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 다발골수종 환자에게는 사망 위험 최대 2.5배 높이는 생존요인”[김태열의 생생건강S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다발골수종(MM, Multiple Myeloma) 환자에서 골절 발생과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국내 대규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됐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한승훈 교수 공동 연구팀(공동 제1저자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하정훈 교수,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최수인 교수)이 다발골수종(MM, Multiple Myeloma) 환자에서 골절 발생과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국내 대규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다발골수종은 골수에서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혈액암이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2022년 연간 1,961건이 발생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두 번째로 흔한 혈액암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발골수종 환자의 최대 80%는 진단 당시 골용해 병변을 동반하며, 이는 병적 골절로 이어져 환자의 삶의 질...
기사 본문
서울성모병원은 박성수 혈액내과 교수 연구팀이 다발골수종(MM)환자에서 골절 발생과 사망 위험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다발골수종은 골수에서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혈액암이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2022년 연간 1961건이 발생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두 번째로 흔한 혈액암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발골수종 환자의 최대 80%는 진단 당시 골용해 병변을 동반하며, 이는 병적 골절로 이어져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회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 박성수·하정훈 서울성모병원 교수, 한승훈·최수인 가톨릭대의대 약리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09년부터 2020년까지 다발골수종으로 진단받은 환자 9365명과 성별·연령을 1대1로 매칭한 일반인 대조군 9365명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다발골수종 환자군의 6년 누적 골절 발생률은 10.2%로 일반인 대조군의 8.3%...
기사 본문
서울성모병원 연구팀, “골절은 단순 합병증 아닌 생존 좌우 요인…진단 초기부터 예방·관리 강화 필요” 다발골수종 환자 골절 시 사망 위험 최대 2.5배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한승훈 교수 공동 연구팀(공동 제1저자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하정훈 교수,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최수인 교수)이 다발골수종(MM, Multiple Myeloma) 환자에서 골절 발생과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국내 대규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다발골수종은 골수에서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혈액암이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2022년 연간 1,961건이 발생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두 번째로 흔한 혈액암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발골수종 환자의 최대 80%는 진단 당시 골용해 병변을 동반하며, 이는 병적 골절로 이어져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회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기사 본문
혈액암 일종인 다발골수종 빅데이터 분석 뼈 조직이 녹아 흡수되는 ‘골용해 병변’으로 고관절 골절 위험 1.47배, 사망 위험 2.46배 인기리에 방영된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 양관식은 다발골수종으로 투병하다 세상을 떠난다. 넷플릭스 제공 혈액암의 일종인 다발골수종 환자에게 골절이 발생하면 부위에 따라 사망 위험이 최대 약 2.5배까지도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 내분비내과 하정훈 교수,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한승훈·최수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다발골수종 환자의 골절과 사망 위험 간의 관계를 국내 대규모 빅데이터로 분석해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09~2020년 다발골수종으로 진단받은 환자 9365명과, 이들과 성별·연령을 1대 1로 동일하게 구성한 일반인 대조군 9365명을 비교 분석했다. 다발골수종은 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