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겨울철 도로 제설 종합대책 본격 가동…'긴급대응반' 운영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11월 14일까지 제설제 4만 424톤과 제설 장비 224대 조기 확보 강원특별자치도청사./뉴스1 (춘천=뉴스1) 이종재 기자 = 강원도는 겨울철을 앞두고 도민의 안전한 도로 이용을 위해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를 제설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겨울철 도로 제설 종합대책'을 수립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 17일과 29일, 두 차례에 걸쳐 자체 및 시군 합동 제설대책회의를 개최하고, 도내 기상 여건과 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제설 대응계획을 마련했다. 특히 폭설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체계 구축에 중점을 뒀다. 도는 11월 14일까지 제설작업에 필요한 제설제 4만 424톤과 제설 장비 224대를 조기 확보해, 도내 제설 전진기지 37곳에 사전 배치할 계획이다. 산간 도로 등 교통 두절이 예상되는 취약 구간 21곳(320㎞)은 집중관리 구간으로 지정해, 사전 제설제 살포와 순찰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이번 대책에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기사 본문
'긴급대응반' 가동…18개 시군을 4개 권역으로 나눠 상호 지원 (춘천=연합뉴스) 이재현 기자 = 강원특별자치도가 겨울철 도로 제설 종합대책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산간 도로 제설 작업 [연합뉴스 자료사진] 도는 오는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를 제설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국토관리청에서 위임받은 국도와 지방도 등 2천110㎞에 대한 제설 대책을 수립했다고 30일 밝혔다. 제설 대책은 폭설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체제 구축에 중점을 뒀다. 이를 위해 오는 11월 14일까지 제설제 4만424t과 제설 장비 224대를 조기 확보해 도내 제설 전진기지 37개소에 사전 배치한다. 산간 도로 등 교통 두절이 예상되는 취약 구간 21개소(310㎞)를 집중관리 구간으로 지정, 사전 제설제 살포와 순찰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폭설에 대비해 도와 시군 간 제설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제설지원 긴급대응반'을 운영 계획에 포함했다. 긴급대응반은 도내 18개...
기사 본문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제주 한라산 어리목 입구 인근 도로에서 제설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뉴시스DB) woo1223@newsis.com [제주=뉴시스] 양영전 기자 = 제주도는 올겨울 대설에 대비해 제설제를 확보하고 선제적 제설 체계를 가동한다고 30일 밝혔다. 도는 앞서 열린 '겨울철 도로제설 대응체계 구축 관계기관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12월부터 내년 3월15일까지를 겨울철 도로 제설 대책 기간으로 운영한다. 제설 상황실을 상시 가동해 상황별 대응을 총괄할 예정이다. 도는 평화로, 5·16도로, 번영로 등 주요 노선의 신속한 제설작업을 위해 제설제 8800t(10월 기준)을 확보했다. 이는 행정안전부 비축 기준 대비 135% 수준이다. 기상청·경찰 등 관계기관 간 실시간 정보공유 시스템을 강화해 적설 예보 시 사전 제설장비 배치, 도로순찰 강화, 교통 통제 및 제설작업까지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일원하는 대응체계를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기상청의 기후 예보에 ...
기사 본문
11월~내년 3월 제설대책 기간 운영…장비·자재 사전 점검 및 주민 참여형 제설 체계 구축 박희조 동구청장이 대별동 제설창고에서 모래주머니를 나르며 제설 자재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대전 동구 대전 동구는 다가오는 겨울철을 대비해 '2025년도 도로 제설대책'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제설 대응 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기습 강설과 폭설로 인한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보도와 이면도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 조치로, 사전 준비부터 현장 대응까지 빈틈없는 제설 체계 구축에 중점을 두고 추진한다. 구는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를 제설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주요 간선도로 11개 노선은 건설도로과가, 이면도로는 각 동 행정복지센터와 자율제설단이 담당해 구간별 맞춤형 제설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강설 예보 시 신속한 초동 대응을 위해 △24시간 상황 관리 근무 체계 구축 △제설기동반 운영 △제설 장비 및 자재 사전 정비 등 대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