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시험차량 운전한 남양연구소 협력업체 직원들 직접 고용해야” 大法 첫 판결

2025년 10월 2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8개
수집 시간: 2025-10-27 07:01:3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4개

조선비즈 2025-10-27 06:01:25 oid: 366, aid: 0001117468
기사 본문

현대자동차가 남양연구소에서 시험차량을 운전한 협력업체 직원들을 직접 고용해야 한다고 대법원이 판결했다. 대법원이 시험차량 운전기사들의 불법 파견을 인정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남양연구소 전경. / 현대차 제공 대법원 2부(주심 대법관 엄상필)는 현대차 남양연구소 협력업체 직원 A씨 등 16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제기한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에서 A씨 승소한 2심을 확정했다고 27일 밝혔다. A씨 등이 소송을 제기한 지 8년 만이다. A씨 등은 현대차 남양연구소에서 시험 차량을 직접 운전해 내구성을 확인하는 업무를 했다. A씨 등은 차량을 남양연구소에서 직접 운전하고 특이사항을 일지에 적어 회사 팀장에게 제출했다. 그려면 팀장은 시험차 현황 문서를 현대차에 냈다. 1·2심 모두 A씨 등 협력업체 근로자들 손을 들어줬다. 현대차가 협력업체 직원들의 작업량, 작업방법, 작업순서, 작업장소 등 업무 내용을 구체적으로 지시했으므로 직접 고용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2심 역시 “A씨 등은 연...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27 06:00:12 oid: 018, aid: 0006147897
기사 본문

현대차 협력업체 근로자 16명, 불법파견 소송 제기 대법 "현대차가 직접 지휘·명령, 사업에 실질적 편입" 1명 정년 도래로 소 각하…15명은 근로자 지위 확인 [이데일리 성주원 기자] 대법원이 현대자동차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들이 남양연구소에서 수행한 상용시제차량 내구주행시험 운전업무에 대해 불법파견을 최종 인정했다. 이번 판결은 자동차 제조업체의 연구개발 부문 협력업체 관리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대법원은 내구주행시험이 단순 운반업무가 아닌 생산공정에 가까운 업무라고 본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 서초구 대법원. (사진= 방인권 기자)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협력업체 근로자 16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낸 근로자지위확인 등 소송에서 원심을 대부분 수긍하며 상고를 기각했다. 다만 상고심 과정에서 정년이 도래한 원고 1명에 대해서는 법원이 스스로 판단해 원심을 파기하고 소를 각하했다. 원고들은 현대차(005380) 협력업체인 동인오토 등에 소속된 근로자들이다. 이들은 현대차...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27 06:00:00 oid: 025, aid: 0003478015
기사 본문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가 차량 주행 테스트 드라이버를 협력업체를 통해 사용한 것은 불법 파견이라고 대법원이 확정했다. 다만 소송 진행 중 정년이 지나 근로자 지위 회복의 길이 닫힌 일부 원고에 대해선 파기자판 각하했다. 대법원 전경, 뉴스1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현대차 협력업체 동인오토 소속 직원 이모씨 등 16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청구한 근로자 지위확인 소송에서 “현대자동차 근로자의 지위에 있다”고 판결한 원심에 대해 “파견근로자보호법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 파견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고 판결했다. 현대차는 1997년 동인오토와 도급 형식의 계약을 맺어 남양연구소에서 상용 시제차량의 내구주행시험 및 정비·점검 업무를 수행하도록 했다. 계약서상 도급금액은 도급업무 수행에 필요한 총 시간을 산정하고 이를 토대로 필요한 추정 근로자 수를 산정한 후 그들의 추정 노무비를 반영하는 방법으로 결정됐다. 동인오토 직원들은 현대차 상용시험 개발...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7 06:00:00 oid: 003, aid: 0013559017
기사 본문

