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운 검찰개혁 자문위원장
핵심쟁점 15~20개로 추려
공소청·중수청법부터 논의
국무총리 산하 검찰개혁추진단 자문위원회가 30일 검찰 수사권 완전 폐지와 보완수사권 등 핵심 쟁점에서 합의가 어려우면 복수 의견을 추진단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위원 간 견해차가 큰 상황에서 단일안이 도출되지 않으면 개혁 동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박찬운 추진단 자문위원장(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사진)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자문위는 가급적이면 컨센서스(의견 일치)를 모아나갈 계획이며 위원 모두가 공감대를 형성했다"면서도 "의견이 합치되지 않으면 각 위원들의 의견을 정리해 추진단에 제시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의 발언은 검찰 개혁 주요 쟁점을 두고 자문위 위원 간 의견이 첨예하게 갈린 상황을 염두에 둔 것이다. 검찰 수사권 완전 폐지 여부를 두고 일부 위원은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을 주장하는 반면, 다른 위원들은 수사 공백과 역량 약화를 우려한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장동 사건 변호인이었던 김필성 변호사,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검찰총장이었을 당시 징계를 주도했던 한동수 전 대검찰청 감찰부장은 검수완박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류경은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양홍석 법무법인 이공 변호사 등은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 신설이 실제 수사 역량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공소청에 보완수사권을 부여할지를 놓고도 의견이 갈린다. 공소청 검사에게 보완수사권을 주면 안 된다는 입장과 경찰의 수사권 남용을 견제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입장이 맞선다. 이처럼 핵심 사안에서 의견이 좁혀지지 않으면 복수 의견이 추진단에 제출되지만, 자칫 안건이 난립해 개혁 추진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 위원장은 "어제 1차 회의를 했다"며 "내년 10월 2일 공소청과 중수청 가동이 계획된 만큼 두 개의 조직 법안에 대한 쟁점을 먼저 논의하고서 형사소송법 개정 쟁점을 논의하는 수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얼추 정리해보니 15~20개가 논의 주제가 될 것 같다"며 "내년 상반기 중에 법안이 통과돼야 시간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대한 빨리 논의해 자문위 의견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AI 요약
국무총리 산하 검찰개혁추진단 자문위원회는 검찰 수사권 완전 폐지와 보완수사권에 대해 합의가 어려울 경우 복수 의견을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위원들 간 의견 차이가 크고, 주요 쟁점에서 의견이 좁혀지지 않으면 개혁 동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 박찬운 위원장은 내년 10월 2일 공소청과 중수청 가동을 목표로, 이들 조직의 법안에 대한 쟁점을 먼저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30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