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속 '영원한 화학물질' 과불화합물 1000배 빠르게 없앤다

2025년 10월 3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개
수집 시간: 2025-10-30 09:33:1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스1 2025-10-30 08:40:50 oid: 421, aid: 0008572802
기사 본문

KAIST·미 대학 등 공동연구팀 과불화합물에 대한 기존 흡착제들과 개발한 소재의 1차 흡착속도상수와 최대 흡착량 비교(KAIST 제공) /뉴스1 (대전=뉴스1) 김종서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건설및환경공학과 강석태 교수 연구팀과 부경대 김건한 교수, 미국 라이스대 마이클 S. 웡 교수 연구팀, 옥스퍼드대, 버클리국립연구소, 네바다대 연구팀과 함께 기존 정수용 소재보다 최대 1000배 빠르고 효율적으로 물속 과불화합물(PFAS)을 흡착·제거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과불화합물은 탄소(C)와 플루오르(F)의 결합으로 이뤄진 화학물질의 집합물질로, 절연성과 내열성이 뛰어나 프라이팬 코팅제, 방수 의류, 윤활유, 반도체 공정, 군수·우주 장비 등 다양한 산업에 폭넓게 쓰인다. 하지만 사용 및 폐기 단계에서 쉽게 유출돼 토양·물·대기를 오염시키고 식품이나 공기를 통해 인체에 축적된다. 2020년 조사 결과 미국 수돗물의 45%, 유럽 하천의 50% 이상에서...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30 08:58:14 oid: 011, aid: 0004549572
기사 본문

KAIST-부경대-라이스대-옥스퍼드대-버클리국립연구소-네바다대 물 속 ‘영원한 화학물질’인 과불화합물(PFAS) 초고속 흡착·제거 가능한 신소재 개발 기존 활성탄보다 최대 1000배 빠르고 재사용 가능한 친환경 정수 기술 제시 KAIST와 국제 공동연구진. 왼쪽부터 김건한 부경대 교수, 정명균 라이스대 박사, 강석태 KAIST 교수, 마이클 웡 라이스대 교수. 사진제공=KAIST [서울경제] KAIST와 국제 공동연구진이 ‘과불화합물(PFAS)’을 기존보다 1000배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프라이팬 코팅제와 반도체 공정 등에 쓰이는 ‘과불화합물(PFAS)’은 자연에서 거의 분해되지 않아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며 전 세계 수돗물과 하천을 오염시켜 장기적인 인체 건강 위협 요인으로 지목돼 왔다. KAIST는 건설및환경공학과 강석태 교수 연구팀이 부경대 김건한 교수, 미국 라이스대 마이클 S. 웡(Michael S. Wong) 교수 연구팀, 옥스퍼드대, ...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30 08:00:11 oid: 277, aid: 0005671685
기사 본문

'과불화합물(PFAS)'은 자연에서 거의 분해되지 않는 탓에 '영원한 화학물질'이라고도 불린다. 프라이팬 코팅제와 반도체 공정 등에 필요한 물질이지만 사용 후에는 수돗물과 하천 오염의 원인이 돼 인류 건강에 장기적 위협 요소가 된다는 우려가 혼재됐다. 필요는 하지만 사용 후 처리 부문에서는 '골머리'를 앓아야 했다. 최근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기술이 개발돼 주목받는다. KAIST와 국제 공동연구진이 기존보다 1000배 빠르게 PFAS를 기존보다 1000배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왼쪽부터) 김건한 부경대 교수, 정명균 라이스대 박사, 강석태 KAIST 교수, 마이클 웡 라이스대 교수. KAIST 제공 KAIST는 건설 및 환경공학과 강석태 교수 연구팀이 부경대 김건한 교수와 미국 라이스대 마이클 S. 웡(Michael S. Wong) 교수 연구팀, 옥스퍼드대, 버클리국립연구소, 네바다대 등과 공동으로 물속 PFAS를 빠르게 흡착·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30 08:42:10 oid: 016, aid: 0002549696
기사 본문

- KAIST, 과불화합물 초고속 흡착·제거 가능한 신소재 개발 - 기존 활성탄보다 최대 1000배 빠르고, 재오염 문제 해결 이번 연구를 수행한 공동연구진. 김건한(왼쪽부터) 부경대 교수 정명균 라이스대 박사, 강석태 KAIST 교수, 마이클 웡 라이스대 교수.[KAIST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프라이팬 코팅제와 반도체 공정 등에 쓰이는 ‘과불화합물(PFAS)’은 자연에서 거의 분해되지 않아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며, 전 세계 수돗물과 하천을 오염시켜 장기적인 인체 건강 위협 요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국제 공동연구진이 PFAS를 기존보다 1,000배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KAIST는 건설및환경공학과 강석태 교수 연구팀이 부경대, 미국 라이스대, 옥스퍼드대, 버클리국립연구소, 네바다대와 함께, 기존 정수용 소재보다 최대 1000배 빠르고 효율적으로 물속 PFAS를 흡착·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과불화합물(...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