협력업체 시험차량 운전기사 소송 제기 1·2심 불법 파견 인정…대법 원심 확정 [서울=뉴시스] 서울 서초구 대법원. 2025.10.26. (사진 = 뉴시스 DB)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종희 기자 = 현대자동차가 자사 소속 남양연구소에서 시험차량의 내구주행시험 업무를 담당한 협력업체 근로자들을 직접 고용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최근 A씨 등 16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낸 근로자 지위 확인 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현대차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인 A씨 등은 남양연구소에서 트럭, 버스 등 상용시제차량의 내구주행시험을 담당하는 운전 업무를 맡고 있었다. A씨 등은 2조 2교대로 남양연구소 내 주행시험장에서 시제차량을 몰며 엔진오일, 벨트 장력, 타이어 마모상태 등을 점검하고 특이사항을 보고하는 업무를 수행했다. 점검 당시 이상이 생길 경우 협력업체를 통해 현대차에 보...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7 06:00:00 oid: 001, aid: 0015701935
기사 본문

2017년 소송…"독자적 권한 없이 사실상 지휘·명령받아 업무" 대법원 전경 연합뉴스TV 캡처. 작성 이충원(미디어랩) (서울=연합뉴스) 한주홍 기자 =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상용 시제차 주행시험을 했던 협력사 근로자들이 불법파견에 해당한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협력업체 직원 A씨 등 16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낸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한 원심 판결을 확정했다. A씨 등은 남양연구소가 제작한 트럭, 버스 등 상용 시제 차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행로를 일정 조건에 따라 운행하는 내구 주행시험 업무를 담당했다. 현대차는 1997년 도급계약을 맺어 시험을 맡겼고 수급업체는 여러 번 바뀌었다. A씨 등은 협력업체에 고용 승계돼 계속 일했다. 이들은 총 3개 회사에 속했고 고용간주일(고용의무발생일)은 2005년부터 2015년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현대차가 대상 차량을 정하고 발주서를 전달하면 협력업체 팀...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7 06:00:00 oid: 421, aid: 0008563613
기사 본문

"현대차, 내구주행시험 투입 차량·일정·순서 내용 직접 결정" 대법, 근로자 지위 확인 및 임금 차액 12억원 지급 판결 확정 서울 서초구 양재동 현대자동차, 기아 본사 빌딩 모습. 2023.3.2/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이장호 기자 =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상용차량의 내구 주행 테스트 업무를 담당하는 협력업체 근로자들에 대한 불법파견이 대법원에서 인정됐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현대차 남양연구소 협력업체 근로자 A 씨 등 16명이 현대자동차를 상대로 낸 근로자 지위확인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승소 취지의 원심을 확정했다. 현대차 남양연구소에서 상용시제차량의 내구주행시험과 정비·점검 업무를 수행하던 협력업체 직원 A 씨 등은 2017년 현대차를 상대로 "현대차가 실질적으로 지휘·감독을 했다"며 근로자 지위확인 및 현대차의 기술직 근로자였으면 받았을 임금과의 차액을 달라며 소송을 냈다. 1심은 "현대차로부터 지휘·명령을 ...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27 06:01:16 oid: 015, aid: 0005202129
기사 본문

시제차 내구주행 운전원 불법파견 인정 대법 "내구 주행시험일정·지시 등 현대차가 사실상 통제" 대법원이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시제차량 내구 주행시험을 맡아온 협력업체 소속 운전원들이 사실상 현대차의 지휘·명령 아래 일했다며 불법파견을 인정한 판결을 내렸다. 현대차가 업무 전반을 실질적으로 통제한 만큼 근로자 파견 관계가 성립한다는 취지다. 대법원 제1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지난달 25일 상용 시제차량 내구 주행시험을 담당한 근로자 A씨 등 16명이 제기한 근로자 지위 확인 등 소송 상고심에서 상고를 기각하고 원심 판결을 확정했다고 27일 밝혔다. 다만 근로자 1명에 대해서는 상고심 진행 중 정년이 도래해 확인의 이익이 없어 청구를 각하했다. A씨 등 근로자들은 남양연구소가 제작한 트럭, 버스 등 상용 시제 차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행로를 일정 조건에 따라 운행하는 내구 주행시험 업무를 담당했다. 치들은 현대차가 대상 차량을 정하고 발주서를 전달하면 협력업체 팀장이 주행 ...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27 06:16:13 oid: 011, aid: 0004547959
기사 본문

