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PEF협회 출범하나… 美선 이미 막강한 영향력

헤드라인 2025-10-31 01:01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PEF 협회 출범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비법인 사단에서 공식 사단법인으로 전환하자는 업계의 주장이 제기된 배경이다. 홈플러스 회생 사태 이후 PEF에 대한 규제 입법이 추진되면서 이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상설 조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아 실제 협회 출범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국내 PEF협의회는 현재 협회로 격상하자는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기관 전용 사모펀드의 자율성과 상충될 우려를 낳고 있다.

세제 개편 대응 위해 출범한 美 PEF업계 대표단체 ‘AIC’ 성장자본 유입해 확장성 높여 국내서도 규제 강화 움직임에 PEF협회 격상 주장 나오지만 기관전용 사모펀드 퇴색 우려 [본 기사는 10월 31일(09:01) 매일경제 자본시장 전문 유료매체인 ‘ 레이더M ’에 보도 된 기사입니다] [픽사베이] PEF협회 출범 논의가 고개를 들고 있다. 비법인 사단으로 운영되던 PEF협의회를 공식 사단법인으로 전환하자는 주장이 업계 일각에서 제기되면서다. 홈플러스 회생 사태 이후 국회에서 사모펀드(PEF)를 겨냥한 규제 입법 추진이 이어지자 이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상설 조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하지만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아 실제 협회 출범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이 가운데 세계 최대 자본시장인 미국 내 유관단체에 대한 주목도도 높아지고 있다. 3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미국 내 사모펀드 산업을 대표하는 단체로는 AIC(American Investment Council)가 꼽힌다. AIC는 2007년 ‘PEC(Private Equity Council)’라는 이름으로 출범했다. 초대형 LBO(차입매수) 붐에 ‘PEF가 과도한 부채를 끼고 기업을 산 뒤 고용을 줄여 단기에 되판다’는 비판이 확산되던 시기였다. 그러자 미 의회에선 PEF 성과보수(캐리이자)를 기존 자본이득보다 세율이 높은 근로소득으로 과세하자는 움직임이 일었다. 통상 PEF는 운용수익의 20%가량을 성과보수로 책정한다. 정치적 공세 속에 블랙스톤, 칼라일, 아폴로를 비롯한 소수 대형 운용사(GP)를 주축으로 PEC가 설립됐다. 이들은 성과보수가 단순 급여가 아니라 리스크를 감수한 투자이익이라는 논리를 폈다. 또한 세제혜택을 없애면 중소 기업 투자와 지역 일자리에도 부정적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완전한 근로소득화를 저지해내는 데 성공한다. 이후 PEC는 2010년 PEGCC(Private Equity Growth Capital Council)로 공식 명칭을 변경했다. 그로쓰캐피탈(성장자본) 운용사를 끌어들이며 정치적 정당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소·혁신기업에 자본을 공급한다는 명분을 얻어 정치적 확장성을 높이고 공적연금 배분 논리를 강화했다는 분석이다. 그러다 2016년 PEGCC는 AIC로 리브랜딩했다. PEF뿐 아니라 펀드오브펀드, 출자자(LP)까지 저변을 넓히며 미국 실물경제 전반을 지원하는 생산적 투자기관으로서 사명을 분명히 하게 된다. 오늘날 AIC는 매해 수백만달러의 예산을 집행하는 대형 로비스트 집단으로 성장했다. 퇴직연금을 비롯한 다양한 의제를 두고 의회와 규제당국에 업계 입장을 대변하고 각종 성과 리포트를 발간하고 있다. 국내 PEF협의회는 2005년 친목회 형태로 시작해 2013년 비법인 사단 형태로 변모했다. 1세대 토종 PEF인 보고펀드의 LG실트론 인수금융이 부도가 나며 PEF 신뢰 회복이 과제로 부상하던 무렵이다. 출범 당시 사모펀드협의회라는 명칭을 썼지만 2021년 라임·옵티머스 사태를 계기로 단체명을 지금의 PEF(경영참여형사모펀드)협의회로 바꿨다. 최근에는 아예 PEF협회로 조직을 격상하자는 논의가 수면위로 올라왔다. 다만 조직을 공식화할 경우 업계 자율성이 줄어들면서 ‘기관 전용 사모펀드’ 입법 취지와 상충된다는 반발 기류도 뚜렷하다. 기관 전용 사모펀드는 일반 개인투자자들이 접근하지 않는 구조다. LP들에 보고가 이뤄질 뿐 정보 공개 측면서 폐쇄성이 강하다. 협회 재편이 되레 감시체계 강화로 역행할 수 있단 우려가 있는 이유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31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