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특검, '계엄 해제 방해 의혹' 추경호 오늘 소환

2025년 10월 3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1개
수집 시간: 2025-10-30 06:12:2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YTN 2025-10-30 00:06:01 oid: 052, aid: 0002266181
기사 본문

내란 특검이 국회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받는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을 오늘(30일) 소환합니다. 특검은 오늘 오전 10시 추 의원을 내란 중요임무 종사와 직권남용 혐의 피의자로 불러 조사할 예정입니다. 추 의원은 계엄 선포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로 소속 의원들을 당사로 불러모아 계엄 해제 표결을 방해한 혐의 등을 받습니다. 이에 대해 추 의원은 계엄을 사전에 알지 못했고 해제를 위해 노력했다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2일, 추 의원 자택과 의원실 등을 압수수색 한 특검은 국민의힘 당직자와 국회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했던 의원 등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이어왔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이데일리 2025-10-30 05:31:08 oid: 018, aid: 0006150566
기사 본문

30일 오전 10시 피의자 신분 소환조사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해제 의결 방해 의혹 [이데일리 성가현 기자]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오늘(30일) ‘국회 계엄해제 방해’ 의혹을 받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을 소환조사한다. 수사 결과에 따라 국민의힘 위헌정당 해산 논란이 재점화할 수 있어 주목된다.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30일 법조계에 따르면 내란 특검팀은 이날 오전 10시 국민의힘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 방해 의혹과 관련해 당시 원내대표였던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한다. 추 의원은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요청을 받고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해 국민의힘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당시 계엄 해제 의결에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90명이 참여...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30 05:08:00 oid: 008, aid: 0005270447
기사 본문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 사진 /사진=뉴시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및 외환 혐의를 수사하는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계엄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에 대한 피의자 조사에 나선다. 30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특검팀 사무실이 차려진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서 추 의원에 대한 피의자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추 의원이 특검팀에 출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검팀은 그간 추 의원 측과 조사 일정을 여러 차례 협의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추 의원 측은 특검팀에 국정감사 등 일정을 고려해 조사 일정을 정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직을 맡고 있었다. 추 의원은 비상계엄 선포 당일 의도적으로 국회가 아닌 당사로 의원들을 모이게 해 비상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한 것 아니냐는 혐의를 받는다. 실제 추 의원은 비상계엄 선포 이후 비상 의원총회를 소집하면서 의원들이 ...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30 05:00:02 oid: 025, aid: 0003478942
기사 본문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오는 30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한다. 사진은 추 전 대표가 지난달 4일 기자회견을 열고 비상계엄을 사전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모습. 연합뉴스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국민의힘 의원들의 12·3 비상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으로 30일 내란특검(특별검사 조은석)에 출석해 피의자 조사를 받는다. 관건은 계엄 위법성 인식과 의총 장소 변경의 ‘목적 규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 ‘국헌문란’ 목적 알았어야 ‘내란죄’ 29일 법조계에 따르면 추 전 원내대표에게 적용된 주요 혐의는 내란중요임무종사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다. 이 중 핵심인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가 적용되려면 국헌문란의 ‘목적성’이 입증돼야 한다. 단순히 내란 우두머리를 도운 것을 넘어 국헌문란 목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어야 한다. 추 전 원내대표는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0시59분 국회로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했다가 10분 뒤 당사로 장소를 옮...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