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연구진, '치매 발병 예측' 유전자 점수 개발…美·유럽서 특허 절차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의료in리포트] 치매 예측하는 '최적 다유전자 위험 점수'(optPRS) 개발 optPRS 점수 높을수록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 2.4배↑ 국내 특허 2건 등록…미국·유럽 등록 절차 중 김희진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사진제공=삼성서울병원 국내 연구진이 치매 발병 위험을 유전자 검사로 미리 예측하는 '유전자 점수'를 개발해냈다. 삼성서울병원 김희진·원홍희 교수, 서진수 연세대학교 교수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병 위험 유전 변이 정보를 조합해 치매 위험을 예측하는 '최적 다유전자 위험 점수'(Optimized Polygenic Risk Score·optPRS)를 개발, 오가노이드에서 병리 현상을 검증했다고 30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수많은 유전자의 유전 변이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 예측이 어려운 질환이다. 현재까진 아포지질단백 E(ApoE) 유전자 등 일부 위험 인자를 중심으로 치매 가능성을 추정해왔지만 개인별 예측력이 낮고 실제 질병 진행을 반영하기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
기사 본문
삼성서울병원-연세대 공동연구팀…"점수 높을수록 발병 위험 증가"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 검사로 치매 발병 위험을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최근 김희진·원홍희 삼성서울병원 교수, 서진수 연세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유전 변이 정보를 조합해 치매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최적 다유전자 위험 점수'(optPRS)를 개발하고 오가노이드(인공장기)를 통해 병리 현상을 검증했다고 30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수많은 유전자 변이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 예측이 어렵다. 지금까지는 일부 위험 인자를 중심으로 치매 가능성을 추정했지만, 개인별 예측력이 낮고 실제 병 진행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연구팀은 2022년 미국의학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발표한 다유전자 위험 점수(PRS)를 바탕으로 국내 환자 1천600여명의 자료를 분석해 한국인에게 최적화된 새 점수 체계를 만들...
기사 본문
삼성서울병원 - 연세대학교 공동 연구팀,치매 예측을 위한 최적 다유전자 위험 점수(optPRS) 개발 국내 특허 2건 등록 … 미국과 유럽 등록 절차 중, 맞춤형 치매 예측과 신약 개발 플랫폼 가능성 제시 최근 삼성서울병원 김희진·원홍희 교수, 연세대학교 서진수 교수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위험 유전 변이 정보를 조합하여 치매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최적 다유전자 위험 점수(optimized polygenic risk score, optPRS)를 개발하고, 오가노이드에서 병리 현상을 검증했다고 밝혔다.<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유전자 검사로 치매 발병 위험을 미리 알 수 있는 시대가 왔다. 알츠하이머병은 수많은 유전자의 유전 변이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 예측이 어려운 질환이다. 현재까지는 APOE 유전자 등 일부 위험 인자를 중심으로 치매 가능성을 추정해왔지만, 개인별 예측력은 낮고 실제 질병 진행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 삼성서울병...
기사 본문
삼성서울병원·연세대 연구팀…알츠하이머 발병 위험 2.4배↑ 점수 높을수록 인지 저하 빨라…기억력 검사 점수 급격히 감소 김희진·원홍희 삼성서울병원 교수, 서진수 연세대학교 교수, 이승연 학생(왼쪽부터)/ 삼성서울병원 제공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유전자 30 여개만으로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수많은 유전 변이를 종합해 개인의 치매 위험을 계산하는 '한국형 다유전자 점수(optimized polygenic risk score, optPRS)'가 완성되면서,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의 가능성이 열렸다. 삼성서울병원 김희진·원홍희 교수와 연세대학교 서진수 교수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한국형 다유전자 점수를 개발하고, 실제 환자 세포로 만든 뇌 오가노이드에서 그 결과를 검증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럽 대규모 유전체 연구(GWAS) 데이터를 기반으로 39개의 알츠하이머 위험 유전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