현대차 협력업체 근로자들, 지위 확인 소송 원심 “현대차, 지휘·명령 전달” 불법파견 인정 [서울경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시제 차량의 내구 주행시험 운전 업무를 담당한 협력업체 근로자들에 대해 대법원이 불법파견을 처음으로 인정했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A씨 등 16명이 현대자동차를 상대로 제기한 근로자지위 확인 등 소송에서 지난달 25일 상고를 기각하며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A씨 등은 현대차(005380) 협력업체 소속으로, 현대차 남양연구소에서 상용시제 차량의 내구 주행시험 운전 업무를 담당했다. 이들은 현대차가 협력업체를 통한 불법파견 형태로 근로자를 사용했다며 근로자지위 확인 등을 청구했다. 쟁점은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근로자파견관계가 성립하는지 여부였다. 1심과 2심은 “A씨 등은 현대차로부터 지휘·명령을 받으며 업무를 수행했다”며 불법파견을 인정하고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

전체 기사 읽기

YTN 2025-10-27 09:40:48 oid: 052, aid: 0002264757
기사 본문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협력사 근로자들이 상용 시제차량 주행시험 업무를 했던 것과 관련해, 대법원이 불법파견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은 협력사 직원 A 씨 등 16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낸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한 원심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A 씨 등은 남양연구소가 만든 트럭과 버스 등 상용 시제차량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행로를 운행하는 내구 주행시험 업무를 담당해왔습니다. A 씨 등은 파견법상 제조업 생산공정 과정에 파견 근로자를 사용할 수 없다며, 지난 2017년 현대차를 상대로 근로자 지위를 확인해달라는 소송을 냈습니다. 앞서 1심과 2심은 A 씨 등이 사실상 현대차의 지휘와 명령을 받아 업무를 했다고 판단했고, 대법원도 원심 판단에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며 현대차의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아시아경제 2025-10-27 07:54:52 oid: 277, aid: 0005669681
기사 본문

2017년 소송…"사실상 지휘·명령받아 업무"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상용 시제차 주행시험을 했던 협력사 근로자들이 불법파견에 해당한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협력업체 직원 16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낸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한 원심 판결을 확정했다. 이들은 남양연구소가 제작한 트럭, 버스 등 상용 시제 차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행로를 일정 조건에 따라 운행하는 내구 주행시험 업무를 맡았다. 현대차는 1997년 도급계약을 맺었고, 업체는 여러 번 바뀌었다. 직원 16명은 협력업체에 고용 승계돼 계속 일했다. 이들은 총 3개 회사에 속했다. 현대차가 대상 차량을 정하고 발주서를 전달하면 협력업체 팀장이 주행 근로자와 일일 주행거리 등을 정했다. 근로자들은 주행시험일지를 제출했고, 팀장은 시험차 현황 문서를 매일 현대차에 보고했다. 협력업체 직원 16명 등은 2017년 현대차가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27 13:31:00 oid: 032, aid: 0003404619
기사 본문

