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뺀 픽시자전거 유행하더니…청소년 사고 1년새 50% 늘어
관련 기사 목록 10개
기사 본문
20세이하운전자 사고 1077→1620건 행안부, 브레이크 제거 방지법안 추진 브레이크 없는 픽시 자전거는 제동 중 사고가 잦은 편이다. [인터넷 커뮤니티] 자전거도로가 전국적으로 3% 늘어나는 등 이용 환경은 개선됐지만, 청소년 자전거 사고는 1년 새 50%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가 27일 발표한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에 따르면, 자전거 교통사고는 5571건으로 전년(5146건)보다 8.3%(425건) 늘었다. 같은 기간 사망자는 75명으로 17% 증가했다. 특히 20세 이하 운전자의 사고가 1077건에서 1620건으로 급증해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자전거도로는 전년 대비 882㎞(3.3%) 늘어 전체의 74.4%인 2만660㎞가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로 조사됐다. 지방정부가 자전거도로 확충에 힘쓴 결과 2020년(2만4484㎞) 대비 13.4% 증가했다. 공영자전거는 전국적으로 6만9572대로 6.2% 늘었고, 대여 실적은 약 5800만 ...
기사 본문
도로에서 픽시 자전거 타는 학생들. 연합뉴스 지난해 20세 이하 자전거 교통사고가 전년 대비 50% 넘게 증가했다. 정부는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브레이크 없는 ‘픽시자전거’의 운행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법 개정에 나선다. 27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을 보면, 지난해 발생한 자전거 교통사고는 5571건으로, 전년(5146건) 대비 8.3% 늘었다. 사망자 수는 전년 64명에서 지난해 75명으로 17.2% 증가했다. 사고 유형별로는 ‘자전거 대 차’ 사고의 경우 2023년 3553건에서 지난해 3638건으로 2.4%, ‘자전거 대 사람’ 사고는 1352건에서 1677건으로 24.0% 각각 증가했다. 사고의 주요 원인은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66.1%), 신호위반(7%), 중앙선 침범(5%) 등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는 20세 이하 운전자 사고가 2023년 1077건에서 지난해 1620건으로 50.4% 증가했다. 행안부는 “최근 청소년...
기사 본문
승합차 1대가 대구지하철 죽전역 2번 출구 뒤편 인도 위 자전거 보관대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뉴스1 작년 자전거 교통사고가 전년보다 8.3% 늘어난 5571건 발생해 75명이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고 10건 중 7건꼴로 앞을 제대로 보지 않거나, 헬멧을 착용하지 않는 등 안전운전 의무를 따르지 않은 게 원인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27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자료는 ▲자전거 교통사고 ▲자전거 이용시설 ▲국토종주 자전거길 현황 ▲자전거 이용 활성화 시책 등 4개 분야의 총 23개 통계로 구성된다. 작년 발생한 자전거 교통사고는 총 5571건이다. 전년(5146건)보다 425건(8.3%) 늘었다.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는 작년 75명으로, 전년보다 11명(17%) 증가했다. 사고 유형별로 보면 작년 자전거와 차 사고는 3638건으로 전년보다 2.4% 늘었다. 같은 기간 자전거와 사람 사고는 1677건으로 24...
기사 본문
20세 이하 자전거 사고, 2023년 1077건→2024년 1620건 정부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자전거 도로 등의 시설은 확충됐지만, 운전 부주의 등으로 인한 자전거 교통사고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에 따르면, 자전거 교통사고는 2023년 5146건에서 지난해 5571건으로 8.3%(425건) 증가했다. 이 중 66%(3684건)는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으로 발생했고, 이어 신호위반(7%), 중앙선 침범(5%) 등이 뒤를 이었다. 이로 인한 사망자 수도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자전거 교통사고 사망자는 64명에서 75명으로 17%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20세 이하에서 자전거 교통사고가 두드러지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세 이하 자전거 교통사고는 2023년 1077건에서 지난해 1620건으로 50% 넘게 급증했다. 61세 이상 운전자의 자전거 교통사고가 같은기간 1802건에서 1804건으로 2건 느는 데 ...
기사 본문
행안부,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 공표 지난해 자전거 교통사고 5571건…증가세 전환 20세 이하 사고 1620건…'픽시 자전거' 등 영향 [안양=뉴시스] 경기 안양동안경찰서가 최근 관내 평촌 학원가에서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제동장치 없는 ‘픽시 자전거’ 계도·홍보를 하고 주의를 당부했다.(사진=동안경찰서 제공).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브레이크 없는 '픽시 자전거'가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20세 이하 청소년 자전거 교통 사고가 50%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27일 자전거 교통사고, 자전거 이용시설 등을 담은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을 공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지난해 자전거 교통사고는 총 5571건으로, 전년(5146건) 대비 8.3%(425건)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자전거 교통사고 건수는 2020년 5667건→2021년 5509건→2022년 5393건→2023년 5146건으로 꾸준히 감소했...
