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거대 범죄조직' 프린스그룹, 이미 한국 들어와 운영 정황 [지금이뉴스]
관련 기사 목록 15개
기사 본문
캄보디아 등에서 사기와 인신매매 등을 벌이다 미국·영국의 제재를 받은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이 한국에서도 사무실을 운영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1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서범수 의원실에 따르면 프린스그룹의 부동산 계열사인 `프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은 홈페이지에 서울 중구 순화동에 한국사무소가 있다고 안내 중입니다. 전화번호는 캄보디아 국가 번호를 사용 중입니다. 서 의원실이 해당 사무실을 찾아가 본 결과, 17층에 위치한 사무실은 공유 오피스로 프린스그룹의 영업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또 전화번호도 통화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프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은 지난 5월 한국에서 전시장을 열었다고 홍보했으며, 지난 8월 서울에서 갤러리 행사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의원실은 전했습니다. 또 2022년에는 캄보디아 한국상공회의소와도 교류를 가졌다고 의원실은 덧붙였습니다. 서 의원은 프린스그룹의 부동산 계열사가 주로 자금 세탁에 사용된 정황이 있는 만큼, 국내에서...
기사 본문
프린스은행 모기업 범죄조직 지정 후폭풍 국제 제재에 신뢰도 급락하며 인출사태 캄보디아 프린스은행의 모습. 사진=AFP 캄보디아 주요 은행 중 하나인 프린스은행에서 17일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뱅크런)가 발생했다. 이는 모기업인 프린스홀딩그룹(이하 프린스그룹)이 미국과 영국 정부로부터 ‘초국가적 범죄 조직’으로 지정되고 총수가 전격 기소된 데 따른 직접적인 후폭풍으로 분석된다. 현지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캄보디아 금융 당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현지 소식통과 외신에 따르면 이날 수도 프놈펜에 위치한 프린스은행 주요 지점에는 아침부터 예금을 인출하려는 고객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긴 줄이 형성되는 등 극심한 혼란이 빚어졌다. 일부 지점에서는 유동성 부족을 이유로 예금 지급을 일시 중단하는 사태까지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뱅크런 사태는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법무부와 재무부, 영국 정부가 프린스그룹과 그 회장인 천즈(Chen Zhi)를 상대로 단행한 초강력 제...
기사 본문
<앵커> 캄보디아 범죄단지의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그룹의 사무실이 서울에도 있다는 사실 어제(16일) 단독 보도로 전해드렸습니다. 저희 보도 이후에 회사 홈페이지는 모두 삭제됐고, 직원들은 종적을 감춘 걸로 확인됐습니다. 윤나라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킹스맨 부동산 그룹이라는 이름의 캄보디아 부동산 개발회사 페이스북입니다. 기존엔 프린스그룹의 계열사인 리얼에스테이트 그룹으로 활동했다는 내용 등의 소개 글이 어제까지 올려져 있었던 페이스북과 공식 홈페이지, 블로그가 오늘 오전 갑자기 폐쇄됐습니다. 프린스그룹이 서울시청 인근에서 사무실을 운영했다는 사실이 어제 SBS 보도로 처음 알려진 뒤 홈페이지 등이 모두 사라진 겁니다. 범죄 연루 의혹이 있는 흔적을 지운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가운데, 프린스그룹이 서울 강남 테헤란로에 있는 빌딩에서 또 다른 사무실을 운영했던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킹스맨 부동산 그룹이라는 이름의 사무실 문은 잠겨 있고, 인기척도 없습니다. [건물 관계자...
기사 본문
<앵커> 이렇게 캄보디아를 근거지로 인신매매와 온라인 사기 범죄를 저질러 미국과 영국이 대규모 제재를 한 프린스 그룹, 이곳의 계열사 사무실이 한국에 있다는 사실 저희가 보도로 전해 드렸는데요. 보도가 나간 이후 회사 홈페이지가 모두 삭제됐고 직원들이 종적을 감췄습니다. 윤나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킹스맨 부동산 그룹이라는 이름의 캄보디아 부동산 개발회사 페이스북입니다. 기존엔 프린스그룹의 계열사인 리얼에스테이트 그룹으로 활동했다는 내용 등의 소개 글이 그제(16일)까지 올려져 있었던 페이스북과 공식 홈페이지, 블로그가 하루 뒤 갑자기 폐쇄됐습니다. 프린스그룹이 서울시청 인근에서 사무실을 운영했다는 사실이 SBS 보도로 처음 알려진 뒤 홈페이지 등이 모두 사라진 겁니다. 범죄 연루 의혹이 있는 흔적을 지운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가운데, 프린스그룹이 서울 강남 테헤란로에 있는 빌딩에서 또 다른 사무실을 운영했던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킹스맨 부동산 그룹이라는 이름의 사무실 ...
