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전복' 산업...양식장 감축 등 특단 대책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앵커] 한때 전남 어민의 고소득원이었던 전복 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생산량은 늘어나는데 소비는 줄어들면서 가격이 크게 하락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전라남도가 양식장을 대폭 감축하는 등 특단의 대책 추진에 나섰습니다. 김범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기후 변화로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면서 갈수록 늘고 있는 전복의 집단 폐사. [한명근 / 전복 폐사 피해 어민 : 여름에 올해 고수온으로 인해 전복이 폐사가 발생했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도 피해 입은 전복들이 폐사가 발생해 이 가두리는 한 70% 정도 폐사를….] 하지만 전복 양식 기술이 발달하고 양식 면적도 늘어나면서 총 전복 생산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반면 불경기 등으로 소비가 줄어들면서 전복 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실제로 전복 생산량은 지난 10년 동안 세 배 이상 늘었지만, 산지 전복 가격은 1㎏에 4만6천 원에서 2만3천 원 선으로 절반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이에 따라 전복 어가의 평균 대출액도 1억2천만 ...
기사 본문
시설 감축·브랜드화 등 5대 맞춤형 지원사업 추진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27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금융지원, 유통혁신 등 전복 산업 위기 극복 5대 시책을 발표하고 있다. 전남도 제공 전남지역 전복 산업이 구조적 위기에 놓였다. 과잉 생산과 소비 둔화가 겹치면서 가격이 급락하고 어가의 부채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전남도는 시설 감축과 금융지원, 유통혁신을 통해 전복 산업 위기를 극복한다는 방침이다. 전남도는 27일 도청에서 전복 산업 위기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전남은 전국 전복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최대 산지다. 2024년 말 기준 전국 전복 생산량은 2만3430t으로, 이 가운데 전남지역이 2만3335t(99.6%)을 차지했다. 생산액 역시 4864억원으로 전국의 98.8%에 달한다. 생산량은 2014년 8887t에서 지난해 2만3355t으로 163% 급증했다. 전국 전복 양식면적 7637㏊ 가운데 전남이 81%(6188㏊)를 차지하며, 이 중 완도군이 3313㏊(53...
기사 본문
전남도, 5대 지원책 추진…금융안전망 강화 대출구조 개선…제품 국산·브랜드화도 지원 [무안=뉴시스]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27일 오후 전남도청 4층 브리핑룸에서 전복산업 위기 극복 5대 시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제공) 2025.10.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무안=뉴시스] 구용희 기자 = 전남도는 산지가격 하락과 어가 부채 누적, 소비 둔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전복 양식어가의 경영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분야별 지원책을 마련, 단계적 추진에 들어간다고 27일 밝혔다. 전남의 전복 생산량은 종자 생산과 양식기술 발달, 가두리 시설량 증가 등이 맞물리면서 2014년 8887t에서 지난해 2만3355t으로 10년 동안 163% 늘었다. 반면 전복 산지 가격은 과잉 생산과 소비 둔화로 같은 기간 절반 수준으로 하락, 어가의 경영 부담이 늘고 있다. 실제로 전복 산지가격은 1㎏(10미) 기준 2014년 4만6304원에서 지난해 2만3222원, 올...
기사 본문
10년 만에 산지 가격 '반토막'…양식 어가 부채도 심각 브리핑하는 김영록 전남지사 [전남도 제공.재판매 및 DB금지] (무안=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전남도는 전복 산지 가격 폭락에 따른 양식 어가의 경영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생산량, 금융지원, 유통구조 개선 등 분야별 지원책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날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복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5대 시책을 발표했다. 전남도는 ▲ 전복 가두리 시설 감축 지원 ▲ 소규모·영세 어가 금융안전망 구축 ▲ 대출구조 개선 ▲ 전복 제품 국산화 및 브랜드화 지원 ▲ 원스톱 통합거점센터 조성 등 5대 맞춤형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전복 공급 과잉을 완화하고 산지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앞으로 5년간 총 320억 원을 들여 전복 가두리 시설 10만 칸을 단계적으로 감축할 계획이다. 전복 양식 어가의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한 금융안전망도 구축한다. 연 매출 5억 원 미만, 300칸 이하 영세·소규모 어가를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