法 "'공갈 협박' 유튜버 구제역·주작감별사, 쯔양에 7500만원 배상"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유튜버 쯔양(박정원)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1250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이 자신을 협박하고 금전을 갈취한 사이버 렉카 유튜버 구제역(이준희·33)과 주작감별사(전국진)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일부 승소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212단독 김혜령 판사는 27일 쯔양이 구제역과 주작감별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이씨는 원고(쯔양)에게 7500만 원 및 이에 대한 지연이자를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또 주작감별시에게는 구제역이 쯔양에게 지급해야 할 금액 중 5000만 원을 공동으로 배상하라고 명령했다. 쯔양은 구제역에게 1억원, 주작감별사에게 5000만원을 청구한 바 있다.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는 지난해 7월 구제역과 주작감별사 등이 쯔양에게 과거 사생활 폭로를 빌미로 금품을 갈취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쯔양은 자신의 유...
기사 본문
[앵커] 법원이 유명 유튜버 쯔양의 사생활 폭로 협박을 한 유튜버 구제역에게 7,500만원을 배상하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미 구속 상태인 구제역은 형사 책임에 이어 민사 배상 책임도 지게 됐습니다. 진기훈 기자입니다. [기자] 유튜버 구제역과 주작감별사는 지난 2023년 2월 유튜버 쯔양에게 탈세와 사생활 관련 의혹을 제보받았다며 공개하겠다고 협박해 쯔양으로부터 5,500만 원을 받아냈습니다. 결국 지난해 8월 공갈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1심에서 구제역은 징역 3년의 실형을, 주작감별사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3년을 각각 선고받았습니다. 형사 재판에 더해 지난해 9월 쯔양 측은 구제역에게 1억원, 주작감별사에게 5,000만원을 청구하는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는데, 법원은 이들 사이버렉카들에게 형사 책임에 이어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도 인정했습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은 구제역은 쯔양에게 7,500만 원을 배상하고, 주작감별사는 구제역과 공동으로 5,000만 원을 배상하라고 원고...
기사 본문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데일리안 = 이정희 기자] ▲주진우 "李대통령, '아들 삼청각 결혼식' 축의금 총액·명단 밝혀야"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이 최근 국정감사 기간 동안 국회에서 자녀의 결혼식을 진행해 피감기관과의 이해충돌 논란을 일으킨 더불어민주당 소속 최민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의 사례를 들며,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지난 6월 아들 결혼식에서 받은 축의금 총액과 명단을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진우 의원은 27일 페이스북에 '권력자의 저금통, 축의금의 소유권'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이재명 대통령은 이해관계자가 광범위하다. 이해충돌 없는지 (아들 결혼식의) 축의금 총액과 명단을 밝혀야 한다"며 이같이 적었다. 먼저 주진우 의원은 "최민희 위원장이 '권력자의 축의금 정가가 최소 100만원'이라는 사실을 인증했다"며 "수백 개의 화환, 수백 명의 하객, 수억 원의 축의금이 직관적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앞서 지난 26일 서울신문이 보도한 사진에 따...
기사 본문
유튜버 쯔양(박정원)이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인기 먹방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이 자신을 협박하고 금전을 갈취한 '사이버렉카' 유튜버들을 상대로 낸 1억원대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일부 승소했다. 27일 서울중앙지법 민사212단독 김혜령 판사는 쯔양이 구제역(본명 이준희)과 주작감별사(본명 전국진)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 재판부는 구제역에 대해 7500만원을, 주작감별사에 대해서는 위 7500만원 가운데 5000만원을 구제역과 공동으로 쯔양에게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그에 따른 지연 이자도 함께 지급하라고 명령했다. 유튜브에서 사이버렉카로 활동한 구제역과 주작감별사 등은 2023년 2월 쯔양을 협박해 돈을 갈취하기로 공모하고 5500만원을 받아낸 바 있다. 사이버렉카는 금전적 이익 등을 위해 유명인들의 부정적인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