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민 2만5천여명, '2차 소비쿠폰' 미신청…31일 마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신청 첫날인 지난달 22일 오전 제주시 오라동 인근 마트 앞에 민생 회복 지원금 사용가능 안내문이 붙어 있다. 지원 금액은 1인당 10만원이며 지급 대상은 올해 6월 기준 가구별 건강보험료 합산액이 하위 90%인 사람으로 지난해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12억원을 초과하지 않거나 귀속 금융소득 합계액이 2000만원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025.09.22. woo1223@newsis.com [제주=뉴시스] 양영전 기자 = 제주도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신청 마감(31일)을 닷새 앞두고 아직 신청하지 않은 도민 2만5000여명에게 신속한 신청을 요청했다. 27일 도에 따르면 전날 기준 지급 대상 60만4838명 중 58만86명(95.90%)이 신청을 마쳤다. 2차로 지급된 580억원 중 지류를 제외한 477억원(82%)이 사용됐다. 31일 오후 6시 신청 기한이 지나면 미신청자는 쿠폰을 받을 수 없다. 도는 마지막까지 ...
기사 본문
기간 내 신청하지 않을 경우 지급받을 수 없어 ‘찾아가는 신청’도 운영 중 1·2차 소비쿠폰 모두 11월 30일까지 사용해야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행정안전부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온라인·오프라인 신청이 오는 31일 마감되는 만큼 미신청자의 신청을 독려한다고 27일 밝혔다. (사진=행정안전부) 대상자에 해당하지만 아직 2차 소비쿠폰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기간 내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해야 한다. 기간 내에 신청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비쿠폰을 지급받을 수 없다. 신용·체크카드로 지급을 원하는 국민은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사의 누리집이나 앱, 콜센터와 ARS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카드와 연계된 은행 영업점에 직접 방문 신청도 가능하다. 모바일 또는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충전을 희망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지방정부의 지역사랑상품권 누리집 또는 앱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 직접 수령을 원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또...
기사 본문
1·2차 소비쿠폰 사용기한 11월 30일…안 쓰면 국고 환수 "31일까지 2차 소비쿠폰 신청하세요" [행안부 제공]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31일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마감된다. 지급 대상자에 해당하지만, 아직 2차 소비쿠폰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기한 내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해야 한다. 기한 내에 신청하지 않을 경우 소비쿠폰을 지급받을 수 없다. 신용·체크카드로 지급을 원하는 국민은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사의 누리집이나 앱, 콜센터와 ARS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카드와 연계된 은행 영업점에 직접 방문해 신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바일 또는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충전을 희망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지방정부의 지역사랑상품권 누리집 또는 앱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 직접 수령을 원하는 국민은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주민센터, 읍·면사무소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26일 밤 12시 기준 2차 민생회복 소비...
기사 본문
1인당 10만원을 추가 지급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오는 31일 오후 6시에 마감된다.사진은 지난달 30일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표지판이 걸려 있는 모습. /사진=뉴스1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온라인·오프라인 신청이 4일 앞으로 다가왔다. 2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날(26일) 자정 기준 2차 소비쿠폰 지급 대상자의 96.44%가 신청을 마쳤다. 지급 완료 인원은 4403만4746명, 지급액은 4조4035억원에 달한다. 시도별로는 ▲대구 97.08% ▲울산 96.99% ▲인천 96.99% 순으로 신청률이 높았으며 ▲서울 95.57% ▲부산 96.82% ▲경기 96.32% 등 대부분 지역이 95% 이상을 기록했다. 1인당 10만원씩 지급하는 2차 소비쿠폰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15만~45만원을 지급한 1차 소비쿠폰과는 달리 소득 하위 90%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 2024년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12억원을 초과하는 등의 고액 자산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