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 벤 사손(Eli Ben-Sasson) 스타크웨어(StarkWare) 공동창업자. 사진제공=스타크웨어
엘리 벤 사손 스타크웨어 공동창업자
이더리움 L2 선보였던 스타크웨어
최근 비트코인 L2로 영역확장 나서
스테이킹·담보 대출 등 서비스 내놔
“놀고 있는 비트코인 활용 수요 커”
“스타크넷은 앞으로 ‘비트코인 GDP’를 늘려나갈 것이다. 지금은 골드바와 같이 창고에 쌓아두고 있지만 앞으론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최근 매일경제와 인터뷰한 엘리 벤 사손(Eli Ben-Sasson) 스타크웨어(StarkWare) 공동창업자는 이같이 강조했다.
스타크웨어는 지난 2018년 이더리움의 레이어2 네트워크인 ‘스타크넷’을 만든 곳이다.
특히 벤 사손 공동창업자는 영지식증명(ZK) 암호화 기술인 ‘ZK-STARK’를 개발한 연구자이기도 하다.
이더리움 메인넷이 커지면서 거래량을 처리하기 어렵고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메인넷 밖에서 여러 거래들을 묶어 한 번에 메인넷에 정산하는 ‘롤업’이 중요 대안으로 떠올랐다. 메인넷 밖에서 먼저 거래가 발생하는 만큼 레이어2 기술로 분류된다.
롤업 기술은 다시 옵티미스틱(OP) 롤업과 ZK 롤업으로 나뉜다. ZK 롤업은 OP 롤업에 비해 암호학적으로 증명된 거래만을 메인넷에 올린다. 반면 OP 롤업은 우선 거래를 믿고, 일정 기간동안 거래에 대한이의를 받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동안 ZK 롤업은 OP 롤업에 비해 비용이 비싸고 속도가 느려 주류가 되지 못했다. 단 벤 사손 공동창업자가 개발한 ZK-STARK와 ZK-SNARK 등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점점 이더리움 레이어2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처럼 이더리움 레이어2로 이름을 알린 스타크웨어가 최근 중대한 결정을 내렸다. 비트코인 탈중앙화금융(디파이) 시장으로 영역을 넓히기로 한 것이다.
벤 사손 공동창업자는 “현재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2조달러를 웃돌지만 이를 기반으로 한 금융은 전무한 상황”이라며 “이더리움, 솔라나 등과 달리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경제 활동’이 전혀 없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처럼 놀고 있는(idle) 자본을 더 생산적으로 만들어 비트코인의 ‘GDP’를 키우고 싶다”며 “비트코인을 이용한 경제 활동이 늘어날수록 비트코인의 GDP도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엘리 벤 사손(Eli Ben-Sasson) 스타크웨어(StarkWare) 공동창업자. 사진제공=스타크웨어
벤 사손 공동창업자는 비트코인을 부동산에 비유했다. 대부분의 다주택자는 실거주 목적으로 보유한 아파트 외에 나머지는 임대를 내준다. 남는 자산을 통해 수익을 가져가는 구조다. 비트코인을 다수 보유한 투자자도 이와 마찬가지로 자산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싶어 한다는게 벤 사손 공동창업자의 설명이다.
그는 “부동산도 주택담보대출을 통한 레버리지 투자, 임대를 통한 수익성 활동이 있어야 경제 활동이 늘어나는 것처럼 땅과 같이 묶여 있는 비트코인에도 비슷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을 위해 스타크웨어는 스타크넷에서 비트코인 스테이킹을 최근 선보였다. 스타크웨어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커스터디를 바꿀 필요 없이 스타크넷을 통해 스테이킹에 참여할 수 있다. ZK 기술을 통해 이같은 서비스를 구현했다는 설명이다.
또 스타크웨어는 비트코인을 담보로 한 스테이킹 렌딩 서비스도 선보였다. 기관 투자자의 참여를 위해 비트코인을 기준으로 수익을 거둘 수 있는 ‘Re7 캐피털’ 펀드도 내놨다.
벤 사손 공동창업자는 “비트코인·이더리움 맥시멀리스트가 존재하는 것처럼 난 스스로를 ‘ZK-STARK 맥시멀리스트’라고 생각한다”며 “이 기술을 통해 양자 컴퓨터의 위협으로부터 블록체인을 보호하고 확장성(scalability)와 보안(privacy)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AI 요약
스타크웨어의 엘리 벤 사손 공동창업자는 비트코인 디파이 시장으로의 확장을 예고하며 비트코인의 GDP를 증가시키겠다고 밝혔다. 그는 비트코인이 수동적으로 보유되고 있는 자산임을 지적하며, 이를 통해 더 많은 경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타크웨어는 비트코인 스테이킹 서비스와 담보 대출 서비스를 최근 출시하여 투자자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31 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