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원 심정지 터지길’… SNS 글 쓴 기간제 구급대원 “장난이었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A씨가 지난달 25일 개인 소셜미디어에 올린 부적절한 글. /인스타그램 인천 한 소방서 119안전센터 사무실에서 작성된 부적절한 내용의 글이 소셜미디어(SNS)에 게시된 사건과 관련해 소방 당국이 작성자를 파악하고 후속 조치에 나섰다. 27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부적절한 내용의 글을 쓴 사람은 남동소방서 관할 119안전센터에 근무 중인 구급대원 대체 인력 기간제 근로자 A(20대)씨로 확인됐다. A씨는 지난달 25일 인스타그램에 사무실 풍경을 찍은 사진과 함께 ‘오늘 15건 이상 나가게 해주세요’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지하철 화장실 출산 1건 터지게 해주세요’ ‘하늘에 계신 모든 신들이여 부탁드립니다’ 등 위급 상황을 바라는 문구를 썼다. A씨는 당국 조사에서 “악의적인 의도 없이 사무실에서 글을 썼고 장난으로 사진을 올렸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한다. 문제의 글은 게시 당일 삭제됐으며 A씨는 사건이 외부로 알려져 논란을 부르자 최근까...
기사 본문
근무복 대원들·위급상황 기원 담은 사진 게시 논란 인천 119안전센터 근무자로 확인… "악의 없었다" 소방당국, 특별 교육만 실시… 별도 징계는 안 해 지난달 25일 인천 남동소방서 관할 119안전센터에서 근무하는 기간제 근무대원 A씨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렸다가 삭제한 게시물. 연합뉴스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 달라’고 기원하는 등 부적절한 내용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게시물로 최근 논란을 일으킨 당사자는 인천 지역 소방서 119안전센터에 근무 중인 기간제 구급대원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대원은 “장난이었다”고 해명했고, 소방 당국은 SNS 윤리 수칙 등과 관련한 특별 교육만 실시했을 뿐 징계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27일 인천소방본부에 등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위급 상황 발생’을 바라는 듯한 사진들을 올린 사람은 인천 남동소방서 119안전센터의 구급대원 대체 인력 기간제 근로자 A씨로 확인됐다. 문제의 게시물은 구급센터...
기사 본문
▲ SNS에 올라왔다가 삭제된 글 [연합뉴스] 인천의 한 소방서 119안전센터 사무실에서 작성된 부적절한 내용의 글이 SNS에 올라온 사건과 관련해 소방 당국이 작성자를 확인하고 후속 조치에 나섰습니다. 27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라온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등 상식에 어긋난 글의 게시자는 남동소방서 모 119안전센터에서 근무하는 구급대원 대체 인력 기간제 근로자 A씨로 파악됐습니다. 소방 당국 조사 결과 A씨는 "악의적인 의도 없이 사무실에서 글을 썼고 장난으로 사진을 올렸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건이 외부로 알려진 뒤 심적 부담을 느낀 그는 최근까지 휴가를 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민신문고 민원을 접수한 소방 당국은 이번 일로 조직 이미지가 손상됐다고 보고 A씨에게 SNS 윤리 수칙과 부적절한 사례 등을 안내하는 특별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다만 평소 근무 태도와 동료 관계 등을 감안해 별도 징계는 하지 않...
기사 본문
게티이미지뱅크 인천의 한 소방서 직원이 SNS에 ‘사건·사고’가 나길 바란다는 내용의 글을 올려 논란이 일고 있다. 이 근로자는 “장난으로 올린 글”이라고 해명했다. 소방 당국은 평소 근무 태도 등을 고려해 징계 대신 교육 조치로 마무리했다. ●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SNS에 글 27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문제의 게시글 작성자는 남동소방서 산하 119안전센터에서 근무 중인 20대 기간제 근로자 A 씨다. 그는 소방공무원 구급대원의 업무 공백을 메우기 위해 투입된 대체 인력이다. A 씨는 지난달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소방 근무복을 입은 동료 3명이 사무실에 앉아 있는 사진과 함께 “오늘 15건 이상 나가게 해주세요”,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지하철 화장실 출산 1건 터지게 해주세요”, “하늘에 계신 모든 신들이여 부탁드립니다” 등의 문구를 올렸다. 사진에는 그가 덧붙인 ‘1팀 인계사항ㅋㅎㅋㅎㅋㅋㅎ’이라는 글이 함께 적혀 있었다. 게시물은 당일 곧바로 삭제...
