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외국인 계절근로자 기숙사 지원사업 18곳으로 추가 확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전남도는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안정적 정주 여건을 마련하고 농번기 인력난 해소를 위해 주거 안정 지원사업을 확대한다고 28일 밝혔다. 전남도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숙소 확충을 위해 2025년까지 15개소의 건립·개보수를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농림축산식품부에 최초 건의해 추진된 2022년 ‘농업근로자 기숙사 건립사업’으로 4곳(담양, 해남, 영암, 무안)을 건립해 운영하고 있다. 도 자체사업으로 11곳을 지원했다. 주거안정 지원사업으로 조성된 무안군 기숙사. 전남도 제공 또 내년에 농식품부 국비 공모사업에 참여해 진도군(35억원 투입)이 선정됨에 따라 기숙사를 더 확충할 계획이다. 여기에 2026년 도 자체사업으로 2곳을 추가 지원할 계획으로 국비 공모가 확정된 1곳까지 포함하면 총 3곳을 더 갖추게 된다. 전남도는 올해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전국에서 가장 많은 1만5025명을 배정받았다. 10월 현재 9000여명이 입국해 근로 중이며, 무·배추 수확, 마늘·양파 파종 작업 등...
기사 본문
올해까지 15개소 건립·개보수…2026년 진도 등 3곳 추가 계획 주거안정 지원사업- 담양군 기숙사. 전라남도 제공 전라남도는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안정적 정주 여건을 마련하고 농번기 인력난 해소를 위해 주거 안정 지원사업을 확대한다고 28일 밝혔다. 전남도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숙소 확충을 위해 2025년까지 15개소의 건립·개보수를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농림축산식품부에 최초 건의해 추진된 2022년 '농업근로자 기숙사 건립사업'으로 4개소(담양, 해남, 영암, 무안)를 건립해 운영하고 있고, 도 자체사업으로 11개소를 지원했다. 또한 2026년 농식품부 국비 공모사업에 참여해 진도군(35억 원 투입)이 선정됨에 따라 기숙사를 더 확충할 계획이다. 여기에 2026년 도 자체사업으로 2개소를 추가 지원할 계획으로 국비 공모가 확정된 1개소까지 포함하면 총 3개소를 더 갖추게 된다. 전남도는 올해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전국에서 가장 많은 1만 5025명을 배정받았다. 10월 현...
기사 본문
▲ 무안군 농업근로자 기숙사 [전라남도] 전라남도가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안정적 정주 여건을 마련하고 농번기 인력난 해소를 위해 주거 안정 지원사업을 확대합니다. 전남도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숙소 확충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에 최초 건의해 추진된 2022년 '농업근로자 기숙사 건립사업'으로 해남과 담양, 영암, 무안 등 4곳에서 기숙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 도 자체사업으로 11개소를 지원하는 등 모두 15개소의 건립·개보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6년 농식품부 국비 공모사업에 참여해 진도군(35억 원 투입)이 선정됨에 따라 기숙사를 더 확충할 계획입니다. 여기에 2026년 도 자체사업으로 2개소를 추가 지원할 계획으로 국비 공모가 확정된 1개소까지 포함하면 총 3개소를 더 갖추게 됩니다. ▲ 담양군 농업근로자 기숙사 [전라남도] 전남도는 올해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전국에서 가장 많은 1만 5,025명을 배정받았습니다. 10월 현재 9천여 명이 입국해 현장에서 근로 중...
기사 본문
담양 농업근로자 기숙사.(전남도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10.28/뉴스1 (무안=뉴스1) 전원 기자 = 전남도는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안정적 정주 여건을 마련하고 농번기 인력난 해소를 위해 주거 안정 지원사업을 확대한다고 28일 밝혔다. 전남도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숙소 확충을 위해 2025년까지 농업근로자 기숙사 15개소를 건립하거나 개보수를 지원하고 있다. 도는 2026년 농식품부 국비 공모사업에 참여해 진도군(35억 원 투입)이 선정됨에 따라 기숙사를 더 확충할 계획이다. 여기에 2026년 도 자체 사업으로 2개소를 추가 지원할 계획으로 국비 공모가 확정된 1개소까지 포함하면 총 3개소를 더 갖추게 된다. 전남도는 올해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 1만 5025명을 배정받았다.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다. 현재 9000여 명이 입국해 근로 중이다. 무·배추 수확, 마늘·양파 파종 작업 등을 위해 하반기에도 계속 입국할 예정이다. 매년 늘어나는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인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