아이오닉 6 N이 남양연구소 테스트 시설의 젖은 노면에서 드리프트 시연을 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가 남양연구소의 상용 시제차 주행시험을 협력사 노동자들에게 맡긴 것은 불법파견에 해당한다고 대법원이 판단했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협력업체 직원 A씨 등 16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낸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한 원심판결을 확정했다. 남양연구소는 트럭, 버스 등 상용 시제차량을 제작한 뒤 시험 운행 해 내구성을 평가한다. 현대차는 1997년 도급 계약을 맺어 업체에 이 주행시험을 맡겼는데, A씨 등은 협력업체 소속으로 내구 주행시험을 담당했다. 2조 2교대로 시제차량을 몰며 엔진오일, 벨트 장력, 타이어 마모상태 등을 점검하고 특이사항을 보고했으며, 점검 때 이상이 있으면 협력업체를 통해 현대차에 알렸다. 현대차가 대상 차량을 정하고 발주서를 전달하면 협력업체 팀장이 주행 근로자와 일일 주행거리 등을 정했다. 정기적인 시험 ...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0-27 13:20:14 oid: 028, aid: 0002772983
기사 본문

현대자동차그룹 남양기술연구소 전경. 현대자동차그룹 누리집 갈무리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상용 시제차 주행시험을 했던 협력사 근로자들을 수급업체만 바꿔가며 고용승계하며 일을 직접 지시한 현대차에 대해 대법원이 불법파견이라고 판단했다.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협력업체 직원 ㄱ씨 등 16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낸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한 원심 판결을 지난달 25일 확정했다고 27일 밝혔다. 남양연구소가 제작한 트럭, 버스 등 상용 시제 차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행로를 일정 조건에 따라 운행하는 내구 주행시험 업무를 담당한 원고들은 현대차가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파견법)을 위반해 불법적으로 파견했다며 지난 2017년 소송을 제기했다. 현대차는 지난 1997년 도급계약을 맺어 ㄱ씨 등에게 시험을 맡겼는데, 이후 수급업체는 여러번 바뀌고 ㄱ씨 등은 이에 고용 승계되는 형태로 일을 해왔다. ㄱ씨 등은 협력업체에 고용 승계돼 일을 해왔지만, 사실상 현...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27 11:12:11 oid: 014, aid: 0005424947
기사 본문

"현대차 지휘·명령 받고 업무"…1·2심 판단 유지 서울 서초구 대법원.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시제차 주행시험을 담당했던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들이 불법파견에 해당한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A씨 등 16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낸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현대차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인 A씨 등은 남양연구소에서 트럭·버스 등 상용 시제차량의 내구주행시험을 담당해왔다. 현대차가 내구주행시험 차량에 대한 발주서를 전달하면, 협력업체 팀장이 주행할 근로자와 일일 주행거리 등을 정하는 식으로 업무가 이뤄졌다. A씨 등 근로자들은 주행시험일지를 기록해 팀장에게 제출했고, 팀장은 이를 토대로 작성한 시험차 현황 문서를 현대차에 제출했다. 현대차는 1997년부터 도급계약을 맺고 차량 시험과 정비·점검 업무를 맡겼는데, 수급업체는 여러 차례 바뀌었다. A씨 등은 협...

전체 기사 읽기

한국일보 2025-10-27 11:41:09 oid: 469, aid: 0000893991
기사 본문

"원청 지휘·명령에 따라 근로" 현대자동차 남양기술연구소 주행시험장 전경. 한국일보 자료사진 현대자동차 남양기술연구소에서 2년 넘게 시험 차량의 주행시험 업무를 담당한 협력업체 직원들은 불법파견에 해당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현대차 협력업체 소속 A씨 등 16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낸 근로자 지위 확인 등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한 원심을 최근 확정했다. 대법원은 상고심 진행 중 정년이 도래한 원고의 근로자 지위 회복 청구 부분에 대해서만 각하했다. 현대차는 1997년부터 협력업체에게 사용시제 차량의 내구 주행시험 및 정비·점검 업무를 맡기는 내용의 도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수급업체는 몇 차례 변경됐지만, 소속 직원들의 고용을 승계하면서 A씨 등은 꾸준히 남양연구소에서 내구 주행시험을 수행하는 운전기사로 일해 왔다. 협력업체의 업무는 현대차로부터 전달받은 '내구시험 발주서'에 따라 진행됐다. 운전기사들이 일일주...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