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SNS 글 올린 구급대원 “장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인천의 한 소방서에서 최근 ‘요양원 심정지 터지게’, ‘지하철 화장실 출산’ 등 상식 밖의 어처구니 없는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인물이 구급대원으로 드러났다. 27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의 이 같은 글 게시자는 남동소방서 모 119안전센터 소속 구급대원 대체인력 기간제 근로자 A씨로 파악됐다. A씨는 소방 당국 조사에서 “악의적인 의도 없이 사무실에서 글을 썼고 장난으로 사진을 올렸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 남동소방서 관할 구급센터 사무실 모습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왔다. 연합뉴스 당시 A씨는 구급센터 사무실에서 소방서 근무복을 입은 3명이 앉은 모습과 함께 컴퓨터로 작성된 글을 촬영한 사진을 올렸다가 당일 삭제했다. 사진에는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지하철 화장실 출산 1건 터지게 해주세요’ 등 위급한 상황을 바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이번 사건이 외부로 알려진 뒤 그는 최근까지 휴...
기사 본문
A씨가 지난달 25일 개인 소셜미디어에 올린 부적절한 글. /인스타그램 인천 한 소방서 119안전센터 사무실에서 작성된 부적절한 내용의 글이 소셜미디어(SNS)에 게시된 사건과 관련해 소방 당국이 작성자를 파악하고 후속 조치에 나섰다. 27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부적절한 내용의 글을 쓴 사람은 남동소방서 관할 119안전센터에 근무 중인 구급대원 대체 인력 기간제 근로자 A(20대)씨로 확인됐다. A씨는 지난달 25일 인스타그램에 사무실 풍경을 찍은 사진과 함께 ‘오늘 15건 이상 나가게 해주세요’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지하철 화장실 출산 1건 터지게 해주세요’ ‘하늘에 계신 모든 신들이여 부탁드립니다’ 등 위급 상황을 바라는 문구를 썼다. A씨는 당국 조사에서 “악의적인 의도 없이 사무실에서 글을 썼고 장난으로 사진을 올렸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한다. 문제의 글은 게시 당일 삭제됐으며 A씨는 사건이 외부로 알려져 논란을 부르자 최근까...
기사 본문
"요양원 심정지, 지하철 화장실 출산" 등 위급 상황 기원글에 논란 일파만파 구급대원 기간제 근로자 A씨 "장난" "평소 근무 태도 등 종합했을 때 징계 안 해" [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소방서에서 심정지 사건이나 화장실 출산 사건 등이 터지게 해 달라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와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소방 당국이 작성자를 확인하고 후속 조치에 나섰다. 당국은 작성자의 평소 근무 태도 등을 종합했을 때 별도의 징계를 내리지는 않겠다고 밝혀 파문이 예상된다. 구급대원이 위급 상황을 바라는 듯한 글을 올려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사진=사회관계망서비스) 27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신원을 알 수 없는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등의 문구가 담긴 사진이 올라왔다. 소방서 근무복을 입은 3명이 앉아 있는 모습과 함께 컴퓨터로 작성된 글을 촬영한 사진이었는데 배경이 남동소방서 관할 구급센터로 추정돼 큰 논란이 일었다. 특히 사진에 ‘오늘 ...
기사 본문
인천의 한 소방서 119안전센터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기간제 구급대원이 지난달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등 상식에 어긋나는 내용의 글을 소셜미디어에 올린 모습. 연합뉴스 소방당국이 '요양원 심정지 2건 터지게 해주세요' 등 상식에 어긋나는 내용의 글을 SNS에 게시한 인물을 특정했다. 게시물은 인천의 한 소방서 119안전센터 사무실에서 작성된 것으로 파악돼 논란이 일었다. 27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라온 부적절한 글 게시자는 남동소방서 모 119안전센터에서 근무하는 구급대원 대체 인력 기간제 근로자인 A씨로 확인됐다. A씨는 소방 당국 조사에서 "악의적인 의도 없이 사무실에서 글을 썼고 장난으로 사진을 올렸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사건이 외부로 알려진 뒤 심적 부담을 느낀 그는 최근까지 휴가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신문고 민원을 접수한 소방 당국은 이번 일로 조직 이미지가 손상됐다고 보고 A씨에게 소셜미디어 윤리 수칙과 부적절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