기사 본문
캄보디아를 근거지로 사기 범죄단지를 운영하며 인신매매와 온라인 사기, 자금세탁을 벌인 혐의로 미국과 영국에서 제재를 받은 캄보디아 프린스 그룹. 이 회사의 부동산 계열사가 한국에서도 사무실을 운영한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회사 소개와 활동 내역 등이 담긴 홈페이지가 삭제되고 직원들은 종적을 감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자사가 기존에 프린스 부동산 그룹으로 활동했다는 킹스맨 부동산그룹이라는 캄보디아 부동산 개발회사의 페이스북입니다. 공식 홈페이지와 네이버 블로그에도 같은 취지의 소개 글이 올라왔었는데, 어제까지 접속되던 이 회사의 페이스북과 공식홈페이지, 블로그가 오늘(17일) 오전 모두 폐쇄됐습니다. 프린스 그룹이 한국에서도 사무실을 운영했다는 SBS 보도 이후 공식 홈페이지 등이 속속 폐쇄된 겁니다. 범죄 연루 의혹이 있는 흔적을 지우는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상황, 이 회사의 또 다른 한국 사무실에 찾아가 봤습니다. 강남 한복판에 위치한 빌딩, 사무실 앞에 킹스맨 부동산 그룹의 ...
기사 본문
프린스은행 모기업 ‘범죄조직 지정’ 지정 여파 프린스그룹 부동산 계열사, 한국서도 영업 활동 캄보디아 최대 범죄단지로 꼽혔던 '태자단지' 운영 등 조직적 범죄의 배후로 알려진 프린스그룹에서 운영하는 은행의 모습. ⓒ 연합뉴스 [데일리안 = 이호연 기자] 캄보디아 주요 은행 중 하나인 프린스은행에서 17일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뱅크런)가 발생했다. 모기업인 프린스그룹이 캄보디아 범죄 배후로 지목되면서 투자자와 예금주들의 불안이 급격히 확산된 데 따른 것이다. 18일 외신에 따르면 수도 프놈펜에 위치한 프린스은행 주요 지점에는 이날 아침부터 예금을 인출하려는 고객들이 몰리면서 극심한 혼란이 일어났다. 일부 지점에서는 유동성 부족을 이유로 예금 지급을 일시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뱅크런 사태는 지난 14일 미국 법무부와 재무부, 영국 정부가 프린스그룹과 그 회장인 천즈를 상대로 단행한 초강력 제재 후폭풍으로 해석된다. 미국 법무부는 천 회장을 사기와 자금 세탁 등의 혐의로 기소하...
기사 본문
지난 17일 오후 캄보디아 칸달주(州)에 속한 국경 마을 츠레이톰에 있는 초대형 '진윤 웬치' 입구를 차에서 촬영했다. 최근 미 재무부는 진윤 웬치 배후에 중국계 캄보디아인 천즈가 창립한 대기업 프린스 그룹이 있다고 밝혔다. 이영근 기자 17일 오후 캄보디아 칸달주(州)에 속한 국경 마을 츠레이톰(Chrey Thum)의 2차선 도로. 덤프 트럭 행렬이 일으키는 흙먼지가 시야를 가렸다. 자욱한 먼지가 걷히자 규모를 가늠할 수 없는 초대형 범죄 단지 ‘진윤 웬치(园区)’가 모습을 드러냈다. ‘프린스 그룹’이 원래 ‘골든 포춘 과학기술공원’이라는 명칭으로 조성한 이 웬치는 현재 ‘골든 포춘 리조트 월드’로 간판을 바꿔 달았다. 프린스 그룹은 캄보디아 납치·감금 범죄 배후로 지목된 중국계 캄보디아인 천즈(陳志·38) 회장이 창립한 대기업이다. 대대적 단속으로 폐쇄된 프놈펜, 시아누크빌 웬치와 달리 진윤 웬치는 여전히 운영중이었다. 무장 경비원 5명이 지키는 웬치 입구 끝에 있는 4층 건물은...
