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날'→'노동절'로 복원.. 공휴일 지정도 추진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사진출처 : NATV 국회방송 내년부터 매년 5월 1일 ‘근로자의 날’이 ‘노동절’로 복원되고, 공휴일 지정도 추진됩니다. 고용노동부는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노동절 제정에 관한 법률’을 비롯해 소관 8개 법률안이 통과됐다고 밝혔습니다. 5월 1일은 1886년 미국 노동자들의 8시간 노동 투쟁을 기념하는 ‘메이데이’로, 국내에서는 1923년부터 ‘노동절’로 기념돼왔습니다. 1963년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근로자의 날'로 명칭이 바뀌었고, 이후 1994년 법 개정으로 기념일이 3월 10일에서 5월 1일로 변경됐습니다. '노동절'이라는 명칭을 지지하는 쪽은 ‘근로자’라는 용어가 일제강점기부터 사용됐으며, 산업화 과정에서 '통제적이고 수동적인 의미'를 내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사전상 정의를 살펴봐도 근로는 '부지런히 일함', 노동은 '몸을 움직여 일함'이므로 노동이 더 '가치중립적 용어'라고 지적합니다. 반면 ‘근로’라는 단어가 조선왕조실록에도 등장할 만큼...
기사 본문
이미 지자체에선 '근로→노동' 변경 움직임... 경남교육포럼 등 "교사·공무원에게도 법정공휴일 적용돼야" [기사보강 : 10월 27일 오전 11시 23분] ▲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룰 전부 개정법률안 표결 결과. ⓒ 정혜경의원실 [관련기사] '근로→노동' 조례 확산되는데... 여전히 안 지키는 지자체 https://omn.kr/28i8f "조례로 근로(자)→노동(자) 바꾸기로 해놓고 안 지켜" https://omn.kr/23qsq 5월 1일 '근로자의 날' 명칭이 '노동절'로 바뀐다. 국회는 지난 26일 본회의에서 '노동절 제정에 관한 법률'을 통과시켰다. '근로자의날'로 바뀐 지 62년 만에 '노동절'로 복원하는 것이다. 5월 1일은 1886년 미국에서 노동자들이 '하루 8시간 노동' 등을 내걸고 했던 투쟁을 기념해 '메이데이'라 불리고, 우리나라에서는 1923년부터 이날을 '노동절'로 기념해왔다. 그러다가 1963년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지면서 명칭이 ...
기사 본문
성명에서 “결코 가볍지 않은 역사적 전진”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난 25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에서 열린 ‘경제수탈, 일자리파괴 NO트럼프 민주노총 결의대회’에서 대회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매년 5월1일 ‘근로자의 날’ 명칭의 ‘노동절’ 복원 법안 국회 통과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26일 “수십년 동안 외쳐온 요구가 드디어 실현됐다”며 대환영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성명에서 “단순한 명칭 변경을 넘어 일하는 모든 사람을 주체적인 ‘노동자’로 인정하라는 사회적 목소리가 제도 속에 반영된 결과”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늦었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역사적 전진”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앞서 같은 날 국회 본회의에서는 ‘노동절 제정에 관한 법률’ 등 고용노동부 소관 8개 법률이 통과됐다. 5월1일은 1886년 미국에서 노동자들이 하루 8시간 노동을 쟁취하고자 투쟁한 것을 기념하는 ‘메이데이’로 국내에선 1923년부터 이날을 ‘노동절’로 기념해오다가 1963년 ‘근로자의 날...
기사 본문
정부, 2026년 황금연휴 현실화될까…공식 지정 땐 공공기관도 쉰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10일 서울 구로구 남구로 새벽인력시장을 찾아 근로자들에게 떡을 나눠주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 5월, 단 하루의 연차만 쓰면 최장 닷새 동안의 황금연휴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정부가 61년 만에 5월 1일 '근로자의 날' 명칭을 '노동절'로 되돌리면서, 이 날을 공식 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6년 5월 1일은 금요일이다. 만약 노동절이 공휴일로 지정되면, 앞뒤로 주말과 어린이날(5월 5일 화요일)까지 이어져 5월 1일(금)부터 5월 5일(화)까지 총 5일간 쉴 수 있다. 5월 4일(월요일)에 하루 연차만 쓰면 완성되는 황금연휴다. 현재 '노동절 공휴일화' 법안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고용노동부는 관계 부처와 협의를 거쳐 법안 통과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회를 통과할 경우, 노동절은 법정 공휴일로서 지위를 갖게 된다. 고용노동부는 26일 국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