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소비쿠폰, 31일 오후 6시까지 신청하세요”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11월 30일까지 사용해야… 미사용 잔액 국고 귀속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온·오프라인 신청이 금요일인 오는 31일 오후 6시에 마감된다. 2차 소비쿠폰은 소득 하위 90%에 10만원씩 주어진다. 기간 내 신청하지 않으면 10만원을 받지 못한다. 27일 0시 현재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급 대상자의 3.56%가 아직 수령하지 않았다. 지금껏 4403만명(96.44%)에 총 4조4035억원이 주어졌다. 신청·지급률이 높은 곳은 대구·울산·인천, 낮은 곳은 서울·제주·경기 순이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안내문. /행정안전부 제공 신용·체크카드로 지급을 원하는 국민은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사의 홈페이지·앱(애플리케이션)·콜센터·ARS 등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카드와 연계된 은행 영업점에서도 방문 신청할 수 있다. 모바일·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충전을 원하면, 주소지 관할 지방정부의 지역사랑상품권 홈페이지·앱에서 신청할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 지류·선불카드 직접 수령을 원한다면 관...
기사 본문
3.7% 지급 신청하지 않아…10월31일 이후 소멸 경기도의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대상자 가운데 약 44만명이 아직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2차 쿠폰은 31일 오후 6시 신청이 종료되며 지급되지 않은 금액은 자동 소멸한다. 경기도 광교 청사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2차 소비쿠폰 대상자는 총 1212만여명으로, 전날 기준 1168만여명(96.3%)이 신청했다. 대상자 가운데 중 3.7%는 아직 신청하지 않았다. 앞서 1차 소비쿠폰의 경우 지급률은 98.9%를 기록했다. 1357만여명이 2조1593억원을 받았다. 아울러 지급된 1·2차 소비쿠폰(3조3275억원)의 91.5%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소비쿠폰은 경기도와 산하 시·군이 9대 1의 비율로 매칭해 재원을 마련했다. 김해련 경기도 복지정책과장은 “소비쿠폰 사업이 도민에게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지역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는 효과를 내고 있다”며 “소비쿠폰을 못 받는 도민이 없게 시·군과 협력해 별...
기사 본문
기간 내 신청하지 않을 경우 지급받을 수 없어 ‘찾아가는 신청’도 운영 중 1·2차 소비쿠폰 모두 11월 30일까지 사용해야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행정안전부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온라인·오프라인 신청이 오는 31일 마감되는 만큼 미신청자의 신청을 독려한다고 27일 밝혔다. (사진=행정안전부) 대상자에 해당하지만 아직 2차 소비쿠폰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기간 내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해야 한다. 기간 내에 신청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비쿠폰을 지급받을 수 없다. 신용·체크카드로 지급을 원하는 국민은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사의 누리집이나 앱, 콜센터와 ARS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카드와 연계된 은행 영업점에 직접 방문 신청도 가능하다. 모바일 또는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충전을 희망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지방정부의 지역사랑상품권 누리집 또는 앱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 직접 수령을 원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또...
기사 본문
1·2차 소비쿠폰 사용기한 11월 30일…안 쓰면 국고 환수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31일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마감된다. 지급 대상자에 해당하지만, 아직 2차 소비쿠폰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기한 내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해야 한다. 기한 내에 신청하지 않을 경우 소비쿠폰을 지급받을 수 없다. 신용·체크카드로 지급을 원하는 국민은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사의 누리집이나 앱, 콜센터와 ARS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카드와 연계된 은행 영업점에 직접 방문해 신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바일 또는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충전을 희망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지방정부의 지역사랑상품권 누리집 또는 앱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 직접 수령을 원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주민센터, 읍·면사무소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31일까지 2차 소비쿠폰 신청하세요" [행안부...
기사 본문
- 33만8천여 명 지급 완료 - 전통시장 등 사용 가능…10만 원 소비쿠폰 지급 대상 확인 당부 장인홍 구로구청장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대기 중인 어르신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구로구청 제공 서울 구로구는 10월 31일까지 진행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마감 주간을 맞아 미신청자를 대상으로 한 신청 독려에 나서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소비쿠폰은 고물가 상황 속 가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에게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한다. 지급 대상은 고액자산가를 제외하고, 2025년 6월 건강보험료 기준 소득 하위 90%에 해당하는 가구다. 지급 방식은 1차와 동일하게 신용·체크카드, 서울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선택할 수 있다. 10월 26일 기준, 구로구 전체 지급 대상 약 35만 명 중 33만8천여 명(96.5%)이 소비쿠폰을 수령했다. 이 중 선불카드는 전체의 18%를 차지했다. 동별로는 오류2동, 개봉1동, 고척1동 등이 높은 지급률...
기사 본문
미신청시 사용 불가 행정안전부는 27일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온라인・오프라인 신청이 오는 31일 마감된다고 밝혔다./과천=박헌우 기자 행정안전부는 27일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온라인・오프라인 신청이 오는 31일 마감된다고 밝혔다. 대상자가 2차 소비쿠폰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기간 내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해야 한다. 기간 내에 신청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비쿠폰을 지급받을 수 없다. 신용·체크카드로 지급을 원하는 국민은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사의 누리집이나 앱, 콜센터와 ARS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카드와 연계된 은행 영업점에 직접 방문 신청도 가능하다. 모바일 또는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충전을 희망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지방정부의 지역사랑상품권 누리집 또는 앱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 직접 수령을 원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또는 주민센터, 읍·면사무소)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기사 본문
서울 한 전통시장 상점에 붙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안내문 모습. [사진 연합뉴스]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오는 31일 마감된다. 아울러 1, 2차 소비쿠폰의 사용기한은 11월 30일까지이므로 그 전에 모두 쓰지 않으면 국고 환수된다. 27일 정부에 따르면 26일 밤 12시 기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급대상자의 96.44%인 4403만명에게 4조435억원이 지급됐다. 주요 시도별 신청·지급률을 보면 대구시가 97.08%로 가장 높았다. 울산시 96.99%, 인천시 96.99% 등도 높게 나타났다. 지급 대상자이면서 아직 2차 소비쿠폰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이번주 금요일인 10월 31일까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해야 한다. 기한 내에 신청하지 않을 경우 소비쿠폰을 지급받을 수 없다. 신용·체크카드로 지급을 원하는 국민은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사의 누리집이나 앱, 콜센터와 ARS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카드와 연계된 은행 영업점에 직접 방문해 신청하는 것도 ...
기사 본문
26일 기준 대상자의 96.44% 신청 카드사 누리집·앱·ARS, 지역사랑상품권 누리집·앱, 연계 은행 영업점,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행정안전부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온라인·오프라인 신청이 오는 31일에 마감된다고 27일 안내했다. 이에 따라 대상자에 해당하지만 아직 2차 소비쿠폰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기간 내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해야 하고, 기간 내에 신청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비쿠폰을 지급받을 수 없다. 신용·체크카드로 지급을 원하는 경우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사의 누리집이나 앱, 콜센터와 ARS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고, 카드와 연계된 은행 영업점에 직접 방문 신청도 가능하다. 모바일 또는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충전을 희망하는 경우 주소지 관할 지방정부의 지역사랑상품권 누리집 또는 앱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고,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 직접 수령을 원하는 경우에는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또는 주민센터, 읍·면사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