기사 본문
SNS에 올라왔다가 삭제된 글. 연합뉴스 [서울경제] 인천의 한 소방서 119안전센터 사무실에서 작성된 부적절한 글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오면서 논란이 커지자, 소방 당국이 작성자를 확인하고 후속 조치에 나섰다. 27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라온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등 상식에 어긋나는 글을 게시한 이는 남동소방서 소속 119안전센터에서 근무 중인 구급대원 대체 인력인 기간제 근로자 A씨로 확인됐다. 소방 당국 조사 결과, A씨는 “악의적인 의도 없이 사무실에서 글을 썼고 장난으로 사진을 올렸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건이 외부로 알려진 뒤에는 심적 부담을 느껴 최근까지 휴가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신문고에 민원이 접수된 뒤, 소방 당국은 이번 사안이 조직 이미지를 훼손했다고 보고 A씨를 대상으로 SNS 윤리 수칙과 부적절한 사례를 안내하는 특별 교육을 실시했다. 다만 평소 근무 태도와 동료 관계 등을 고려해...
기사 본문
인천의 한 소방서 119안전센터에서 근무하는 구급대원 대체 인력 기간제 근로자가 지난달 SNS에 올린 게시물로, 현재는 삭제된 상태다. 연합뉴스 인천 한 소방서 119안전센터 사무실에서 작성된 부적절한 문구가 SNS에 올라오면서 소방 조직의 품위를 해쳤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소방 당국은 작성자를 확인하고 교육 조치에 나섰다. 27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등 상식에 어긋나는 글 게시자는 남동소방서 소속 119안전센터에서 근무 중인 구급대원 대체 인력 기간제 근로자 A 씨로 확인됐다. 조사 결과 A 씨는 "악의적인 의도는 없었고, 단순한 장난으로 글을 썼다"고 진술했다. 그는 해당 게시물이 외부에 알려진 뒤 심리적 부담을 느껴 최근까지 휴가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 당국은 이번 사건으로 조직의 이미지가 훼손됐다고 보고, A 씨에게 SNS 윤리 수칙과 부적절한 사례를 안내하는 특별 교육을 실시했다. 다만 평소 근...
기사 본문
"요양원 심정지, 지하철 화장실 출산" 등 위급 상황 기원글에 논란 일파만파 구급대원 기간제 근로자 A씨 "장난" "평소 근무 태도 등 종합했을 때 징계 안 해" [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소방서에서 심정지 사건이나 화장실 출산 사건 등이 터지게 해 달라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와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소방 당국이 작성자를 확인하고 후속 조치에 나섰다. 당국은 작성자의 평소 근무 태도 등을 종합했을 때 별도의 징계를 내리지는 않겠다고 밝혀 파문이 예상된다. 구급대원이 위급 상황을 바라는 듯한 글을 올려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사진=사회관계망서비스) 27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신원을 알 수 없는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등의 문구가 담긴 사진이 올라왔다. 소방서 근무복을 입은 3명이 앉아 있는 모습과 함께 컴퓨터로 작성된 글을 촬영한 사진이었는데 배경이 남동소방서 관할 구급센터로 추정돼 큰 논란이 일었다. 특히 사진에 ‘오늘 ...
기사 본문
소방 당국, 해당 직원 특별 교육…구급대원 등 600여명 대상 재발 방지 교육 SNS에 올라왔다가 삭제된 글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인천=연합뉴스) 황정환 기자 = 인천 한 소방서 119안전센터 사무실에서 작성된 부적절한 내용의 글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온 사건과 관련해 소방 당국이 작성자를 확인하고 후속 조치에 나섰다. 27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라온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등 상식에 어긋난 글 게시자는 남동소방서 모 119안전센터에서 근무하는 구급대원 대체 인력 기간제 근로자 A씨로 파악됐다. 소방 당국 조사 결과 A씨는 "악의적인 의도 없이 사무실에서 글을 썼고 장난으로 사진을 올렸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건이 외부로 알려진 뒤 심적 부담을 느낀 그는 최근까지 휴가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신문고 민원을 접수한 소방 당국은 이번 일로 조직 이미지가 손상됐다고 보고 A씨에게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