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육아휴직 사용자 14만 명 돌파...남성 비율 36.8%

2025년 10월 2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0개
수집 시간: 2025-10-28 16:01:2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YTN 2025-10-28 12:01:15 oid: 052, aid: 0002265363
기사 본문

올 3분기까지 육아휴직 사용자가 14만 1,909명으로 지난해 전체 사용자 수를 추월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9월까지 육아휴직급여 수급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7% 늘어났으며, 남성 사용자 역시 증가해 셋 중 한 명 이상 꼴인 36.8%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아빠 육아휴직자 증가는 대기업만이 아니라 중소기업에서도 관찰돼, 3분기 기준으로 중소기업 육아휴직자 가운데 남성 비율이 31.2%로 처음 30%를 넘어섰습니다. 정부는 육아휴직급여를 월 최대 250만 원으로 올리는 등 관련 제도를 개선한 효과가 남성 육아휴직 확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자녀돌봄을 위해 중소기업 근로자가 임금삭감 없이 1시간 늦게 출근할 수 있게 사업주에게 월 30만 원을 지원하는 '육아기 10시 출근제'를 신설하는 등 중소기업에 대한 일·가정 양립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28 15:14:24 oid: 011, aid: 0004548701
기사 본문

올 14만명 돌파···남성 비중도 37% ‘최고’ 중소기업 사용도 늘면서 ‘휴직 양극화’ 해소 육아기 출근제 신설 등 정부 지원 더 확대 2일 대구 달서구 한 유치원에서 어린이들이 한복을 입고 송편을 빚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올해 육아휴직자가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었다. 육아 부담을 덜기 위해 장려해 온 ‘아빠 육아휴직자’가 증가세를 주도했다. 육아휴직을 늘린 정책 지원이 내년에도 확대될 예정이어서 증가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28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 1~9월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14만190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뛰었다. 올 휴직자는 지난해 규모 13만2535명도 넘어섰다. 올 휴직자는 육아휴직제도 도입연도(1988년) 기준으로 37년 만에, 유직급여제도 도입연도(2001년) 기준으로 24년 만에 최대치다. 통상적으로 여성보다 육아휴직을 덜 쓰는 남성이 휴직 증가세를 주도했다. 올해 전체 육아휴직자 중 남성은 5만2279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57% 급증...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0-28 15:26:14 oid: 374, aid: 0000471133
기사 본문

[앵커] 그간 모든 정부가 그래왔듯 이번 정부도 저출산 해소를 위해 다양한 제도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육아휴직 급여나 기간 등에 여러 개선이 이뤄졌는데, 이에 올해 들어 육아휴직이 아빠를 중심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광윤 기자, 우선 육아휴직 사용자가 얼마나 됩니까? [기자]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14만 2천여 명입니다. 이 가운데 남성 휴직자가 5만 2천여 명, 37%가량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년 전보다 비중이 4%p 넘게 늘어난 겁니다. 전체 육아휴직자 수 자체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늘어 이미 지난해 연간 규모를 넘겼는데요. 육아휴직 급여가 월 최대 150만 원에서 250만 원으로 오르고 부모 양쪽이 다 육아휴직을 쓸 경우, 기간을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하는 등 지원이 확대된 영향입니다. [앵커] 내년에는 또 다른 지원제도가 추가되죠? [기자] 내년부터 '육아기 10시 출근제'가 시행되는데요. 직원이 육아 때문...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28 13:46:14 oid: 014, aid: 0005425632
기사 본문

올 9월 수급자 14만명 돌파…작년 연간 수급 추월 남성 수급 비중 37% 정부, 일·가정 양립 예산 확대 소규모 사업장에 더 크게 지원 '맞돌봄 문화' 확산 뒷받침…노사 부담 완화에 초점 챗GPT로 생성한 이미지 [파이낸셜뉴스] 올해 9월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가 14만명을 돌파하면서 벌써 지난해 연간 수급자 수를 추월했다. 남성 수급자 비중도 지난해보다 늘어 40%를 바라보고 있다. 맞돌봄·라떼파파(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아빠를 빗댄 스웨덴 표현) 문화도 확산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다. 올해 육아휴직급여액을 인상하는 등 일·가정 양립 문화 활성화를 지원 중인 고용당국은 내년 관련 예산을 확대해 노사 모두의 육아휴직 부담을 완화해 나갈 계획이다. ■9월 육휴급여수급자 이미 작년 추월…男비중 40% 향해서 28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는 14만1909명이다. 올해 4·4분기를 남긴 시점에서 지난해 연간 수급자 수(13만2535명) 대비 1만명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