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금리 평균 연 3.76%, 전월비 0.02%p↓
평균 예금금리는 0.03%p 올라…1년 만에 반등
한국은행. [연합뉴스]
지난달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넉 달 만에 하락 전환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두 달 연속 보합세를 보였다. 한편, 저축성수신(예금) 금리는 1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3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는 연 4.03%로 전월(4.06%) 대비 0.03%포인트 하락했다. 가계대출 금리는 연 4.17%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가계대출 중 주담대 금리도 연 3.96%로 지난달과 같았다. 지난 6월 주담대 금리는 5개월 만에 상승 전환한 뒤, 7월까지 두 달 연속 올랐다가 8월과 9월에는 보합세를 나타냈다. 반면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연 3.76%로 전월보다 0.0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6월(3.71%) 이후 4개월 만에 내린 것이다.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연 5.41%에서 5.31%로 0.1%포인트 내려, 3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지표금리인 은행채 금리는 9월 중 올랐지만, 일부 은행이 8∼9월 가산금리를 낮추고 우대금리를 확대하면서 전세자금대출과 신용대출의 금리가 떨어졌다”며 “전체 가계대출 금리의 경우 금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일반 신용대출의 비중이 커지면서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는 연 2.52%로 전월보다 0.03%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0월(3.37%) 이후 12개월 만의 상승 전환이다. 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 즉 예대금리차는 1.51%포인트로 0.06%포인트 줄었다. 예대금리차가 축소된 것은 지난 7월 이후 3개월 만이다. 다만 신규 취급 기준이 아닌 잔액 기준 예대 금리차는 2.19%포인트에서 변화가 없었다.
                        
                    
                AI 요약
지난달 은행권의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넉 달 만에 하락하며 연 3.76%로 감소했고,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두 달 연속 보합세를 유지하였다. 저축성수신 금리는 연 2.52%로 12개월 만에 상승 전환하였으며, 대출 금리와 저축금리의 차이인 예대금리차는 0.06%포인트 줄어 1.51%포인트에 이르렀다.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전세자금대출과 신용대출 금리가 떨어진 이유로 일부 은행의 가산금리 인하와 우대금리 확대를 언급하였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31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