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캄보디아 등 납치·감금·실종 의심 160여 건 확인 중"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경찰이 올해 접수된 캄보디아 등 해외 납치·실종 의심 사건 가운데 160여 건에 대해 범죄 관련성 여부 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경찰청은 오늘(27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23일까지 경찰청과 외교부에 접수된 관련 신고 513건 가운데 162건에 대해 안전 여부와 범죄 연관성을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전체 신고 가운데 295건은 대상자가 귀국했고, 나머지 218건 가운데 56건은 안전 여부가 확인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찰은 또 지난 16일부터 '국외 납치·감금 의심 사례와 피싱 범죄 등에 대한 특별신고·자수' 기간을 운영 중인데, 태국 11건, 베트남 8건, 필리핀 7건, 미얀마 2건, 말레이시아 2건, 라오스 2건 등 신고가 접수돼 실제 피해가 있었는지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한-캄보디아 합동 대응 TF는 아직 협의 중이라며 실시간 정보 공유와 현지 합동 점검이 가능한 방향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
기사 본문
미귀국 218건…태국·필리핀·베트남 등도 피해·범죄신고 송환자 59명 불법대부업 연계 수사…이번주 전부 검찰송치 ▲ 지난 2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범죄단지인 '태자단지' 내부에 생활흔적이 남아있다. 연합뉴스 올해 캄보디아 등 해외 국가에서 접수된 한국인 실종 의심 사건이 513건으로 집계됐다고 경찰이 27일 밝혔다.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1월부터 10월23일까지 경찰청과 외교부에 접수된 실종 의심 사건을 종합 분석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총 513건이 접수됐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295건은 신고 대상자가 귀국했으며, 218건은 여전히 미귀국 상태다. 미귀국 218건 중 162건은 안전 여부가 확인되지 않아 범죄 연관성을 중심으로 수사 중이다. 경찰은 지난 16일부터 '국외 납치·감금 의심 사례 및 피싱 범죄 등에 대한 특별신고·자수 기간'을 운영 중이며, 캄보디아 외에도 다른 동남아 국가에서 사건이 접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태국 11건 △필...
기사 본문
납치·감금·실종 사건은 총 513건…162건 안전 미확인 캄보디아 등 동남아 확산 대응…11월 합동작전 추진 올해 해외에서 납치·감금됐거나 실종된 한국인 사건이 500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162건은 여전히 안전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사진은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이 지난 15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캄보디아로 출국하며 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남용희 기자 올해 해외에서 납치·감금됐거나 실종된 한국인 사건이 500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162건은 여전히 안전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27일 서울 서대문구 청사에서 열린 정례 간담회에서 "지난 1월부터 10월 23일까지 경찰청과 외교부에 접수된 납치·감금·실종 사건은 총 513건"이라며 "이 가운데 295건은 귀국, 218건은 미귀국 상태이며 162건은 안전 여부가 파악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박 본부장은 "미귀국 중 안전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162건은 안전 및 범죄관...
기사 본문
513건 중 295건 신고 대상자 귀국…미귀국 218건 중 안전 여부 미확인 162건 캄보디아 송환 피의자 64명, 불법사금융·대부업 관련 부분 있는지 확인 예정 한국인 대학생 살해 사건 주범, 대치동 학원가 마약 사건 총책 공범 여부 확인 중 캄보디아 스캠범죄단지 '망고단지'에 깔린 철조망.ⓒ연합뉴스 [데일리안 = 허찬영 기자] 경찰이 올해 캄보디아 등 해외 국가에서 접수된 한국인 납치·감금·실종 의심 사건이 513건으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이날 오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1월부터 10월23일까지 경찰청과 외교부에 접수된 실종 의심 사건을 종합 분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513건 중 295건은 신고 대상자가 귀국했고, 218건은 미귀국 상태다. 218건 중 안전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사건은 162건으로 범죄 관련성을 수사 중이다. 경찰이 지난 16일부터 운영 중인 '국외 납치·감금 의심 사례, 피싱 범죄 등에 대한 특별신고·자수' 기간 다른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