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일자리 안전사고 4년 새 35%↑…“필수인력 2600명 중 600명뿐”

2025년 10월 2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9개
수집 시간: 2025-10-28 13:52:1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헤럴드경제 2025-10-28 13:35:08 oid: 016, aid: 0002548643
기사 본문

노인일자리 안전사고 2021년 2985건→2024년 4036건, 35% 증가 최근 4년간 연평균 사망사고 25.5건·골절사고 2018건, 평균 연령 77.6세 남인순 의원 “필요 2639명 중 613명만 확보…보상·예방체계 강화해야”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노인일자리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꾸준히 늘고 있는 가운데, 안전전담인력을 대폭 확충해 체계적인 예방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제출한 ‘노인일자리 안전사고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노인일자리 사업량 증가에 따라 안전사고 건수가 2021년 2985건에서 2024년 4036건으로 35%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인순 의원실 제공] 특히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평균 연령이 77.6세로 고령층이 많아 신체기능 저하로 인한 골절·낙상 등 안전사고가 빈번했다. 최근 4년간(2021~2024년) 연평균 사망사고는 25.5건, 골절사고는 2018건...

전체 기사 읽기

오마이뉴스 2025-10-28 13:16:18 oid: 047, aid: 0002492909
기사 본문

[국감-보건복지위] 남인순 의원, 사업 담당자 6939명 중 정규직 72명뿐... "처우개선 시급" ▲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 국회방송 화면 갈무리 올해 정부 지원 노인일자리 사업에 100만 명이 넘어서면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실제 일자리 수요에는 절반도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 사업은 2004년 2만5000명, 212억 원의 예산을 시작해 올해 109만8000명, 2조 1847억 원 규모로 확대됐다.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제출받은 '노인일자리 수요 및 노인일자리 제공 현황'에 따르면 노인일자리를 희망하는 노인은 236만 6000명으로, 노인일자리 수요 충족률은 46.4%이었다.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활동 및 근로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의 경우 2024년에는 전체 응답자의 89.2%('매우 만족' 44.6%, '만족' 44.6%)가 '만족'한다고 ...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28 06:00:05 oid: 032, aid: 0003404807
기사 본문

‘2025년 노인일자리 모집’ 신청 첫날이었던 지난해 12월 5일 서울 동대문 시니어클럽에서 어르신들이 일자리 신청을 위해 줄을 서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타인의 도움 없이 홀로 생활하기 어려운 어르신들이 국가가 제공하는 ‘돌봄’을 포기하고,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가 심각한 노인 빈곤 현실과 유리된 채 운영된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20년부터 2025년 9월까지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1~5등급, 인지지원등급 포함) 판정을 받은 어르신 829명이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신체·인지적 기능 저하’로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노인들에게 재가(방문요양·주야간 보호 등)·시설 돌봄을 지원하는 것이다. 정부가 돌봄이 필요하다고 본 노인 중에도 당장 수입이 급해 노인 일자리를 택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런 ...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8 13:34:19 oid: 016, aid: 0002548642
기사 본문

수요 충족률 46.4% 그쳐…“빈곤·의료비 절감 등 효과, 지속 확대 필요” 서울 한 노인복지관에 일자리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정부가 올해 처음으로 100만개가 넘는 노인일자리를 지원했지만, 실제 일자리를 원하는 노인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양적 확대를 넘어, 고령층의 역량과 수요에 맞는 ‘질적 일자리’ 확충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정부 예산상 노인일자리 창출 목표는 109만8000개로 처음으로 100만개를 넘어섰다. 하지만 일자리를 희망하는 노인은 236만6000명에 달해, 전체 수요 대비 충족률은 46.4%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남 의원은 “노인일자리 사업이 양적으로는 성장했지만, 여전히 절반 이상의 노인이 참여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노인 빈곤 완화와 건강 증진 효과가 입증된 만...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