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대유행 올라...환자 빠른 증가세에 '주의보' 발령 [지금이뉴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전국에 인플루엔자, 독감 유행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질병관리청은 독감 환자 숫자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오늘(17일) 0시를 기해 유행주의보를 발령한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유행주의보는 지난해에 비해 두 달 가량 빨리 발령됐고 2024~2025절기 독감 유행주의보가 해제된 지 넉 달만에 내려졌습니다. 질병청은 올해 40주 차인 지난 9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표본 의료기관의 외래환자 천 명당 독감 의심 증상 환자가 12.1명으로 이번 절기 유행 기준인 9.1명을 넘어섰다고 설명했습니다. 보건당국은 독감 고위험군인 어린이, 임산부, 만 65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무료 독감 예방접종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적극적인 접종을 당부했습니다. 주소와 관계없이 신분증을 갖고 가까운 위탁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방문하면 됩니다. 위탁의료기관은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예년에 비해 인플루엔자 유행이 이르게 시작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어르신과 어린...
기사 본문
지난달 22일 경기 수원시 한 소아청소년과의원에서 한 영유아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인플루엔자(독감) 환자가 증가하면서 17일 ‘독감 유행주의보’가 발령됐다. 보건당국은 예년보다 이르게 시작된 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소아·어르신 등 고위험군 중심으로 예방접종을 서둘러 달라고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의원급 의료기관에 대한 표본감시 결과, 올해 40주차(9월 28일~10월 4일) 독감 의사환자(발열·기침·인후통 등의 증상을 보이는 독감 의심 환자)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12.1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질병청이 산출한 올해 독감 유행 기준인 9.1명을 넘어선 수치다. 독감 의사환자 분율은 최근 4주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38주차(9월 14일~20일) 8명에서 39주차 9명으로 유행 기준에 근접한 뒤, 40주차 12.1명, 41주차에는 14.5명으로 올랐다. 올해 독감 유행주의보는 지난해보다 약 두 달 빨리 내려졌다. 지난해에는 12월 20일에 발령됐다...
기사 본문
의심 환자 1천명당 12.1명…작년보다 두 달 빨라 어린이·임신부·어르신 등 고위험군, 무료 예방접종 진행 중 독감주사 맞는 어린이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다혜 기자 = 전국에 인플루엔자(독감) 유행 주의보가 발령됐다. 질병관리청은 독감 환자 수 증가에 따라 17일 0시부로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이번 유행 주의보는 지난 6월 13일 2024∼2025절기 독감 유행 주의보가 해제된 지 약 넉 달 만에 발령되는 것이다. 작년에는 올해보다 늦은 12월에 주의보가 발령됐었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40주 차인 지난 9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298개 표본 의료기관의 외래환자 1천명당 독감 의사환자(38도 이상의 발열과 함께 기침, 인후통 등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분율은 12.1명(1.2%)으로 이번 절기 유행 기준(1천명당 9.1명)을 초과했다. 독감 의사환자 분율은 38주 8.0명, 39주 9.0명, 40주 12.1명, 41주 14.5명으로 계속 늘...
기사 본문
[고양=뉴시스] 고양시청 전경.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고양=뉴시스] 김도희 기자 = 경기 고양시는 22일부터 의료취약계층 어르신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독감)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무료 접종은 60세부터 64세(1961년1월1일~1965년12월31일)까지의 고양시민 중 기초생활수급자, 중증장애인(1~3급),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하며 백신 소진 시까지 진행된다. 접종은 덕양구·일산동구·일산서구 보건소에서 가능하며 관련 증빙서류를 지참해 방문하면 당일 접종이 가능하다. 시 관계자는 "어르신들은 인플루엔자와 같은 호흡기 질환에 특히 취약해 합병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예방접종이 필수적으로 권고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가에서 시행하는 무료 독감 예방접종은 만 13세 이하 어린이, 임신부, 만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만 64세 이하 취약계층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에 시는 의료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자체 재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