기사 본문
캄보디아 점령한 '프린스그룹', 범죄단지 운영 최근 모두 도피하고 군·경이 텅 빈 단지 지켜 프린스그룹 천즈 회장, 권력자 천즈와 유착 의혹 10년 전쯤 설립돼 부동산·은행 등 폭발적 확장 도시 곳곳에 '은행·쇼핑몰' 등 영향력 실감 최근 범행 배후로 지목되면서 '뱅크런' 시작 미·영, 인신매매·불법감금 주체로 '프린스' 제재 17일 오전(현지시각)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남쪽 따께우주(州)에 위치한 태자단지의 모습. 남성경 크리에이터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1시간 거리, 한산한 시골길을 달리다 크게 이질감이 느껴졌다. 4~5미터 돼 보이는 높은 담벼락, 그 위에 빈틈없이 놓인 철조망, 담벼락 중간 중간 놓인 CCTV는 사방을 주시했다. 마치 교도소를 연상케 했다. 4층짜리 건물들엔 촘촘히 문들이 자리했다. 대부분 굳게 닫혔고, 종종 열려 있는 곳도 있었으나 인기척은 전혀 없었다. 살짝 열린 통철문 사이로 단지의 내부도 엿볼 수 있었지만 썰렁했다. 한때 중국인을 비롯한 범죄 조직원들...
기사 본문
수배·도주 중 현지서 ‘실종설’ 제기돼 87년생 中출신…10년전 캄보디아 국적 훈센·훈마넷 부자 총리 고문으로 활동도 지난 2022년 캄보디아에서 열린 아세안(ASEAN) 정상회의 당시 훈센 총리가 천즈 프린스그룹 회장이 각국 정상에게 선물한 약 2700만원 상당의 고급 시계(계열사 프린스 호롤로지 제작)를 차고 있다. [출처=캄보디아 데일리] 캄보디아 내 여러 범죄단지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불법 감금, 강제 노동, 인신매매 등을 자행한 것으로 알려진 프린스 그룹의 천즈(Chen Zhi·38) 회장에 대한 실종설이 제기됐다. 18일 캄보디아 데일리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천즈 회장의 행방은 캄보디아 내에서 묘연한 상태다. 훈센 전 총리와 훈 마넷 현 총리 부자(父子)의 고문으로 활동하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 온 그의 실종으로 캄보디아 정재계도 발칵 뒤집혔다. 캄보디아 현지 매체 캄보디아 데일리는 18일 캄보디아에서 여러 범죄단지(웬치)를 운영한 혐의를 받은 천즈(Chen Zhi)...
기사 본문
현지시간 17일 캄보디아데일리는 앞서 14일 미국과 영국 정부가 프린스그룹에 대한 제제를 발표한 이후 천즈 프린스그룹 회장의 행방이 묘연해졌다고 보도했다. 〈사진=JTBC 보도화면〉 캄보디아에서 온라인 금융 사기 등으로 막대한 부를 쌓은 것으로 알려진 천즈 프린스그룹 회장이 자취를 감췄다는 현지 언론 보도가 나왔습니다. 프린스그룹은 캄보디아 등지에서 부동산과 금융, 호텔, 통신 등 광범위한 사업을 하는 업체로, 스캠 등 범죄에 사용되는 단지를 만들어 대리인을 통해 운영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인근 범죄 단지인 '태자 단지'도 프린스그룹이 운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단지에서는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이 감금된 상태로 보이스피싱 등 사기 범죄에 동원됐습니다. 현지시간 17일 캄보디아데일리는 앞서 14일 미국과 영국 정부가 프린스그룹에 대한 제재를 발표한 이후 천즈 회장의 행방이 묘연해지면서 실종설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 법무부는 천즈 회장을 ...
기사 본문
프린스그룹 지갑서 대규모 이동 포착…태자 단지선 한국인 등 감금·강제동원 확인 [서울신문 나우뉴스] 캄보디아 국적의 중국인 천즈(38) 프린스그룹 회장과 비트코인 이미지. 사진=캄보디아 데일리 미국과 영국 정부가 캄보디아 재벌 천즈(38)와 프린스그룹을 전방위 제재한 뒤 압수되지 않은 비트코인 일부가 해외 지갑으로 조용히 이동한 정황이 포착됐다. 캄보디아 현지에서는 천즈가 운영한 태자 단지에서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들이 감금돼 각종 온라인 금융사기와 투자 유인 범죄에 강제로 동원된 사실도 드러났다. 미·영 “초국가적 범죄조직”…비트코인 14조 원 압수 미국 재무부와 영국 외무부는 15일 공동성명을 내고 천즈 회장과 프린스그룹을 “동남아 최대 규모의 온라인 사기와 돈세탁 조직”으로 규정했다. 미국 법무부는 뉴욕 브루클린 연방법원에 기소장을 제출하며 비트코인 12만7271개, 약 14조4000억 원어치를 압수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천즈가 피해자 자금을 세탁하기 위해 온라인 도박, 암호화...
