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외환보유액 + 달러채 … 美투자 2천억弗 '투트랙 조달'

헤드라인 2025-10-30 09:00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한미 양국은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중 2000억 달러를 현금으로 집행하기로 하고, 투자 재원 조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정부는 연간 최대 200억 달러를 상한으로 설정하고, 75%는 외환보유액 운용수익, 25%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발행하는 달러채로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초기 투자액이 200억 달러에 이를 것 같지는 않으며, 조달 과정에서 환율 문제로 인해 협의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외환 운용수익 年 150억弗에 산은·수은 예산 1.9조원 편성 구윤철 "특별법 발의 속도" 한미 양국이 관세협상을 통해 총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중 2000억달러를 현금으로 집행하기로 하면서 재원 조달 방안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양국은 연간 최대 200억달러를 상한으로 설정했다. 정부는 만약 특정 해에 200억달러를 투자할 경우 75%인 150억달러는 외환보유액 운용수익, 25%인 50억달러는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이 발행하는 달러채를 통해 조달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외환보유액 운용수익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9월 기준 외환보유액은 4220억달러로 이 중 약 80%가 채권(국채·회사채 포함)에 투자돼 있다. 채권은 이자수익이 안정적이어서 이를 통해 최대 연간 150억달러를 조달할 수 있다는 게 정부와 한국은행 측 설명이다. 매년 금리에 따라 외환보유액 '평가금액'은 달라지지만, 외환보유액 수익은 채권 위주 투자여서 대체적으로 일정하다는 게 특징이다. 나머지 50억달러는 산업은행·수출입은행이 해외 시장에서 달러채로 조달할 가능성이 크다. 이를 위해 정부는 약 1조9000억원의 예산을 내년에 산업은행·수출입은행·한국무역보험공사 대미 패키지용으로 편성했다. 수출입은행은 약 30억달러 규모 달러채를 추가 발행한다는 계획이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진척 정도에 따라 현금을 투자하는 것이어서 초반엔 200억달러까지 나가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 뒤 "200억달러가 1년 한도이기 때문에 2000억달러를 조달하려면 10년 넘게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만일 조달 과정에서 원·달러 환율에 문제가 생기면 1년 한도인 200억달러도 미국과 협의를 통해 축소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구 부총리는 "금융 패키지 관련 기금 설치 등을 위한 특별법을 신속히 준비해 국회에서 발의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산업은행법·수출입은행법·한국은행법상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현재 한은법상으로도 충분히 대미펀드에 투자할 수 있다"며 "외환 운용에 관한 규정은 법이 아니라 규칙에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30 18:10