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로봇산업 2030년 연 매출 3조 원” 청사진 제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인천시가 로봇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2030년까지 연 매출 3조 원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인천시는 오늘(29일) 청라 로봇타워에서 ‘인천 로봇산업 혁신성장 정책 발표와 업무협약식’을 열고 2022년 기준으로 1조 3,600억 원 규모인 인천 지역 로봇산업의 연 매출을 2030년에 3조 원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위해, 인천시는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 융합을 통한 산업 혁신으로 인천로봇랜드 조성, 로봇혁신기업 육성, 로봇 도입 확산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을 추진하고 있는 인천로봇랜드에는 400여 개 로봇 기업과 시험·인증·연구 기관이 집적된 산업단지를 만들 계획입니다. 특히, 수도권 최대 규모의 로봇 실증 시설과 실외 자율주행 시험 시설을 구축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전국 물류 로봇 시험 거점도 조성할 예정입니다. 인천시는 로봇 혁신기업 육성에 5년 동안 100억 원을 투입해 연 매출 1천억 원 규모의 글로벌 로봇기업 ...
기사 본문
인천시 등 13개 기관간 업무협약 체결 산업·기술·생활 전 분야 로봇융합 추진 인천시는 29일 청라국제도시 로봇타워에서 인천 로봇산업 혁신성장 정책 발표 및 업무 협약식을 열고 2030년까지 로봇산업 규모 3조원으로 도약하는 ‘로봇시티 인천’ 청사진을 발표했다. 인천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시는 로봇산업을 혁신해 오는 2030년까지 3조원 규모의 산업으로 육성한다. 시는 29일 청라국제도시 로봇타워에서 인천 로봇산업 혁신성장 정책 발표 및 업무 협약식을 열고 2030년까지 로봇산업 규모 3조원으로 도약하는 ‘로봇시티 인천’ 청사진을 발표했다. 하병필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기조 발표에서 “로봇이 산업을 움직이고 기술이 삶을 변화시키는 시대에 인천이 이 변화를 선도하겠다”며 ‘2030년 로봇산업 3조원 시대’를 향한 도약을 선언했다. 인천의 제조업은 지역총생산량의 27.7%를 차지하며 도시경제의 핵심축으로 자리하고 있으나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와 인건비 상승 등 노동시...
기사 본문
인천시 로봇산업 성장정책 발표 "5년간 로봇기업에 100억원 지원" 12개 기관·기업과 협약, 인재 양성 로봇랜드 기업·기관 클러스터 조성 [이데일리 이종일 기자] 인천시가 2030년 로봇산업 연매출 3조원 시대를 열겠다고 선포했다. 인천시는 29일 서구 청라동 로봇타워에서 인천 로봇산업 혁신성장 정책 발표를 통해 이같이 같이 밝혔다. 시는 이 자리에서 인하대, 한국전파진흥협회 등 6개 기관, 인천지역 로봇업체 6곳 등 전체 12곳과 ‘로봇산업 육성·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인천 서구 청라동 인천로봇랜드 전경. 시는 2028년까지 로봇랜드 부지·기반시설을 준공할 계획이다. (사진 = 인천시 제공) 하병필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기조 발표를 통해 “로봇이 산업을 움직이고 기술이 삶을 변화시키는 시대에 인천이 이 변화를 선도하겠다”며 “2030년 인천지역 로봇산업 규모가 3조원 이상이 되도록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인천지역 로봇업체의 전체 연매출은 1조400...
기사 본문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인천시가 로봇산업을 집중 육성해 오는 2030년까지 연 매출 3조 원을 초과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시는 오늘(29일) 청라 로봇타워에서 '인천 로봇산업 혁신성장 정책 발표 및 업무협약식'을 열고 이 같은 청사진을 발표했습니다. 시는 2022년 기준 1조 3천600억 원 규모인 인천 로봇산업 연 매출을 2030년 3조 원 이상으로 늘리기 위해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결합한 산업 혁신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시는 구체적으로 인천로봇랜드 조성과 로봇혁신기업 육성, 로봇 도입 확산을 꾀할 방침입니다. 인천로봇랜드에는 400여 개 로봇기업과 시험과 인증, 연구기관을 합친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수도권 최대 규모의 로봇 실증 기반과 실외 자율주행 시범단지도 구축합니다. 시는 로봇혁신기업 육성에 앞으로 5년 동안 100억 원을 투입해 연 매출 1천억 원 규모의 글로벌 로봇기업 5개 사를 육성할 계획입니다. 지역 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