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영토' 검색했더니…네이버 AI "독도는 일본땅" 황당 답변 [이슈+]
관련 기사 목록 13개
기사 본문
네이버 AI 브리핑 검색서 "독도는 일본땅" 답변 논란 일본 외무성 자료 통해 답변 네이버, 인지 즉시 조치 완료 독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네이버가 야심차게 선보였던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에서 "독도는 일본땅"이란 답변이 나와 논란이 일었다.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 영토'를 검색할 경우 일본 외무성 자료를 토대로 이 같은 답변이 노출된 것이다. 네이버는 이 같은 문제를 인지한 즉시 조치를 취한 것으로 확인됐다. 네이버는 30일 오전 8시9분 자사 AI 검색 서비스 'AI 브리핑'을 통해 "독도는 일본 영토"라는 답변이 노출되지 않도록 했다고 밝혔다. 일단 '일본 영토'를 검색할 경우 AI 브리핑 답변 자체가 표시되지 않는 방식으로 조치를 취한 상태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 네이버에서 검색창에 '일본영토'와 '일본 영토'를 검색하면 AI 답변에서 독도를 일본 영토로 간주해 논란이 일고 있다"며 "누리꾼 제보를 통해 알게 됐고 직접...
기사 본문
‘소버린 AI’ 주창해왔는데도 잘못된 내용 표시 서경덕 교수 제공 네이버 포털 사이트의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가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답변을 내놓으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네이버는 해당 내용을 즉각 삭제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30일 자신의 SNS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누리꾼 제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제보에 따르면 네이버 포털 검색창에 ‘일본영토’를 검색했더니 AI 브리핑은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일본 영토’로 검색할 때에는 일본의 주요 영토 구성에 ‘독도(다케시마)’를 포함시키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중이라고 표현했다. AI 브리핑은 네이버 포털 검색 시 생성형 AI가 관련 정보를 요약·정리하고 유용한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서비스다. 연말까지 전체 검색 전체 검색 결과의 20%까지 AI 브리핑을 노출시켜 포털 검색 기능 강화하는 게 네이버의 목표다. 네이버가 한국 AI의 대표 주자이자 이른바 ‘소버...
기사 본문
23~25일 청계광장서…플래시몹·생생토크쇼 등 (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서울시가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3일 동안 청계광장에서 개최한 '울릉도·독도 그리고 섬 특별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전시는 서울시가 광복 80주년과 독도의 날(10월25일)을 기념해 울릉군·한국섬진흥원과 공동으로 마련한 행사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울릉도와 독도의 역사와 생태, 문화를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23일 개막식에는 독도 관련 인사와 시민 대표 등 다양한 인물들이 함께해 자리를 빛냈다. 이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울릉도·독도와 인연을 이어온 대표적인 인물들로, "서울 도심에서 독도의 의미를 시민들과 공유하게 되어 뜻깊다"는 소감을 전했다. 개막식 1부는 북청사자놀음보존회의 북청사자춤과 서울 문교초등학교 학생들 및 가수 정광태의 '독도는 우리땅 플래시몹'으로 시작해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북청사자놀음은 함경남도 북청 지역에서 전해 내려온 대표적인 전통...
기사 본문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 AI(인공지능) 답변에서 독도를 일본 영토로 간주해 논란이 일었다. 사진은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AI 답변 모습. /사진=성신여대 창의융합학부 서경덕 교수팀 제공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에 '일본 영토'를 검색하면 독도가 일본 영토에 포함된다는 인공지능(AI) 답변이 제공돼 논란이 일었다. 30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자신의 SNS에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 영토'를 검색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라고 설명한다"고 밝혔다. 또 네이버는 일본의 주요 영토 구성을 설명하면서 '독도(다케시마) : 일본은 독도를 자국 영토로 주장하며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고 표기했다. 해당 서비스는 네이버가 제공 중인 AI 기반 검색 결과 및 정리 서비스 'AI 브리핑'이다. 네이버는 서비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AI브리핑에 들어갈 내용을 정부 문서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다만 '일본 영토' 검색...
