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로봇 활용 논의…국립재활원 '돌봄로봇네트워크포럼' 개최

2025년 10월 2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0개
수집 시간: 2025-10-28 00:02:4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시스 2025-10-27 09:00:00 oid: 003, aid: 0013559166
기사 본문

서울 서초구 엘타워 오르체홀서 진행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국립재활원은 27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 오르체홀에서 '2025 돌봄로봇네트워크포럼'을 개최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2월 전체 인구의 20%가 고령인구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에 따라 돌봄 인력 부족과 돌봄 공백이 심화하면서 로봇 기술을 활용한 돌봄 서비스가 필수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포럼은 5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양영애 인제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수요자 중심 돌봄로봇 및 서비스 실증 연구개발 사업의 장애인 실증, 노인 실종, 돌봄부담가치 과제의 현황 발표와 논의가 진행됐다. 두 번째 세션은 김승종 고려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스마트돌봄로봇 기술 및 실증 연구개발 다부처 협업 사업 소개 등을 다뤘다. 세 번째 세션부터 다섯 번째 세션까지는 착용형 로봇, 인체 영향성 분석, 식사, 배설, 목욕, 안전성, 욕창, 모니터링, 커뮤니케이션, 인공지능(AI) 챗봇 등 다양한 과제를 ...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27 17:13:09 oid: 018, aid: 0006148557
기사 본문

국회 토론회서 기초자치단체 실태조사 결과 중심 진단 "형식적 조직에 보건소 역할 모호…초보적 가이드라인" 본사업 첫해 예산 777억…"시범사업 반토막 수준" 지적도 [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내년 3월 전면 시행을 앞둔 통합돌봄 제도가 조직·인력·재정 부족으로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기초단치단체의 책임성은 강화됐으나 이에 상응하는 권한과 자원이 중앙정부로부터 충분히 보장되지 않아 이대로라면 형식적인 개시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제도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전담조직 의무화, 재정지원 확대 등 행정·재정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27일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통합돌봄 내년 3월 시행 문제 없나-기초자치단체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이지은 기자) 27일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는 ‘통합돌봄 내년 3월 시행 문제 없나-기초자치단체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인선 국민...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0-27 17:02:33 oid: 028, aid: 0002773050
기사 본문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강당에서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등이 주최한 토론회 ‘통합돌봄 내년 3월 시행 문제없나’가 열리고 있다. 허윤희 기자 내년 3월 전국으로 확대 시행하는 통합돌봄 제도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전담인력 확충과 재정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이배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전문위원은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토론회 ‘통합돌봄 내년 3월 시행 문제없나’에서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전문위원은 지난 9월2일부터 열흘간 진행한 통합돌봄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 52개의 실태조사(애로점과 건의사항 의견수렴) 결과를 발표했다. 이를 보면, 지자체들은 전담조직 구성의 미비, 재정 부담, 의료인프라 미비, 중앙과 지방 간 역할 불균형 등을 풀어야할 과제로 꼽았다.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 제정에 따라 내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통합돌봄 사업이 시행된다. 통합돌봄은 돌봄이 필요한 노...

전체 기사 읽기

부산일보 2025-10-27 09:59:11 oid: 082, aid: 0001350626
기사 본문

차귀숙 국민건강보험공단 부산연제지사 차장 세상에서 가장 고귀하고 아름다운 일은 누군가의 삶을 지켜주는 일이다. 매 순간 장기요양 현장에서 따뜻한 손길을 건네는 돌봄 종사자들의 하루하루가 바로 그 일을 실천하는 과정이다. 누군가의 부모와 배우자, 자녀를 위해 헌신하며 묵묵히 자신의 자리를 지키는 이들의 따뜻한 마음은 지역사회 돌봄의 든든한 기반이자, 우리 사회복지 안전망의 최전선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희망의 불씨이다. 그 헌신과 정성 덕분에 많은 어르신들이 익숙한 자신의 집에서 건강하고 존엄하게 사람의 온기를 느끼며 생활할 수 있다. 우리 사회는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노인 다섯 명 중 한 명이 일상적 도움이 필요하지만, 현장의 돌봄 인력은 점점 줄고 있다. 건강보험연구원에 따르면, 2028년이면 요양보호사 인력이 11만 명 이상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격증을 가진 사람은 많지만 실제 현장에서 활동하는 요양보호사는 4명 중 1명에 불과하며, 평균 연령은 60세를 넘어섰다.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