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장관 "편의점 안전상비약 품목 조정·판매 요건 완화 필요"

2025년 10월 3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0개
수집 시간: 2025-10-30 16:20:4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YTN 2025-10-30 15:14:26 oid: 052, aid: 0002266479
기사 본문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편의점 안전상비약 품목 조정과 판매 요건 완화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오늘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이 안전상비약 제도 개선을 질의하자, 도입된 지 10년 넘은 환경 여건을 반영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품목을 조정하거나 판매 중단된 품목을 정리할 필요가 있고, 무약촌 지역에선 24시간 편의점이 없어 시간 제한 완화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편의점에서 일반의약품을 판매하는 안전상비약 제도는 2012년 11월 시행됐으며, 해열진통제 등 13개를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이후 2개 품목 생산이 중단돼 사실상 11개만 판매되고 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머니투데이 2025-10-30 12:20:47 oid: 008, aid: 0005270820
기사 본문

[2025 국정감사]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보건복지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사진= 뉴시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전국에 약이 없는 마을 등을 감안해 안전상비약 제도 개선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이 '무약촌'을 감안해 안전상비약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자 "안전상비약 제도가 10년이 넘은 환경 여건을 반영해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품목에 대한 조정이나 또 판매 중단된 품목 이라도 먼저 하고 품목에 대한 조정도 필요하고, 또 무약촌 지역에서는 24시간 편의점도 없기 때문에 시간 제한도 완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답했다. 정 장관은 "그래서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계획을 마련 중에 있다"며 "(대한)약사회나 관련 단체들하고도 협의를 진행하고 있어서 계획을 만들어서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말...

전체 기사 읽기

TV조선 2025-10-30 15:50:40 oid: 448, aid: 0000567194
기사 본문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연합뉴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편의점 안전 상비약 제도와 관련 품목 조정 및 판매 요건 완화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 출석한 정 장관은 "도입된 지 10년이 넘은 환경 여건을 반영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무약촌 지역에서는 24시간 편의점이 없기 때문에 시간 제한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2년 11월부터 시행된 '안전 상비약 제도'는 약국이 문을 열지 않는 심야 시간이나 공휴일의 경우 24시간 운영하는 편의점에서 일반의약품을 살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하지만 일부 농어촌에는 약국은 물론 24시간 편의점도 없는 실정이다. 정 장관은 "현재 종합적으로 계획을 마련 중"이라며 "약사회 등 관련 단체와도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계획을 만들어서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데일리 2025-10-30 13:40:10 oid: 018, aid: 0006151130
기사 본문

[2025 국감] 13년째 그대로인 안전상비약제도 무약촌선 약 구하기 어려워…24시간 편의점 없어 정은경 “판매 제한 완화 검토…제도 개선 계획 추진 [이데일리 안치영 기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편의점서 파는 안전상비의약품 품목을 늘리고 판매 장소 제한을 해제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개선 필요성을 공감하고 종합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서울 종로구의 한 편의점에 안전상비의약품이 진열되어 있는 모습.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사진=뉴시스)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은 “전국 556곳의 지역에서 약을 구하지 못하는 어르신이 있다”면서 “2012년 도입된 안전상비의약품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지난 2012년 약국이 없는 곳이나 급히 필요할 때 약을 살 수 없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안전상비의약품 제도를 도입했다. 안전상비의약품은 일반의약품 중 가벼운 증상에 시급하게 사용하며 환자 스스로 판...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