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인 이상 사업체 상용직 채용 6년만에 최대폭 증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9월 상용직 채용 3.9만명 늘어 300인 이상서 1.1만명 증가..18.3%↑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지난달 300인 이상 사업체 상용직 채용이 최근 6년 내 최대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2025년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달 전 사업체가 채용한 인력은 91만 2000명으로 전년 동기 4만 4000명(5.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상용직 채용(34만 5000명)은 3만 9000명(12.9%) 늘었다. 동월 기준으론 2021년 9월(4만 7000명 증가)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300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직 채용 증가가 두드러졌다. 지난달 300인 이상 사업체가 채용한 인력은 6만 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1000명(18.3%) 늘었다. 2019년 9월(3만 1000명 증가·58.9%) 이후 증가 인원·증가율 모두 최대폭이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000명...
기사 본문
9월 사업체 종사자, 전년보다 0.2% 늘어…작년 12월 후 첫 증가 제조업 종사자 2년 연속 감소…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증가 전환 기대 근로자 (PG) [제작 이태호, 최자윤] 사진합성,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옥성구 기자 = 건설업 종사자 감소 폭이 둔화하면서 지난달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가 9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3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올해 9월 사업체 노동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2천34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5만명(0.2%) 늘었다. 사업체 종사자 수는 인구구조 변화와 맞물려 2022년 이후 증가세가 둔화했고, 올해 1월 46개월 만에 감소 전환한 이후 감소세를 보였는데, 작년 12월(0.2%)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김재훈 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이 전체 종사자 수 증가세를 견인하고 있고, 건설업과 도매·소매업의 감소 폭이 둔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종...
기사 본문
노동부,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9월 사업체종사자, 전년 比 5만명↑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고용노동부 [데일리안 = 김성웅 기자] 지난달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가 전년동월대비 5만명 늘어나면서 작년 12월 이후 9개월 만에 증가했다. 고령화 등 영향으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가 크게 늘면서 증가를 견인했다. 건설·제조업 감소폭이 줄은 것도 한몫했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2034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5만명(0.2%) 늘어났다. 사업체 종사자는 올해 1월부터 감소해 왔다. 지난 7월 전년 동월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나 증감률이 ‘0’이었던이 있었으나, 수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은 이번 집계가 올해들어 처음이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 증가가 두드러졌다. 8월 기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는 전년동월대비 9만8000명(4.0%) 늘었...
기사 본문
제조업 24개월째·건설업 16개월째 감소 300인 이상 대기업 상용직 채용 6년만 최대 증가 지난달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총 종사자 수가 올해 들어 처음으로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돌봄 등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다만 제조업·건설업 종사자 수는 1~2년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9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사업체 종사자 수는 2034만6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9월 대비 5만명(2%) 늘어난 것이다. 올해 들어 사업체 종사자 수는 매달 지속해서 감소세를 보였다.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인 것은 9월이 처음이다. 김재훈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이 30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9월 기준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하지만 산업별로는 여전히 편차가 심했다. 지난달 사업체 종사자 수 반등을 이끈 것은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4% 증가)이었다. 이밖에 운수·창고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