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AI "독도는 일본 영토"…서경덕 "하루빨리 시정해야"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이후 네이버 검색 시 AI 브리핑 안 나와 네이버 "오류, 보도 이후 AI브리핑 삭제" [이데일리 이재은 기자]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일본영토’ 등을 검색하면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를 통한 답변으로 독도가 일본 영토 중 하나로 포함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서경덕 교수 SNS)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30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누리꾼의 제보를 통해 알게 됐고 직접 확인해 보니 ‘일본영토’를 검색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라고 설명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일본 영토’로 검색할 시에는 일본의 주요 영토 구성에 ‘독도(다케시마)’를 포함시켰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고 표현했다”며 “챗GPT 등 해외에서 개발된 AI에서는 대부분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현하고 있어 지금까지 꾸준히 항의를 해 왔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내 대표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안에 ...
기사 본문
서경덕 교수 “일본 영토 검색하면 독도 나와” “국내 대표 포털에서 있을 수 없는 일” 독도접안시설에 관람객이 북적이는 모습. [헤럴드DB] [헤럴드경제=차민주 기자]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 영토’ 등을 입력하면 네이버 인공지능(AI)이 독도를 일본 영토로 답변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 영토’를 검색한 결과, AI 답변 ‘AI 브리핑’이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또 ‘일본 영토’로 검색할 시 일본의 주요 영토 구성에 ‘독도(다케시마)’를 포함하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고 표현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일본영토’를 검색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라고 설명한다”고 말했다.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 영토’, ‘일본영토’를 검색하자 AI 브리핑이 독도를 일본 영토·영유권분쟁 지역으로 표기하고 있는 모습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제공] 서 ...
기사 본문
23~25일 청계광장서…플래시몹·생생토크쇼 등 (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서울시가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3일 동안 청계광장에서 개최한 '울릉도·독도 그리고 섬 특별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전시는 서울시가 광복 80주년과 독도의 날(10월25일)을 기념해 울릉군·한국섬진흥원과 공동으로 마련한 행사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울릉도와 독도의 역사와 생태, 문화를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23일 개막식에는 독도 관련 인사와 시민 대표 등 다양한 인물들이 함께해 자리를 빛냈다. 이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울릉도·독도와 인연을 이어온 대표적인 인물들로, "서울 도심에서 독도의 의미를 시민들과 공유하게 되어 뜻깊다"는 소감을 전했다. 개막식 1부는 북청사자놀음보존회의 북청사자춤과 서울 문교초등학교 학생들 및 가수 정광태의 '독도는 우리땅 플래시몹'으로 시작해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북청사자놀음은 함경남도 북청 지역에서 전해 내려온 대표적인 전통...
기사 본문
▲ 네이버 AI가 '독도=일본 영토'로 표기한 화면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가 일본 주요 영토에 독도를 포함시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왜곡이 국제사회에서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 대표 플랫폼에서까지 오류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됩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오늘(30일) 자신의 SNS에서 "네티즌 제보로 확인한 결과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 또는 '일본 영토'를 입력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밝혔습니다. 일부 답변에서는 독도를 일본 영토 항목에 포함하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는 표현도 사용했다고 전했습니다. 독도 연구·홍보 활동을 이어온 서 교수는 "챗GPT 등 해외 AI에서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하는 문제는 지속해 항의해 왔지만, 국내 대표 포털에서 이 같은 오류가 나온 건 매우 심각한 일"이라며 "네이버는 즉시 시정하고 철저...
기사 본문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가 인공지능(AI) 검색 답변에서 독도를 일본 영토 구성에 포함시켜 논란이 일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30일 "누리꾼 제보로 확인해 보니, 네이버에서 '일본영토'를 검색할 경우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나온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 영토'를 검색했을 때도 일본의 주요 영토 구성에 '독도(다케시마)'를 포함시키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고 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챗GPT 등 해외에서 개발된 AI 서비스들은 대부분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하고 있어 지금까지 여러 차례 항의해 왔다"며 "국내 대표 포털에서조차 국가 주권과 관련된 사안에 이런 오류가 발생했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네이버는 하루빨리 해당 내용을 시정해 해외 이용자들이 독도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갖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국내외 AI가 독도에...
기사 본문
'일본영토' 검색 시 '독도는 일본 주요영토' 표기…"국내 대표 포털서 심각한 오류" 네이버 AI가 '독도=일본 영토'로 표기한 화면 [서경덕 교수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현수 기자 =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가 일본 주요 영토에 독도를 포함시켜 논란이 일고 있다.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왜곡이 국제사회에서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 대표 플랫폼에서까지 오류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된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30일 자신의 SNS에서 "네티즌 제보로 확인한 결과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 또는 '일본 영토'를 입력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밝혔다. 일부 답변에서는 독도를 일본 영토 항목에 포함하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는 표현도 사용했다고 전했다. 독도 연구·홍보 활동을 이어온 서 교수는 "챗GPT 등 해외 AI에서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하는 문제는 지속...
기사 본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 갈무리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일본 영토를 검색하면 'AI 브리핑'이 독도를 일본 영토로 간주해 논란이 일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누리꾼의 제보를 통해 알게 됐고, 직접 확인해 보니 '일본영토'를 검색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라고 설명한다. 또한 '일본 영토'로 검색할 시에는 일본의 주요 영토 구성에 '독도(다케시마)'를 포함시켰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중'이라고 표현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 교수는 "챗GPT 등 해외에서 개발된 AI에서는 대부분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현하고 있어 지금까지 꾸준히 항의를 해왔었다"며 "하지만 국내 대표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안에 대해 이런 결과를 확인하지 않았다는 건 있을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네이버는 하루빨리 시정해 특히 해외 누리꾼들이 독도에 관한 오해가 없도록 해야 할...
기사 본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국내 대표 포털에서 있을 수 없는 일" 네이버 "인지 즉시 조치…적합한 검색결과 위해 서비스 개선"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 갈무리) (서울=뉴스1) 신은빈 기자 = 네이버(035420)의 검색창 인공지능(AI) 요약 서비스가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하자 일명 '독도 지킴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시정을 요구했다. 네이버는 사실을 인지한 즉시 조치해 현재는 이 같은 검색 결과가 표시되지 않는다. 서 교수는 30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와 '일본 영토'를 검색하면 AI 답변에서 독도를 일본 영토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영토'를 검색하면 AI 브리핑 서비스가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일본 영토'로 검색하면 일본 주요 영토 구성에 '독도(다케시마)'를 포함해 '한국과 영유권 분쟁중'으로 표현했다고 지적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