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전용구역 주차위반 과태료 모바일로 공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과태료 즉시 납부 가능 등 편의성 증대 장애인의 날을 하루 앞둔 19일 오전 경기도 정부과천청사 내 장애인주차구역에서 한 시민이 장애인주차구역 통행로를 가로막은 채 주차를 하고 있다. 2021.4.19/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서울시는 전 자치구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 과태료 부과에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가 도입한다고 29일 밝혔다. 각 자치구는 내년 상반기에 시스템을 갖추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전자고지 서비스에 나선다.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는 기존 우편으로 발송되던 과태료 고지서를 납부 대상자 명의의 휴대전화로 전송하는 서비스다.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만 있으면 누구나 전자고지서를 받아 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과태료 부과가 확정되면 우선 모바일 고지서를 볼 수 있는 카카오톡 알림이 납부 대상자에게 발송된다. 납부 대상자가 24시간 동안 알림톡을 열람하지 않으면 기존처럼 납부 대상자의 주소지로 종이 고지서가...
기사 본문
스마트폰으로 과태료 납부 등기발송료 36.7% 절감 예상 자치구 당 3300만원 지원 서울시 전 자치구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 과태료 부과에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가 도입된다. 각 자치구는 내년 상반기에 시스템을 갖추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전자고지 서비스에 나설 방침이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는 기존 우편으로 발송되던 과태료 고지서를 납부 대상자 명의의 휴대전화로 전송하는 서비스다.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만 있으면 누구나 전자고지서를 받아 볼 수 있다. 장애인주차구역. 과태료 부과가 확정되면 모바일 고지서를 볼 수 있는 카카오톡 알림이 납부 대상자에게 발송된다. 납부 대상자가 24시간 동안 알림톡을 열람하지 않으면 기존처럼 납부 대상자의 주소지로 종이 고지서가 발송된다. 또한 종이 고지서가 우편으로 전달되는 것에 일정 시간이 걸리는 반면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는 바로 고지서를 확인할 수 있다. 납부 대상자가 부과된 과태료를 즉시 스마트...
기사 본문
스마트폰으로 과태료 즉시 납부 가능 고지서 발행 및 등기발송료 36% 절감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표지판. 연합뉴스 자료사진. 내년 하반기부터 서울 시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불법 주차할 경우 모바일 전자고지서를 받게 된다. 서울시가 전 자치구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 과태료 부과에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29일 밝혔다. 25개 자치구는 내년 상반기에 시스템을 갖추고 하반기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는 기존 우편으로 발송되던 과태료 고지서를 납부 대상자 명의의 휴대전화로 전송하는 서비스다.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만 있으면 누구나 고지서를 받을 수 있다. 과태료 부과가 확정되면 모바일 고지서를 볼 수 있는 카카오톡 알림이 납부 대상자에게 발송된다. 납부 대상자가 24시간 내 알림톡을 보지 않으면 기존처럼 납부 대상자의 주소지로 종이 고지서가 발송된다. 종이 고지서가 우편으로 전달되는 것에 일정 시간이 걸리는 반면 모바일 서비스는 바로 고...
기사 본문
고지서 전달시간 단축·즉시 납부 가능…발송비 36.7% 절감 기대 서울시는 내년 하반기부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 과태료에 대해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를 본격 도입한다. /더팩트 DB 서울시는 내년 하반기부터 전 자치구에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 과태료에 대해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를 본격 도입한다고 29일 밝혔다. 각 구는 상반기 중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하반기부터 서비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모바일 전자고지는 기존 우편 고지서를 대신해 납부 대상자 명의의 휴대전화로 고지서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별도 신청 없이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만 있으면 이용 가능하며, 카카오톡 알림을 통해 과태료를 확인하고 스마트폰으로 즉시 납부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우편 발송에 며칠이 걸리던 고지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납부 편의성이 크게 높아질 것"이라며 "모바일로 사전 납부 시 과태료 20% 경감 혜택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은평구에서 지난 5월부터 9월까지 시범 운영한 결과,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