기사 본문
네이버 “즉각 노출중단, 재발방지 점검” 구글도 다케시마·일본해 꿋꿋하게 표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예능프로그램 ‘대환장 기안장’에서 독도를 독도라고 표기했다. 영어(DOKDO)와 일본어(ドクト) 자막도 마찬가지였다. [넷플릭스] 네이버의 인공지능(AI) 브리핑 서비스가 독도를 일본땅으로 분류해 논란이 되고 있다. 국제적으로 독도의 영유권 분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네이버는 문제의 브리핑을 제거한 상태다. 30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를 입력하면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에토로후·구나시리·시코탄·하보마이), 센카쿠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폭로했다. 그러면서 “해외에서 독도를 분쟁 지역으로 표기해 지속적으로 항의해 왔지만, 국내에서 이러한 오류가 나온 것은 매우 심각한 일”이라며 “국가적으로 민감하고 중요한 주제인 만큼 우리나라 플랫폼이 역사적 사실을 정...
기사 본문
서경덕 교수, 페북에 '네이버 AI' 검색결과 공유 "정확한 독도 자료, '다국어'로 지속 확산 필요" 네이버, 즉각 시정 조치… "주의 깊게 살피겠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30일 페이스북에 공유한 네이버 AI 브리핑의 '일본 영토' 검색 결과. 페이스북 캡처 네이버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가 그동안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역사 오류' 논란이 일자 네이버는 즉각 시정 조치를 취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30일 페이스북을 통해 "누리꾼 제보를 받고 직접 확인해 봤다"며 관련 검색 결과를 화면 캡처 형태로 공유했다.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를 입력했더니, 'AI 브리핑'에선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답변 이 나왔다고 한다. '일본'과 '영토'를 띄어쓰기 형식으로 검색한 결과도 비슷했다. '일본의 주요 영토 구성' 항목에 '독도(다케시마)'가 포함돼 있었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는...
기사 본문
'일본 영토' 물어보니 또 '분쟁 대상'... 국내산 AI도 왜 이러나 "문제 심각, 제대로 대응해야" ▲ 네이버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 하이퍼 클로바X에 '일본 영토'를 물어본 결과. 독도가 부속 도서에 해당한다는 답을 내놨다. ⓒ 클로바X 갈무리 편집 포털사이트 인공지능(AI) 검색에서 독도를 분쟁 지역으로 표현해 논란이 일자 네이버가 노출 차단 등의 대응에 나섰지만, 클로바X에서도 여전히 비슷한 결과가 나오고 있다. 하이퍼 클로바X(엑스)는 네이버가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출시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로 한국형 챗지피티(ChatGPT)라고 불린다. 네이버 AI까지 독도가 분쟁 사안이라고? 30일 오후 1시 기준 네이버 클로바X에서 추론에 특화된 답변 모델(THINK, 씽크)을 선택해 검색어로 '일본 영토'를 입력하면 모두 본토 4개 섬과 그 부속 도서로 구성돼 있다는 결괏값이 나온다. 문제는 홋카이도와 혼슈, 시코쿠, 규슈, 오키나와 제도,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에 이어 독...
기사 본문
'일본영토' 검색 시 '독도는 일본 주요영토' 표기…"국내 대표 포털서 심각한 오류" 네이버 AI가 '독도=일본 영토'로 표기한 화면 [서경덕 교수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현수 기자 =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가 일본 주요 영토에 독도를 포함시켜 논란이 일고 있다.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왜곡이 국제사회에서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 대표 플랫폼에서까지 오류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된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30일 자신의 SNS에서 "네티즌 제보로 확인한 결과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 또는 '일본 영토'를 입력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밝혔다. 일부 답변에서는 독도를 일본 영토 항목에 포함하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는 표현도 사용했다고 전했다. 독도 연구·홍보 활동을 이어온 서 교수는 "챗GPT 등 해외 AI에서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하는 문제는 지속...