기사 본문
왼쪽부터 프린스그룹 천즈 회장, 훈센 총리/사진=캄보디아데일리 캡처 캄보디아 내 여러 범죄 단지를 운영하면서 한국인 대상의 감금, 인신매매, 강제 노동 등을 자행한 것으로 알려진 프린스 그룹의 천즈(Chen Zhi) 회장이 실종됐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18일 캄보디아 데일리 등 현지 매체는 천즈 회장의 행방이 묘연하다고 보도했다. 그는 캄보디아 국적의 중국인으로, 캄보디아에서 절대 권력을 누리는 훈 센 전 총리 일가와 친분이 두텁다. 이번 캄보디아 범죄 단지인 '태자단지'의 실제 배후인 프린스 그룹을 운영한다. 그는 지난해 12월 돌연 프린스 은행 이사회 의장직에서 사임했다. 해당 매체는 "중국이 프린스 그룹을 조사하기 위해 특별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하는 사이, 캄보디아 내에서 천즈 회장 흔적이 사라졌다"면서 "일각에서는 그가 캄보디아 시민권을 박탈당해 중국으로 송환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법무부는 영국 정부와 함께 천즈 회장의 프린스 ...
기사 본문
[앵커] 상황이 심각하자 한국과 캄보디아는 합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범죄에 공동대응하기로 했는데 캄보디아에서 벌어지고 있는 대규모 조직 범죄의 배후로 프린스 그룹이라는 기업이 지목되고 있다는 점 전해드렸습니다. 최근 미국 등이 초강력 제재를 가하자 회장이 잠적하고, 이 기업 소유 은행은 예금 대량 인출 사태를 겪고 있습니다. 저희가 직접 프린스그룹 본사에 찾아가 합법을 표방한 프린스그룹의 운영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황재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동산과 금융 등 다양한 사업으로 캄보디아 경제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해 온 프린스 그룹의 본사입니다. 최대 범죄단지인 '태자단지'에서 이뤄지는 인신매매와 강제 노동 등의 배후로도 의심 받고 있습니다. 취재진을 발견하자 경비원이 접근을 막습니다. "지금 온다, 지금 온다. 두 명 더 온다. 무전 치니까 세 명으로 늘었지 갑자기?" 미 법무부는 지난 14일 프린스그룹 회장 천즈를 투자사기, 자금세탁 혐의로 기소하고 ...
기사 본문
[앵커] 이런 가운데 캄보디아 범죄 단지의 배후로 지목되고 있는 프린스 그룹 회장의 행방이 묘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태가 불거지자 캄보디아 정재계와 긴밀히 얽혀있는 프린스 그룹 회장이 신변 정리에 나섰단 분석이 나옵니다. 김유빈 기자입니다. [기자] 캄보디아의 여러 범죄단지에서 온라인 사기를 통해 막대한 부를 쌓은 걸로 알려진 프린스 그룹의 천즈 회장. 캄보디아 현지 언론들은 미국과 영국의 제재 발표 후 "천즈가 실종됐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올해 38살인 천즈는 중국에서 태어나 2010년 캄보디아로 이주한 뒤 인터넷 카페 사업을 시작으로 은행, 부동산 개발, 카지노 등 사업 저변을 넓혀왔습니다. 이런 급성장의 배경엔 정재계 인사들과의 유착 관계가 결정적였습니다. 2014년 캄보디아 시민권을 취득한 뒤 훈센 전 총리,훈센 마넷 현 총리의 고문을 연달아 맡았고 3년 전 아세안 정상들에겐 직접 만든 3천 만원 상당 시계를 건네기도 했습니다. 정재계 비호 속에 범죄 행각을 일삼은 ...
기사 본문
캄보디아 ‘프린스 홀딩스 그룹’ 회장 천즈. 프린스 그룹 홈페이지 캄보디아에서 대규모 사기 범죄의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그룹 천즈 회장이 최근 자취를 감춘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7일(현지시간) 캄보디아 매체 캄보디아데일리에 따르면 미국과 영국 정부가 지난 14일 프린스그룹 등에 대한 제제를 발표한 가운데 천즈 회장 행방이 묘연해졌다고 했다. 앞서 미 법무부는 천즈 회장을 온라인 금융사기와 자금세탁 등의 혐의로 기소했다고 밝혔다. 법무부는 천즈 회장이 보유해온 약 150억 달러(약 21조원) 상당의 비트코인 12만 7271개를 몰수하기 위한 소송도 제기했다. 중국도 프린스그룹이 사기 범죄로 불법 수입을 올린 것으로 보고 2020년 특별수사팀을 꾸렸고, 이후 중국 각지의 지방법원이 프린스 그룹 하위 직원과 연루자 다수를 도박·자금세탁죄로 유죄 선고했다. 캄보디아데일리는 “천즈의 행방은 캄보디아에서 감쪽같이 사라졌다”며 “대중은 그가 캄보디아 국적을 박탈당해 중국으로 송환됐을 가능성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