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없는 '홍준표 국감'…與, 대구 박정희 동상·취수원 사업 질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the300][2025 국정감사] (대구=뉴스1) 공정식 기자 =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27일 오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구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2025.10.2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대구=뉴스1) 공정식 기자 27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대구광역시 국정감사에서 홍준표 전 대구시장 시절 각종 사업이 도마 위에 올랐다. 범여권 의원들은 동대구역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건립부터 대구취수원 이전 협약 파기 등을 두고 비판을 쏟아냈다. 행안위는 이날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대구시를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이날 국정감사는 지난 6·3 대선 도전으로 홍 전 시장이 사퇴함에 따라 시장이 공석인 상태로 치러졌다. 이날 범여권 소속 행안위원들은 홍 전 시장 재임 당시 행정을 중심으로 공세를 가했다. 이상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사 본문
◀앵커▶ 대구시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가 2년 만에 열렸습니다. 대구경북신공항 건설과 취수원 이전, 박정희 동상 건립 등 홍준표 전 시장에 시절 추진했던 각종 정책들이 도마 위에 올랐는데요. 첫 소식, 박재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시장이 공석인 상황에서 2년 만에 열린 대구시 국정 감사. 동대구역 박정희 동상 문제가 뜨거웠습니다. 충분한 공론화 과정이 없이 졸속으로 처리해 후유증이 이어지고 있다는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 "첫 회의 때 주요 안건 중의 하나가 동상 훼손 방지 대책을 포함한 건립 방안 마련이었어요. 동상 만들기도 전에 훼손부터 걱정하고 있어요" 극우 단체들이 동대구역 광장에서 탄핵 반대 집회 등을 하면서 대구시 조례에 규정된 1주일 전 신고가 이뤄지지 않았는데도 허가를 해 줬다며 편향된 조치라는 질타도 나왔습니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대구시 조례는 그냥 멋으로만 있는 겁니까? 대행님. 이렇게 막 어겨도 됩니까?" ◀김정기 대구...
기사 본문
[국회 행안위 국감] 민주당 "대구, 박정희 향수서 벗어나야"…국힘 "공 있는 인물 기릴 수 있다" 맞불 ▲ 27일 오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이 선서를 하고 있다. ⓒ 조정훈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구시 국정감사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건립을 두고 고성이 오갔다. 27일 오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대구시 국정감사에서 이상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동대구역 광장에 있는 박정희 동상과 관련해 여러 법적 분쟁이 있고 불침범 초소도 있다"며 "누가 훼손할까 걱정하면서까지 동상을 세울 필요가 있느냐"라고 따졌다. 이 의원은 "저는 박정희 대통령의 공이 과보다 조금 더 많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렇지만 아직 역사적 평가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고 그 피해로 고통 받는 분들이 아직 계신다. (박정희 동상이) 과연 대구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겠느냐. 대구가 이제 박정희 전 대통령의 향수나 의존에서 벗어나야 한다"라고 지적했...
기사 본문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27일 대구시 산격청사에서 대구시를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하고 있다. 백경열 기자 대구시를 대상으로 27일 열린 국정감사에서는 ‘박정희 동상’ 등 홍준표 전 시장 재임 때 행정의 적절성 등이 주로 도마 위에 올랐다.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진행한 국감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사업에 대한 여당 의원들의 문제 제기가 주를 이뤘다. 대구시가 지난해 동대구역 광장에 세운 박 전 대통령 동상을 두고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한다는 목적으로 세운 동상이 볏단을 들고 있는데 컨셉에 맞지 않다”면서 “박정희기념사업 추진위원회의 회의록 등 정보 또한 대구시가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기념사업 추진위가 진행한 4번의 회의 중 첫 회의에서 ‘동상 훼손 방지책을 포함한 건립방안 마련’이 주요 안건으로 논의됐다는 점도 꼬집었다. 박정희 동상을 만들기 전에 훼손부터 걱정했다는 것이다. 사회적 논란을 우려해 정보를 미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