기사 본문
네이버 AI, 독도를 일본 영토로 답변 네이버 “즉시 조치…서비스 개선하겠다”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 영토’와 ‘일본영토’를 검색하자 AI 브리핑이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했다. (사진=페이스북 갈무리) 네이버의 검색창 인공지능(AI) 요약 서비스가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는 문제를 인지한 즉시 조치를 취해 현재는 잘못된 응답이 표시되지 않는다. 30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를 검색하니 AI 답변에서 독도를 일본 영토로 간주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서 교수가 공개한 이미지를 보면 네이버 AI 브리핑이 일본의 주요 영토로 ‘독도’를 언급하며 ‘다케시마’라는 명칭을 병기한 것을 알 수 있다. ‘일본 영토’로 띄어 쓴 뒤 검색하자, 일본 주요 영토 구성에 ‘독도(다케시마)’를 포함하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고 표현했다. AI 브리핑은 잘못된 정보 제공을 막기 위해 정책 관련 정보를 ...
기사 본문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 AI에 '일본 영토'를 입력하자 일본의 주요 영토는 독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황당한 답변이 나옵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오늘(30일) 자신의 SNS에 "네이버에 '일본 영토'를 검색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AI 답변이 나온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서 교수가 공개한 이미지를 보면 일본의 주요 영토 중 하나로 '독도'를 언급하면서 옆에 '다케시마'라는 명칭을 함께 사용했습니다. 또, 독도를 일본 영토 항목에 포함하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는 표현까지 사용했습니다. 이렇게 답변한 이유는 네이버의 AI 브리핑이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내용을 출처로 그대로 활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서 교수는 이번 사안에 대해 "국내 대표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안에 대해 이런 결과를 확인하지 않았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네이버는 즉시 시정하고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현재 검색창에 '일본 영토'...
기사 본문
▲ 네이버 AI가 '독도=일본 영토'로 표기한 화면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가 일본 주요 영토에 독도를 포함시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왜곡이 국제사회에서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 대표 플랫폼에서까지 오류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됩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오늘(30일) 자신의 SNS에서 "네티즌 제보로 확인한 결과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 또는 '일본 영토'를 입력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밝혔습니다. 일부 답변에서는 독도를 일본 영토 항목에 포함하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는 표현도 사용했다고 전했습니다. 독도 연구·홍보 활동을 이어온 서 교수는 "챗GPT 등 해외 AI에서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하는 문제는 지속해 항의해 왔지만, 국내 대표 포털에서 이 같은 오류가 나온 건 매우 심각한 일"이라며 "네이버는 즉시 시정하고 철저...
기사 본문
[네이버 AI가 '독도=일본 영토'로 표기한 화면]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가 일본 주요 영토에 독도를 포함시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왜곡이 국제사회에서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 대표 플랫폼에서까지 오류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됩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오늘(30일) 자신의 SNS에서 "네티즌 제보로 확인한 결과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 또는 '일본 영토'를 입력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밝혔습니다. 일부 답변에서는 독도를 일본 영토 항목에 포함하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는 표현도 사용했다고 전했습니다. 독도 연구·홍보 활동을 이어온 서 교수는 "챗GPT 등 해외 AI에서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하는 문제는 지속해 항의해 왔지만, 국내 대표 포털에서 이 같은 오류가 나온 건 매우 심각한 일"이라며 "네이버는 즉시 시정하고 철저...
기사 본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 갈무리 [서울경제] 네이버의 인공지능(AI) 검색 요약 서비스가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해 논란이 일었다. ‘독도 지킴이’로 알려진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강하게 시정을 요구했고, 네이버는 즉시 조치에 나섰다. 30일 서경덕 교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 또는 ‘일본 영토’를 입력하면, AI 답변에서 독도를 일본 영토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서 교수에 따르면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를 검색했을 때 AI 브리핑 서비스는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라고 답변했다. 또 ‘일본 영토’로 검색하면 ‘독도(다케시마)’를 일본 주요 영토 구성에 포함시키며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고 표시했다는 것이다. 서 교수는 "챗GPT 등 해외에서 개발된 AI에서는 대부분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현하고 있어 지금까지 꾸준히 항의를 해 왔다"며 "국내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