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에이징테크 융합 플랫폼 구축…퇴원환자 돌봄 강화

2025년 10월 2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7개
수집 시간: 2025-10-28 15:30:2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국민일보 2025-10-28 13:49:07 oid: 005, aid: 0001810596
기사 본문

포항시는 28일 퇴원환자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를 위한 에이징테크 웅합 플랫폼 조성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포항시 제공 경북 포항시는 28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퇴원환자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를 위한 에이징테크 융합 플랫폼 조성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정구봉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부원장, 김재효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장, 배영 포스텍 사회문화데이터사이언스연구소장, 박덕호 에스포항병원 의료연구소장 등 주요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지역사회 통합돌봄 모델 구축을 위한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협약은 퇴원 후 회복기에 있는 고령자들이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스마트 돌봄 기술과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해 재입원을 예방하는 선제적 돌봄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한국로봇융합연구원과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은 돌봄로봇 연구개발과 국비 유치, 지역 스타트업 육성 등 기술개발 및 산업 연계를 담당한다. 에스포항병원은 병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재활 분야 연구와 현...

전체 기사 읽기

프레시안 2025-10-28 14:57:10 oid: 002, aid: 0002411852
기사 본문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연구단체 ‘보건복지연구회’는 지난 27일 ‘경기도 지역사회 통합돌봄 법제 체계 확립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용역 착수보고회를 진행했다. 28일 도의회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경기도 특성에 부합하는 통합돌봄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입법·정책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된다. ▲‘경기도 지역사회 통합돌봄 법제 체계 확립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용역 착수보고회 기념촬영 ⓒ경기도의회 이번 연구용역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희영 교수가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하며, 경기도형 통합돌봄제도의 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목적, 향후 연구방향 및 내용에 대해 착수보고했다. 최만식 위원(더불어민주당, 성남2)은 연구진에게 “효율적인 경기도형 통합돌봄 체계를 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경기도에는 국·도비 사업으로 맞춤돌봄사업, 장기요양등급 외 자 대상으로 한 사업 등 노인을 중심으로 한 중복적인 사업이 ...

전체 기사 읽기

오마이뉴스 2025-10-28 13:44:10 oid: 047, aid: 0002492919
기사 본문

민주노총부산본부, 돌봄노동자 권리찾기 기자회견 개최... "공공 돌봄 체계 구축 필요" ▲ ‘돌봄노동자 처우개선, 노동기본권 보장하라’ 1029 국제돌봄의날 돌봄노동자 권리찾기 기자회견 ⓒ 민주노총부산본부 28일 화요일 오전 11시, 부산시청 광장에서 민주노총부산본부 주최로 '돌봄노동자 처우개선, 노동기본권 보장하라- 1029 국제돌봄의날 돌봄노동자 권리찾기' 기자회견이 개최됐다. 민주노총부산본부은 기자회견을 통해 "부산지역 돌봄 노동자의 노동환경 현실을 알리고, 국가와 지자체가 책임지는 공공 돌봄 체계 구축과 돌봄 중심 사회로의 전환을 강력히 요구한다. 또 돌봄 노동자의 처우개선과 고용안정에 책임 있게 나설 것을 촉구한다"며 요구안을 발표했다. 서비스연맹 돌봄서비스노조 인창 해피빌요양원분회 정문길 분회장은 "장기요양보험 제도가 생긴 지 20여 년이 다 되어 가는데도, 한결같은 최저임금과 부당한 처우를 받고 있다. 우리가 국제 돌봄의 날을 어찌 즐기며 웃을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27 17:13:09 oid: 018, aid: 0006148557
기사 본문

국회 토론회서 기초자치단체 실태조사 결과 중심 진단 "형식적 조직에 보건소 역할 모호…초보적 가이드라인" 본사업 첫해 예산 777억…"시범사업 반토막 수준" 지적도 [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내년 3월 전면 시행을 앞둔 통합돌봄 제도가 조직·인력·재정 부족으로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기초단치단체의 책임성은 강화됐으나 이에 상응하는 권한과 자원이 중앙정부로부터 충분히 보장되지 않아 이대로라면 형식적인 개시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제도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전담조직 의무화, 재정지원 확대 등 행정·재정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27일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통합돌봄 내년 3월 시행 문제 없나-기초자치단체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이지은 기자) 27일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는 ‘통합돌봄 내년 3월 시행 문제 없나-기초자치단체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인선 국민...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