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서대, AI 해커톤 2관왕… '생성형 AI·보안 알고리즘' 모두 대상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시니어 맞춤 문서요약 서비스·키스트로크 보안 솔루션으로 혁신성 인정 호서대학교가 전국 대학 AI 해커톤 무대에서 기술력과 창의성을 동시에 입증했다. 한국컴퓨터교육학회가 주관한 '2025 캡스톤디자인 및 AI 해커톤 경진대회'에서 생성형 AI 활용 부문과 AI 알고리즘 부문 모두 대상을 수상하며 'AI 융합 명문대학'의 위상을 굳혔다. 28일 호서대에 따르면 이번 대회는 안랩, 카카오, SK브로드밴드 등이 후원하고,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과 실무형 AI 역량 강화를 목표로 지난 24일부터 3일간 강촌에서 열렸다. 호서대는 생성형 AI 부문에서 '시니어 계층을 위한 문서 요약 안내 서비스'로 대상을 거머쥐었다. 이 서비스는 공공기관, 병원, 은행 등에서 발송되는 복잡한 문서 내용을 자동으로 요약해주는 OCR(광학문자인식) 기반 시스템으로, 고령층의 정보 접근성을 높여 초고령사회에 맞는 실용적 기술로 평가받았다. AI 알고리즘 부문에서는 'AI 키스트로크 보안 솔루션'이 대상을 수상...
기사 본문
AI 키스트로크 보안 솔루션·OCR 기반 시니어 문서요약 서비스로 최고상 수상 '2025 캡스톤디자인 및 AI 해커톤'에서 수상한 학생들과 관계자들이 단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순천향대학교 순천향대학교는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강원도 강촌 엘리시안리조트에서 열린 '2025 캡스톤디자인 및 AI 해커톤'에서 AI 알고리즘 활용 분야와 생성형 AI 활용 분야 모두 대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해커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SW중심대학사업의 일환으로, 순천향대·경기대·한신대·호서대 SW중심대학사업단과 성균관대 인공지능혁신융합대학사업단이 공동 주최했다. 대학별 추천을 받은 학생 100명이 참가해 AI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기획·개발·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AI 알고리즘 활용 분야에서는 순천향대 정영웅(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3학년) 학생이 참여한 연합팀이 'AI 키스트로크 보안 솔루션'을 제안해 대상을 수상했다. 해당 기술은 키...
기사 본문
[아산=뉴시스] 2025 캡스톤디자인 및 AI 해커톤 경진대회에 참여한 호서대 학생들.(사진 한국기술대학교 제공).2025.10.28.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아산=뉴시스]송승화 기자 = 호서대학교는 '2025 캡스톤디자인 및 AI 해커톤 경진대회'에서 생성형 AI 활용 부문과 AI 알고리즘 부문 모두 대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24일부터 3일간 강촌에서 열린 대회에서 '시니어 계층을 위한 문서 요약 안내 서비스'와 'AI 키스트로크 보안 솔루션'을 각각 출품해 두 부문에서 최고상을 받았다. 대회는 한국컴퓨터교육학회가 주관하고 안랩, 카카오, SK브로드밴드 등이 후원했으며 호서대와 성균관대, 경기대 등 5개 대학이 참가했다. 생성형 AI 부문에서 대상을 받은 '문서 요약 안내 서비스'는 공공기관, 병원, 은행 등에서 전달되는 복잡한 문서를 광학문자인식(OCR) 기술을 활용해 자동으로 요약·안내하는 시스템이다. AI 알고리즘 부문에서는 사용...
기사 본문
2025년 캡스톤 디자인 및 AI 해커톤 기념사진(사진=성균관대) 성균관대학교는 인공지능혁신융합대학사업단이 한국컴퓨터교육학회와 공동 주최한 '2025년 캡스톤 디자인 및 AI 해커톤' 경진대회를 24일부터 26일까지 2박3일 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순천향대 SW중심대학사업단, 호서대 AI·SW중심대학사업단, 경기대 SW중심대학사업단, 한신대 SW중심대학사업단 등이 참여했다. 각 대학은 인공지능(AI) 분야와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 뛰어난 학생들을 교내 치열한 예선을 통해 성균관대, 순천향대, 호서대, 경기대, 한신대 학생 20명을 선발해 전체 100명의 학생이 해커톤 행사 당일 팀빌딩을 통해 20개의 팀으로 구성하고 '생성형AI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과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서로 선의의 경쟁을 치렀다. 이번 경진대회는 SK 브로드밴드, 카카오, 한컴인스페이스, 영림원 소프트랩, 아이티센앤텍, 진인프라, 넥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