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 재난 대응 안전한국훈련…"주민 지킨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대구=뉴시스] 대구시 수성구는 동산초등학교 강당 등에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했다. (사진 = 대구시 수성구 제공) 2025.10.2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대구=뉴시스] 김정화 기자 = 대구시 수성구는 동산초등학교 강당 등에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했다고 28일 밝혔다. 대규모 재난 발생 시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지역사회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범국가적 훈련이다. 수성경찰서, 501여단 3대대,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KT, 대한적십자사, 천주성삼병원, 자율방재단 등 22개 기관·단체 관계자와 지역 주민 등 290여명이 참여했다. 올해 훈련은 다중 밀집시설 대형 화재, 인파 사고, 지반침하(싱크홀) 등 복합 재난 상황을 가정해 토론훈련(무대본 진행)과 현장훈련을 동시에 진행했다. 대형 산불로 인한 대규모 주민 대피 상황을 반영, 동산초등학교 강당을 이재민 임시 주거시설로 지정해 구호 활동도 점검했...
기사 본문
정읍소방서 등 15개 기관·단체 272명 참여 전북 정읍시가 오는 30일 정읍시 일원에서 '2025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다. 29일 시에 따르면 이번 훈련은 산불이 요양시설과 교회로 번지고 LPG 가스 폭발로 이어지는 최악의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 15개 유관기관과 협력해 실전 대응 태세를 점검할 계획이다. 정읍시 청사 전경. 정읍시 제공 훈련은 정읍노인복지요양원, 초대교회, 정읍시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진행되며 정읍경찰서, 정읍소방서, 제8098부대 3대대 등 15개 기관·단체 272명이 참여한다. 훈련은 ▲산불 발생 ▲요양원·교회 화재 ▲위험물(LPG) 폭발 ▲긴급구조통제단 가동 ▲재난안전대책본부·통합지원본부 운영 ▲수습·복구 단계까지, 재난 발생부터 대응 및 복구의 전 과정을 단계별로 점검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특히 요양시설 입소 어르신들이 직접 대피 훈련에 참여해 현실감을 높일 예정이며, 소성면 금동마을 산불 등 실제 사례를 반영하고 지역 주민이 함께 참여해 훈련의...
기사 본문
경찰·소방 등 20개 기관 170여 명 참여 목포시가 28일 유관기관 합동으로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목포시 전남 목포시는 지난 28일 재난 발생에 대비한 실전형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안전한국훈련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5조에 근거해 2005년부터 매년 범국가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종합훈련이다. 재난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군을 비롯해 경찰, 소방 등 20개 기관·단체 17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지반침하로 인한 건축물 붕괴 상황을 가정해 세라믹응용센터에서 진행됐다. 특히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상황 전파와 공유, 상황판단회의를 거쳐 재난안전대책본부와 현장 통합지원본부를 구성하고 초기 대응부터 사고 수습·복구까지 상황실과 현장의 유기적 연계와 유관기관 간 협력 체계 강화를 중점적으로 점검했다. 목포시는 이번 훈련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면밀히 분석해 실제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으...
기사 본문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이 지난 7월 시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폭염 대비 긴급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화성특례시 화성특례시가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2025년 상반기 재난상황관리훈련'평가에서 지방자치단체 중 최고 점수인 102점을 기록하며 전국 1위를 차지했다. 29일 시에 따르면 △재난상황 5분 이내 전파 △10분 이내 보고서 제출 △20분 이내 재난문자 송출 등 모든 항목에서 최고 수준의 평가를 받으며 전국 1위에 올랐다. 특히, 시는 전원 전담인력으로 구성된 전담팀이 '재난안전상황실'을 365일 24시간 상시 운영하고 있어, 평상시에도 재난 상황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재난상황관리 훈련은 재난발생 초기단계에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 보고가 이뤄지는지를 점검하는 훈련으로, 재난 관련 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 체계 구축과 범정부 차원 총력 대응을 도모하기 위해 행정안전부가 주관해 실시한다. 행정안전부는 훈련 시 재난 발생 초기 단계에서의 신속한 상황 전파, 정확한 보고 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