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브더칠드런·한국공항공사, 야간돌봄교실로 아동 학습 지원

2025년 10월 2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7개
수집 시간: 2025-10-28 16:33:0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중앙일보 2025-10-27 16:41:00 oid: 025, aid: 0003478130
기사 본문

전국이중언어말하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고 있는 드림지역아동센터 아동 세이브더칠드런과 한국공항공사가 함께 운영하는 ‘포티야(夜) 놀자’ 야간돌봄교실이 지역 아동들의 성장과 학습을 돕는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최근 이주배경 가정의 아동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학교 현장에서는 돌봄과 학습 지원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이에 학교와 지역사회 교육전문가가 협력해 아동을 지역아동센터로 연계하고 있으며, ‘포티야(夜)놀자’ 야간돌봄교실은 이러한 지원체계의 중심에서 아동들에게 안정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베트남, 중국, 캄보디아, 베네수엘라, 북한 등 다양한 국적의 아이들은 처음에는 한국어 의사소통이 서툴렀으나, 센터에서 운영되는 ‘포티야(夜) 놀자’ 프로그램을 통해 기초학습, 창의보드게임, 악기·독서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며 또래 관계를 형성하고 학교생활에도 빠르게 적응하고 있다. 드림지역아동센터를 방문하여 아동을 격려하고 있는 강서구 월정초등학교 주현준 교장 특히 안전한 환경 ...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8 15:44:44 oid: 003, aid: 0013563928
기사 본문

"국공립시설 확대, 임금체계 마련" 요구 [광주=뉴시스] 이현행 기자 = 민주노총 광주본부가 28일 오후 광주 서구 광주시청에서 '2025 국제돌봄의날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10.28. lhh@newsis.com [광주=뉴시스]이현행 기자 = 광주 노동단체가 '국제 돌봄의 날'을 하루 앞둔 28일 돌봄노동자 처우개선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광주본부는 이날 오후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돌봄노동자 대다수가 고용불안과 최저시급으로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노조는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123개 국정과제 관리계획에 돌봄노동자를 위한 정책은 단 한줄도 포함되지 않았다"며 "정부는 '개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을 세웠지만 200만 돌봄노동자의 열악한 현실은 철저히 외면당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 사회 요양시설 99%가 민간 위탁에 의존하고 국공립 어린이집은 22%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현실에서 좋은 돌...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8 15:26:24 oid: 001, aid: 0015706536
기사 본문

민주노총 국제돌봄의 날 기자회견 [민주노총 광주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연합뉴스) 김혜인 기자 = 민주노총 광주지역본부는 국제돌봄의 날을 하루 앞둔 28일 돌봄 노동자 처우 개선을 촉구했다. 노조는 이날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요양보호사, 장애인활동지원사, 아이 돌봄 노동자 등 200만 돌봄 노동자들이 5천만 국민의 삶을 떠받치고 있지만 임금, 고용, 노동환경은 여전히 열악하다"며 "돌봄을 사회적 책임으로 전환하고 공공이 중심이 되는 돌봄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출생·고령화 시대에 돌봄의 공공성 강화는 필수"라며 "국공립 돌봄 시설을 확대하고 공공돌봄 체계 확립, 돌봄 노동자 고용안정과 적정임금 보장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광주시를 향해 "평균 임금 160만 원 수준, 민간 위탁 중심의 시설 운영, 고용 불안이 지속되는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며 "광주사회서비스원 돌봄 관리사 월급제 시행 등 필수 돌봄 인력 처우 개선을 이...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27 17:13:09 oid: 018, aid: 0006148557
기사 본문

국회 토론회서 기초자치단체 실태조사 결과 중심 진단 "형식적 조직에 보건소 역할 모호…초보적 가이드라인" 본사업 첫해 예산 777억…"시범사업 반토막 수준" 지적도 [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내년 3월 전면 시행을 앞둔 통합돌봄 제도가 조직·인력·재정 부족으로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기초단치단체의 책임성은 강화됐으나 이에 상응하는 권한과 자원이 중앙정부로부터 충분히 보장되지 않아 이대로라면 형식적인 개시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제도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전담조직 의무화, 재정지원 확대 등 행정·재정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27일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통합돌봄 내년 3월 시행 문제 없나-기초자치단체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이지은 기자) 27일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는 ‘통합돌봄 내년 3월 시행 문제 없나-기초자치단체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인선 국민...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