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사이트에서 초저가로 판매하는 위조 상품 이미지 [서울시·KATRI시험연구원 제공]
서울시는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초저가로 판매하는 브랜드 제품 16개를 점검한 결과, 전 제품이 위조 상품으로 확인됐다고 31일 밝혔다.
시는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해외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12개 브랜드, 16개 제품을 대상으로 국가공인시험기관인 KATRI시험연구원에 의뢰해 분석을 진행했다.
점검 대상은 ▲가방 7개 ▲의류 1개 ▲화장품 6개 ▲소형가전 2개 제품으로, 정상가 대비 33%에서 최대 97%까지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었다.
가방과 의류의 경우 5개 브랜드사 8개 제품 전량이 디자인과 라벨 등에서 정품과 차이를 보였다.
로고 모양, 제품 색상, 자석·지퍼·가방끈 연결고리 등 부자재의 모양과 색상이 다르고, 섬유 혼용률이나 제품명 표기 등 표시사항에도 오타가 다수 발견됐다. 특히 동일 제품을 여러 플랫폼에서 구입해 비교한 결과, 모두 같은 불일치 사유가 확인돼 공급 단계에서 조직적으로 위조상품이 유통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화장품은 5개 브랜드사의 6개 기초화장품으로 모두 정품과 불일치했다.로고 글씨체, 표시사항 구성, 용기·포장재 소재 등이 정품과 달랐으며, 일부 제품은 주요 성분까지 불일치했다.
예를 들어 한 브랜드의 클렌징오일은 정품이 식물성 오일을 주성분으로 사용했으나, 위조품은 미네랄 오일을 사용했다. 세럼 제품의 경우 오일층 형상이 정품과 차이가 있었다. 이처럼 성분이 다를 경우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등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소형가전 2개 제품(무선 이어폰, 헤어드라이어)도 로고·스위치 표시, 제품 마감 등 세부 디자인이 정품과 달랐다.
위조 상품을 정품과 육안으로 직접 비교하면 차이가 크지만, 온라인에서는 판매자가 브랜드명 또는 정품 이미지를 무단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가 위조 상품을 인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해외직구 플랫폼을 이용할 때는 브랜드 공식 판매처를 통해 구매하는 편이 좋고, 정상가 대비 현저히 낮은 가격의 제품은 위조 가능성이 크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시는 당부했다.
시 관계자는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 해당 제품의 판매 중단을 요청했다”며 “해외직구 상품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플랫폼 사업자와 위조상품 유통을 신속히 차단해 소비자가 안심하고 온라인 거래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AI 요약
서울시는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16개 브랜드 제품이 모두 위조 상품으로 확인됐다고 31일 발표했다. 특히, 가방과 의류, 화장품, 소형가전의 제품들이 정품과의 디자인 및 성분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안전성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시는 이러한 위조 상품의 유통을 차단하기 위해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 판매 중단을 요청하고,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31 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