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육아휴직 사용자 14만 명 돌파…3명 중 1명은 ‘아빠’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올해 9월까지 육아휴직 사용자는 14만 명으로 육아휴직 사용자 3명 중 1명은 남성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오늘(28일) 올해 1∼9월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가 14만 1,909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7.0%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전체 수급자 수인 13만 2,535명을 이미 넘어선 수치로 제도 개선과 인식 변화가 긍정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노동부는 설명했습니다. 특히 올해 남성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는 5만 2,279명, 전체의 36.8%으로 육아휴직 사용자 3명 중 1명 이상이 남성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부모함께 육아휴직제'가 현장에서 안착하고, 올해부터 육아휴직 급여 월 최대 250만 원 인상, 부모 모두가 3개월 이상 사용 시 육아휴직기간 연장(1년→1년 6개월) 등 제도를 개선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노동부는 밝혔습니다. 한편, 올해 1∼9월 중소기업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는 8만 2,620명(전체의 58...
기사 본문
중소기업서도 육아휴직 소폭 늘어 내년 ‘육아기 10시 출근제’ 첫 실시 올해 육아휴직자 3명 중 1명 이상이 남성으로 집계됐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1~9월 육아휴직급여 수급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10만3596명)보다 37.0% 증가한 14만1909명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9월 말 기준 수급자가 지난해 연간 수급자(13만2535명)를 넘어섰다. 올해 남성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5만2279명으로 전체의 36.8%를 차지했다.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은 지난해 31.6%보다 5.2% 포인트 증가했다. 육아휴직 사용 여건이 열악한 중소기업에서도 사용률이 늘었다. 중소기업의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8만2620명(58.2%)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포인트 증가했다. 맞돌봄 문화 확산 등 인식 변화에 제도 개선 효과가 더해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노동부는 올해부터 육아휴직 급여를 월 최대 15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인상했다. 또 부모 둘 다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쓰면 휴직기간을 ...
기사 본문
고용노동부, 올해 1~9월 육아휴직 사용 통계 발표 전체 수급자 14만명…남성 비중 36.8% '역대 최대' 내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250만원으로 인상 대체인력·업무분담 지원 확대…현장 밀착 홍보도 추진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지난 8월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48회 베페 베이비페어에서 관람객들이 아기띠를 체험해보고 있다. 2025.08.14. bluesoda@newsis.com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올해 육아휴직을 사용한 근로자 셋 중 한 명이 남성으로 집계됐다. 또 중소기업 비중 도 전체 58.2%에 달해, 육아휴직 사용 문화가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는 14만1909명이었다. 지난해 전체 수급자 수(13만2535명)를 이미 넘었고, 같은 기간(10만3596명)보다 37.0% 증가했다. 특히 올해 남성 수급자 수는 5만2279명으로 전체 36.8%를 차지해 역...
기사 본문
올 9월 수급자 14만명 돌파…작년 연간 수급 추월 남성 수급 비중 37% 정부, 일·가정 양립 예산 확대 소규모 사업장에 더 크게 지원 '맞돌봄 문화' 확산 뒷받침…노사 부담 완화에 초점 챗GPT로 생성한 이미지 [파이낸셜뉴스] 올해 9월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가 14만명을 돌파하면서 벌써 지난해 연간 수급자 수를 추월했다. 남성 수급자 비중도 지난해보다 늘어 40%를 바라보고 있다. 맞돌봄·라떼파파(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아빠를 빗댄 스웨덴 표현) 문화도 확산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다. 올해 육아휴직급여액을 인상하는 등 일·가정 양립 문화 활성화를 지원 중인 고용당국은 내년 관련 예산을 확대해 노사 모두의 육아휴직 부담을 완화해 나갈 계획이다. ■9월 육휴급여수급자 이미 작년 추월…男비중 40% 향해서 28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는 14만1909명이다. 올해 4·4분기를 남긴 시점에서 지난해 연간 수급자 수(13만2535명) 대비 1만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