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사이렌' 울리자 2000명 묵념…"이태원 참사 때도 울렸다면" [정부 첫 추모식]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 당일에 사이렌이라도 울렸으면…옆에 지켜주는 사람 없어 얼마나 외로웠을까 " 29일 오전 10시 29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사이렌이 울리자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에 참석한 추모객 박모(69)씨가 한 말이다. 이날 행정안전부는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서울시 등과 함께 기억식을 진행해 추모를 위한 사이렌을 서울 전역에 울렸다. 사이렌이 울리는 가운데 광장에 모인 국내외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일반 시민 등 주최 측 추산 약 2000여명은 묵념했다. 참사 발생 후 정부가 유가족과 함께 연 첫 공식 추모식이다. 추모식엔 정부 대표로 김민석 국무총리가 참석했고 우원식 국회의장은 추모사를 낭독했다. 1·2주기 이태원 참사 추모식에도 모두 참석했다는 김모(65)씨는 “처음엔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몰라 유가족들 위한 봉사를 해왔다”면서 “이번엔 정부가 사과도 하고, 기억식도 함께 하면서 올해엔 조금 마음이 편해진 것 같다”고 말했다.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사 본문
송혜진 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위원장과 송기춘 이태원참사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21일 서울 중구 이태원참사특별조사위원회에서 열린 유가족 간담회에서 초대장을 들고 있다. 정효진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가 참사 원인 규명과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해 4개 중앙 행정부처 및 인사혁신처와 경찰 등 수사기관 등에 대해 광범위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조위는 내년 6월까지 조사를 모두 마치고 보고서 작성에 들어갈 계획이다. 경향신문이 29일 입수한 특조위 내부 문건을 보면, 특조위는 총 114건의 신청 사건과 137건의 직권 조사 사건에 대한 조사 개시 결정을 내렸다. 특조위는 참사의 구조적 원인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 위해 사건별 변사 기록, 구조·구급 활동 일지 등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특조위는 서울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서울교통공사, 인사혁신처 등 관련 기관과 참고인을 조사하고 있다. 용산서에는 정보관이 파견되지 않은 경위, 정보 보고서 인...
기사 본문
[현장] 이태원 참사 3주기 정부 첫 공식 참가, 이재명 "국가는 없었다"… 유족 "행동으로 보여 달라" 2022년 10월 29일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3년이 지나서야 정부 주최 차원의 첫 추모식이 열렸다. 정부의 첫 공식 초청을 받고 입국한 외국인 유족도 함께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은 피해자와 시민을 향해 두 번 허리 숙여 "국민 생명 안전을 지켜야 할 국가는 없었다"고 사과했다. 29일 오전 10시 29분, 이태원 참사 날짜와 숫자가 같은 시각 서울 전역에 추모 사이렌이 울려 퍼지면서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 '별들과 함께, 진실과 정의로'가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시작됐다. 유족과 내빈 360여 명, 참여 시민 300여 명 등 추모식장을 가득 메운 참석자들은 1분간 울린 사이렌 소리에 묵념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의 추모사 영상이 상영됐다. APEC 행사로 추모식에 오지 못한 이 대통령은 영상으로 인사를 대신했다. 이 대통령은 "그날, 국가는 없었다"며 "지켜...
기사 본문
[KBS 전주]오늘(29일) 이태원 참사 발생 3주기를 맞아, 전북에서도 추모 물결이 이어졌습니다. 전주 풍남문 광장에 마련된 희생자 추모 분향소에는 종일 시민들이 찾아 헌화와 묵념을 올리며 희생자들을 기리는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참사의 아픔을 가슴에 새기며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지난 18일 열린 전북 추모대회에서 유족과 시민들은 진상 규명은 책임자 처벌을 통해 참사 반복을 막아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