일 봉화군 석포면에서는 봉화·태백 주민 500여명이 모여 석포제련소 이전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봉화태백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위원회 제공 영풍 석포제련소는 1970년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세워진 세계 4위 규모의 아연 생산 제련소다. 연간 매출은 약 1...

전체 기사 읽기

경기일보 2025-10-17 21:17:09 oid: 666, aid: 0000085585
기사 본문

답하는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연합뉴스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영풍 석포제련소가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의 집중 질타를 받았다. 제련소가 100회 넘게 환경 관련 법을 위반하고도 실질적인 개선 노력을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쏟아진 것이다. 토양오염 수준이 과거 환경오염으로 폐쇄된 장항제련소보다 수십 배나 높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정치권에서는 제련소의 폐쇄 또는 이전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김형동 의원은 14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 토양의 카드뮴 농도가 1kg당 403mg으로, 장항제련소 인근(9mg)의 45배에 달한다”고 밝혔다. 카드뮴은 인체에 축적되면 이타이이타이병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중금속으로, 낙동강 수계의 심각한 오염원이 장기간 방치돼 있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김 의원은 “낙동강 상류에 이런 오염원을 반세기 넘게 두고 있었다는 건 국민에 대한 죄”라며 “정화사업이 아닌 폐쇄 논의로 전환해야 한...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