기사 본문
‘픽시 자전거’ 확산… 행안부, 안전대책 강화 자전거 운행 자료사진. 연합뉴스 지난해 자전거 교통사고가 5571건으로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고의 절반 이상이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에서 비롯됐으며 20세 이하 청소년 사고는 50% 넘게 급증했다. 행정안전부가 27일 발표한 ‘2025년(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전거 교통사고는 지난해 5571건으로 2023년(5146건)보다 8.3% 늘었다. 사망자는 64명에서 75명으로 17% 이상 증가해 안전 관리 강화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사고 유형별로는 ‘자전거 대 차’ 사고가 2023년 3553건에서 지난해 3638건으로 2.4% 증가했다. ‘자전거 대 사람’ 사고도 같은 기간 1352건에서 1677건으로 24% 늘었다. 법규 위반별로는 전체 5571건 중 66%에 해당하는 3684건이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전거 운전자의 기본 안전수칙 준수가 여전히 미흡한 것...
기사 본문
2025 자전거 이용 현황 통계 발표 (포항=뉴스1) 최창호 기자 = 19일 오후 경북 포항시 남구 연일읍 형산강 둘레길에서 자전거를 탄 시민들이 가을을 만끽하고 있다. 2025.10.19/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포항=뉴스1) 최창호 기자 자전거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지난해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고 중 20세 이하 사고는 50% 넘게 증가했다. 행정안전부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과 효과 분석 등에 필요한 주요 통계가 종합적으로 수록된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을 27일 공표했다. 공표된 자료에는 △자전거 이용시설 △자전거 이용 활성화 시책 △자전거 교통사고(도로교통공단 제공) △국토종주 자전거길 현황(한국수자원공사 제공) 등 4개 분야 총 23개 통계가 포함됐다.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만7754㎞로 2020년 2만4484㎞에...
기사 본문
행안부,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 공표 자전거 교통사고, 안전운전 불이행 절반 이상 자전거도로·공영자전거 등 자전거 이용자 위한 정보도 담겨 행안부, 자전거 제동장치 제거 금지 개정안도 추진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지난해 자전거 교통사고가 전년 대비 8% 넘게 증가했으며, 이로 인한 사망자는 1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이 절반 이상이라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사진=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27일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을 공표했다. 먼저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만 7754㎞로 2023년 2만 6872㎞에 비해 약 3.3%(882㎞) 증가했다. 종류별로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 2만 660㎞(74.4%) △자전거 전용도로 3735㎞(13.5%) △자전거 우선도로 2252㎞(8.1%) △자전거 전용차로 1107㎞(4.0%)였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 시책으로는 공영자전거 운영과 단체보험 등에 관한 사항이 포함됐다. 공영자전...
기사 본문
행안부, 2024 자전거 이용 현황 발표 공영자전거 7만 대 육박…청소년 사고 급증 제동장치 제거 금지…’픽시법' 추진 2024년 공영 자전거 운영 현황. ⓒ데일리안 배군득 기자 [데일리안 = 배군득 기자] 행정안전부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 수립과 효과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담은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을 공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통계에는 자전거도로와 공영자전거 운영, 자전거 교통사고 현황, 국토종주 자전거길 이용 등 4개 분야 23개 항목이 포함됐다. 행안부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국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만7754㎞다. 2023년(2만6872㎞)보다 3.3%(882㎞) 늘었다. 2020년과 비교하면 13.4%(3270㎞)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가 2만660㎞로 전체 74.4%를 차지했다. 자전거 전용도로 3735㎞(13.5%), 자전거 우선도로 2252㎞(8.1%), 자전거 전용차로 1107㎞(4.0%) 순이었다. 지방정부의 지속적...
기사 본문
작년 자전거 사고로 75명 사망…"제동장치 제거 금지 법률 개정 추진" 자전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 = 작년 자전거 교통사고가 전년보다 8.3% 늘어난 5천571건 발생해 75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0세 이하 사고가 50%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27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을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자전거도로 총길이는 2만7천754㎞로, 2020년(2만4천484㎞)보다 13.4% 늘어났다. 도로 종류별로는 ▲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 2만660㎞(74.4%) ▲ 자전거 전용도로 3천735㎞(13.5%) ▲ 자전거 우선도로 2천252㎞(8.1%) ▲ 자전거 전용차로 1천107㎞(4.0%)다. 공영자전거 보유 대수는 6만9천572대로, 2023년 대비 6.2%(4천67대) 많아졌다. 지역별 공영자전거 대여실적은 서울이 4천388만 건(75.0%)으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